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KIEP 동향세미나

[동향세미나] 코로나19 사태의 캄보디아 경제에 대한 영향과 전망

캄보디아 김미림 KIEP 세계지역연구센터 동남아대양주팀 연구원 2020/06/10

☐ 캄보디아는 2020년 1월 27일 첫 확진자 발생 이후 3월 중순부터 4월 중순까지 빠른 확산세를 보였으나 이후 신규 확진자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안정기에 접어듦.
- 캄보디아는 여타 아세안 후발국과 유사하게 코로나19로 인한 인명 피해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남.1) 
ㅇ 6월 10일 기준 캄보디아의 확진자 수는 126명, 사망자 수는 0명, 인구 10만 명 당 확진자 수는 0.8명임.
- 캄보디아가 코로나19 안정기에 진입할 수 있었던 배경으로는 △정부의 강력한 봉쇄 정책, △국제사회의 원조, △사회문화적 요인 등을 들 수 있음.(각주삭제)
ㅇ 캄보디아 정부는 외국인 입국 금지, 국경폐쇄, 학교와 일부 상업시설 폐쇄, 대중 집회 개최 금지, 국내 여행 제한, 4월 신년 축제(쫄츠남) 취소 등의 조취를 취함과 동시에 WHO의 기술원조와 세계은행의 원조 2,000만 달러 등을 활용하여 1만 6,000건의 검사, 감염경로 추적 등을 실시하였음.2) 
ㅇ 대중교통이 부재한 캄보디아는 오토바이 이동이 일상화되어 마스크 착용 문화가 이미 정착되고, 인구의 80%가 인구 밀도가 낮은 농촌에 거주한다는 특징을 지님.3)

표1


☐ 캄보디아는 단기간 내에 코로나19 확산 방지에 성공하였으나, 대외충격에 취약한 산업구조로 인해 아세안 후발국 중 가장 큰 폭의 경제적 피해를 입고 있으며, 금년에는 1994년 이후 최초로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됨.
- 캄보디아 경제는 대외수요 변화에 민감한 섬유봉제업, 관광업, 건설업에 산업구조가 집중된 특징을 지님.
ㅇ 섬유봉제업은 GDP의 30%, 총수출의 80%를 차지하며 60~100만 명을 고용하는 최대 제조업이나4) 선진국 시장 수출 의존도가 높음.5) 
ㅇ 관광업은 2019년 현재 GDP의 26%를 차지하고 237만 명을 고용하는 최대 서비스업으로 외국인 관광객의 소비액은 총 수출액의 33%에 해당할 정도로 큰 규모이나, 중국인 관광객의 비중이 높고6) 관광 자원과 시설 등 관광 인프라에 대한 투자는 부족한 약점을 지님.
ㅇ 건설업과 부동산 개발은 2018년 GDP의 20.8%를 차지하고, 2019년 최대 FDI 유치 업종이며 20만 명을 고용하는 산업이나 중국의 FDI를 주요 동력으로 삼아 성장하였다는 특징을 지님.7) 
- 2020년 1사분기 의류와 제화 수출액은 전년 동기대비 80% 감소하였고 6월 2일 기준 섬유봉제공장 256개의 운영이 중단됨에 따라 근로자 12만 명이 실업 위기에 처함.8) 
- 아시아개발은행은 2020년 캄보디아의 관광수입이 3억 4,570만 달러~8억 5,650만 달러 감소할 것이라 전망하였는데, 이는 GDP의 1.4%~3.5%에 해당하는 금액임.9) 
ㅇ 전년동월비 방캄 외국인관광객 수는 2020년 2월 50%, 3월 70%, 4월 90% 감소하였고, 앙코르와트 고고학 공원의 2020년 4월 관광수입은 29만 달러로 전년동월비 99.5% 감소하였음.10) 
- 중국의 투자가 감소함에 따라 건설 활동의 지표 중 하나인 철강 수입액이 2020년 1~2월 전년 동기 대비 47% 감소하였음.11) 
- 캄보디아는 아세안 후발국 중 가장 큰 폭의 경제적 피해를 입을 것으로 전망되며, 세계은행은 2020년 5월 섬유봉제업, 관광업, 건설업 종사 가구의 소득 50% 감소가 5개월 간 지속될 경우 빈곤율이 기준선보다 3%p~11%p 증가할 것이라 예측함.12) 

