이슈&트렌드
[이슈트렌드] 베네수엘라, 코로나19 위기 속 미국에 제재 해제 요청 및 입국자 격리 조치 강화
베네수엘라 EMERiCs 2020/03/17
자료인용안내
자료를 인용, 보도하시는 경우, 출처를 반드시 “ EMERiCs 중남미 ”로 명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 베네수엘라가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미국에 제재 해제를 요청함.
- 3월 12일 베네수엘라 정부가 코로나19 사태를 우려해 ‘국가보건비상사태’를 선포하고 일부 해외 항공편을 취소함.
ㅇ 니콜라스 마두로(Nicolás Maduro) 베네수엘라 대통령은 코로나19 팬데믹(pandemic)으로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30일간 유럽 및 콜롬비아에서 들어오는 모든 항공편을 취소한다고 밝힘.
- 마두로 대통령은 또한 해외 입국자들에 대한 바이러스 검사를 실시하고 있다고 전하며,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대규모 대중 집회나 모임, 콘서트, 행사들도 중단한다고 발표함.
- 뿐만 아니라, 마두로 대통령은 필요 의료 물자 구매를 위해 미국에 자국에 대한 경제 제재 조치를 해제해줄 것을 요청함.
ㅇ 그는 지금은 우리가 바이러스와의 싸움에서 필요한 물품을 구매해 국내에 유입할 수 있도록 트럼프 대통령이 제재를 해제해야 할 시기라고 전함.
- 미국은 2019년부터 베네수엘라의 민주주의 복원과 마두로 대통령의 퇴진을 촉구하며 베네수엘라에 경제적 제재를 가해 왔음.
☐ 전문가들에 따르면, 베네수엘라는 의료 시스템이 붕괴된 상태로 의료 장비가 부족해 현재의 보건 위기에 무방비 상태인 것으로 전해짐.
- 블룸버그(Bloomberg) 통신에 따르면, 현재 일부 베네수엘라 병원들에는 사용할 비누조차도 부족한 상황으로, 병원들은 폐쇄되거나 안정적인 전기 및 물 공급 없이 어렵게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ㅇ 세계보건보안지수(Global Health Security Index)에 따르면, 베네수엘라의 보건 시스템은 세계 최하위권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병원 내 모든 필요 물품은 부족하며 환자들도 되돌려 보내지는 실정인 것으로 알려짐.
- 최근 베네수엘라 의사와 환자들은 국내 최대 아동병원 밖에 집결해 필요 물품 공급 시기와 코로나19 위기 상황 대응을 위해 따라야 할 프로토콜을 촉구하며, 코로나19 팬데믹에 더욱 취약하게 만든 국가 보건 시스템의 붕괴에 항의하는 시위를 벌이기도 함.
- 오랜 경기 침체로 베네수엘라는 의약품, 의료 기기, 의료진 부족현상을 겪어 왔으며, 미국과 마두로 정권과의 갈등 및 경제 제재로 베네수엘라는 물자 운송 제한과 자금난을 겪으며 상황은 더욱 악화된 것으로 전해짐.
☐ 마두로 정권에 대한 미국의 제재는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트럼프 정부는 마두로 정권을 지원하는 러시아 기업을 거래 금지 목록에 올리며 추가 제재 조치를 단행함.
- 3월 12일 미국 정부는 지난 2월 러시아 국영 석유기업 로스네프트(Rosneft) 자회사 로스네프트 트레이딩 S.A.(Rosneft Trading S.A.)에 이어 TNK 트레이딩 인터내셔널(TNK Trading International S.A)을 제재 목록에 추가했다고 밝힘.
ㅇ 스티븐 므누신(Steven Mnuchin) 미국 재무부 장관은 성명을 통해 “TNK 트레이딩 인터내셔널은 베네수엘라 원유 수송과 판매를 중개하는 로스네프트의 자회사 중 하나이다”고 전하며, 트럼프 행정부는 부패한 정권의 원유 이용을 지원하는 기업들을 대상으로 계속 제재 조치를 가할 것이라고 밝힘.
- 정부 관계자들에 따르면, TNK 트레이딩 인터내셔널이 올 해 1월 베네수엘라 국영 석유기업 PDVSA로부터 약 1,400만 배럴의 원유를 구매한 것으로 전해짐.
- 일각에서는 로스네프트가 베네수엘라와의 원유 거래를 계속 시도할 경우 해당 기업의 자회사들에 대한 제재 조치 역시 계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됨.
☐ 한편, 최근 베네수엘라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함에 따라 정부는 국내 입국자들에 대한 격리 조치를 의무화할 것이라고 밝힘.
- 베네수엘라 정부 발표에 따르면, 3월 13일 국내 최초 코로나19 확진자가 두 명 발생했으며, 다음날인 14일 확진자 수는 17명으로 증가한 것으로 전해짐.
ㅇ 확진자들은 스페인, 미국, 콜롬비아 도시 쿠쿠타 등에서 입국한 사람들로 알려졌으며, 확진자들 중 일부는 국내에서 감염된 것으로 알려짐.
- 이에 따라 학교 수업이 중단되었고, 파나마 및 도미니카 공화국으로 항공편 중단 조치가 확대되었으며, 3월 유럽에서 들어오는 모든 여행자들에 대한 격리 조치가 의무화됨.
- 베네수엘라 정부는 또한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집단 격리를 시행하고, 해당 격리 기간 동안 오직 교통, 보건, 식품, 의약품 배송 서비스만 제공될 예정이라고 발표함.
ㅇ 뿐만 아니라, 세계보건기구(WHO)가 권장하는 모든 예방 프로토콜을 활성화했다고 밝히며, 해당 바이러스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조치를 취하고 있다고 전함.
< 감수 : 김영철 부산외국어대학교 교수 >
* 참고자료
Reuters Latino América, Caracas y otros estados de Venezuela entran en cuarentena por coronavirus, 2020.03.16.
Prensa Latina, Suben a 10 los casos de coronavirus en Venezuela, suspenden entrada de vuelos de Panamá y República Dominicana, 2020.03.15.
Prensa Latina, Venezuela activates health containment protocols to face Covid-19, 2020.03.13.
Unian, U.S. sanctions another subsidiary of Russia's Rosneft over Venezuela oil, 2020.03.13.
Orinoco Tribune, President Maduro Declares Health Emergency in Venezuela due to Novel Coronavirus (COVID-19) – No Cases Detected Yet, 2020.03.12.
Miami Herald, Venezuela declares coronavirus emergency, cancels flights from Europe and Colombia, 2020.03.12.
Foreign Policy, Venezuela’s Health Care Crisis Now Poses a Global Threat, 2020.03.12.
S&P Global, US sanctions Rosneft affiliate TNK Trading for Venezuelan crude trade, 2020.03.12.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 및 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이전글 | [이슈트렌드] 멕시코 중앙은행, 코로나19 여파 완충 위해 6.5%로 금리 인하 전망 | 2020-03-12 |
---|---|---|
다음글 | [이슈트렌드] 코로나19 여파로 라틴아메리카 증시·환율 폭락... 지원책 마련 등 코로나19 대응 노력 中 | 2020-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