표2


☐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됨에 따라 캄보디아의 산업구조 취약성은 경제의 위험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며, 이에 캄보디아 정부는 피해구제를 위해 국제사회와의 협력을 강화하는 한편 경제적 취약성 완화를 위해 산업 다각화에 힘쓸 것으로 전망됨.
- 재정여건상 충분한 규모의 지원책을 펼치기 어려운 캄보디아는 EU(6,670만 달러), 일본(4,100만 달러), 세계은행(3,620만 달러) 등과 ODA 협력을 강화하고 있음.13)
ㅇ 중국은 캄보디아에 마스크와 진단키트를 공급하고 의료 인력을 파견하였음.14) 
- 산업다각화는 국가전략개발계획 2019-2023과 산업발전정책 2015-2025에 우선개발과제로 명시된 의제이며, 코로나19 사태로 캄보디아 경제구조의 취약성이 드러난 만큼 코로나19는 캄보디아 정부가 산업다각화를 본격 추진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음.


* 각주
1) https://covid19.who.int; https://www.worldometers.info/coronavirus(모든 자료의 검색일: 2020. 6. 4~9).
2)「What lies behind Cambodia's surprise coronavirus success?」(2020.06.02.), 『Nikkei Asian Review』). (「Cambodia avoids coronavirus carnage, but faces economic disaster」(2020.06.03.), 『Nikkei Asian Review』).
3)「Cambodia avoids coronavirus carnage, but faces economic disaster」(2020.06.03.), 『Nikkei Asian Review』).
4) Oxford Economics, “Country Economic Forecasts Cambodia”(온라인 자료, 검색일: 2020. 6. 6).
5) 2018년 캄보디아의 의류와 제화 총 수출에서 EU(45%), 미국(24%), 일본(10%)이 차지하는 비중은 79%에 달함(WITS, 온라인 자료, 검색일: 2020. 6. 6).
6) 2019년 방캄 외국인 관광객 국적 비중은 중국(24%), 베트남(15%), 라오스(8%), 태국(7%), 한국(4%)(World Travel & Tourism Council, “Cambodia 2020 Annual Research: Key Highlights”, 온라인 자료, 검색일: 2020. 6. 6~8).
7) https://www.adb.org/publications/key-indicators-asia-and-pacific-2019; https://santandertrade.com/en/portal/establish-overseas/cambodia/investing-3; https://southeastasiaglobe.com/cambodias-construction-boom-a-bust-for-workers/(모든 자료의 검색일: 2020. 6. 6).
8) https://cambodianess.com/article/more-than-130000-cambodians-affected-as-256-factories-suspend-operations; https://english.cambodiadaily.com/business/cambodias-garment-footwear-exports-drop-by-half-in-q2-due-to-covid-19-163564/; https://www.kh.emb-japan.go.jp/files/100062193.pdf(모든 자료의 검색일: 2020. 6. 6~8).
9) ASEAN Today, “COVID-19 lessons for Cambodia: Boosting resilience and economic recovery”(온라인 자료, 검색일: 2020. 6. 6).
10) https://globalvoices.org/2020/05/09/as-tourism-declines-in-cambodia-tuk-tuk-drivers-are-down-and-out-in-phnom-penh/; https://www.khmertimeskh.com/719371/angkor-wat-records-a-99-5-percent-drop-in-monthly-revenue/(모든 자료의 검색일: 2020. 6. 6).
11) 「Cambodia avoids coronavirus carnage, but faces economic disaster」(2020.06.03),『Nikkei Asian Review』
12) World Bank, “COVID-19 Epidemic Poses Greatest Threat to Cambodia’s Development in 30 Years: World Bank”(온라인 자료, 검색일: 2020. 6. 6).
13) 캄보디아가 발표한 지원정책 규모는 GDP의 6.3%~7.2%에 해당하는 규모로 경제적 피해를 상쇄하기에는 부족한 것으로 평가(EIU, “Fighting headwinds: Cambodia to expand fiscal stimulus”, 온라인 자료, 검색일: 2020. 6. 6).
14) https://www.globaltimes.cn/content/1183609.shtml; https://www.theguardian.com/world/2020/mar/19/china-positions-itself-as-a-leader-in-tackling-the-coronavirus(모든 자료의 검색일: 2020. 6. 10).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