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이슈&트렌드

[이슈트렌드] 아프리카 각국 정부, 국내 식량 생산 및 수출 증대 위한 지원책 마련

아프리카ㆍ 중동 일반 EMERiCs - - 2020/06/26

☐ 아프리카 각국 정부가 국내 농업 생산 증대를 위한 지원책을 발표함.
- 가나 정부가 농가에 농기계 지원 및 가금류 생산 확대 계획을 발표함,
ㅇ 가나 정부는 국내 쌀 생산량을 늘리기 위해 체코수출은행(Czech Export Bank)으로부터 지원받은 무이자 차관 1,000만 유로(한화 약 13억 5,120만 원)를 투입하여 트랙터 520대를 구매함.
ㅇ 아마투스 데양(Amatus Deyang) 가나농업기술서비스국(ASED, Agriculture Engineering Services Directorate) 국장은 이번에 수입한 트랙터를 현대적 농기계를 구입할 여력이 없는 소규모 농민들에게 40~50% 할인된 가격으로 제공하는 동시에 농약 살포 장비 등의 농기계와 종자, 비료 등도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하여 가나 농업의 현대화를 지원할 방침이라고 밝힘.  
- 짐바브웨 정부는 경제 재건과 농업 생산량 증가를 위한 관개 시설 확충 계획을 제시함.
ㅇ 6월 12일 반젤리스 아리타토스(Vangelis Haritatos) 짐바브웨 농림부 차관은 짐바브웨 경제 재건에는 농업 발전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하며 정부가 ‘농업복구계획’(Agricultural Recovery Plan)을 통해 밀, 콩, 옥수수 등 주요 식량 생산량을 늘려 식량 안보를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힘. 
ㅇ 아리타토스 차관은 관개가 가능한 농경지 면적은 200만 헥타르에 달하지만, 이 중 오직 21만 6,000헥타르의 농지에만 관개 시설이 설치되어 있고 실제 관개 시설이 작동하는 농지는 17만 4,500헥타르에 불과하다고 지적하며 관개 시설 확대를 위한 투자가 정부의 최우선 목표라고 덧붙임. 

☐ 가금류 사육과 낙농업 분야에 대한 대규모 지원도 이루어질 계획임.
- 가나, 에티오피아, 짐바브웨 정부는 농업 분야뿐만 아니라 가금류 사육과 낙농업 분야 성장을 위한 지원책도 내놓음.
ㅇ 가나농업개발은행(Agricultural Development Bank)은 국내 양계장에 대한 저금리 대출과 사료 지원을 통해 2022년까지 가금육의 국내 자급률 100%를 달성하여 2019년 기준 3억 7,400만 달러(한화 약 4,523억 5,300만 원)에 달하는 가금육 수입비용을 절약하고 가금류 사육 분야에서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이라고 발표함.
ㅇ 한편 에티오피아 농림부는 국내 유제품 생산 증가를 위해 세계은행(World Bank)으로부터 지원받은 3,000만 비르(한화 약 10억 5,555만 원)를 이용해 저지(Jersey)종과 홀스타인 프라이전(Holstein Friesian)종 젖소 220마리 수입하고 2,900만 비르(한화 약 10억 2,037만 원)를 투자해 유제품 생산 과정에 필요한 설비를 갖춘 젖소 유전자 개량 센터를 설립할 계획임.
ㅇ 짐바브웨 정부 역시 지난 5월 축산업지원프로그램을 발족한 데 이어 동남부 마스빙고(Masvingo) 주와 마니칼랜드(Manicaland) 주에서 퍼진 가축전염병인 타이레리이병(Theileriosis)으로 소를 잃은 목축업자 194명에게 보상금을 지급하는 한편 소규모 목축업자들에게 효과적인 선진 사육 기술을 전수하는 등의 지원을 제공할 예정임.

☐ 아프리카 농업과 식량 상황은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국제 무역 감소로 위기에 직면함.
- 아프리카의 주요 산업인 농업은 코로나19 확산의 영향으로 큰 피해를 입옴.
ㅇ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국내총생산(GDP)의 평균 23%를 차지하고 전체 경제활동인구의 60%를 고용하는 농업은 아프리카의 주요 산업으로, 아프리카의 연간 농업 수출액은 350억 달러(한화 약 42조 3,325억 원)에서 400억 달러(한화 약 48조 3,800억 원)에 이름.
ㅇ 특히 커피 농업은 동아프리카 지역의 주요 산업으로 이 지역에서 660만 명이 커피 산업에 종사하고 있음.
ㅇ 경영 컨설팅 업체인 맥킨지(McKinsey)는 코로나19 확산 여파로 카카오, 과일, 채소 등 아프리카 농산물 수출액이 48억 달러(한화 약 5조 8,056억 원) 감소하고 약 4억에서 4억 6천 명이 소득 감소 또는 일자리 상실의 위험에 처할 것으로 전망함.
-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국제 무역 감소와 운송 교란은 아프리카 농산물 수출 감소를 가져옴.
ㅇ 맥킨지는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각국 정부가 내린 봉쇄조치에 따른 전세계적 경기 침체, 수요 감소와 국제 운송망 교란으로 인한 운송비 증가가 케냐, 탄자니아, 우간다 등 상품작물 수출에 의존하는 국가 경제에 큰 타격을 줄 것으로 전망함.
ㅇ 맥킨지는 아프리카의 전체 카카오 수출액은 20억 달러(한화 약 2조 4,190억 원), 커피 수출액은 2억 달러(한화 약 2,419억 원)가 감소할 것이며 과일 수출액의 감소분은 200만 달러(한화 약 241억 9,000만 원)에서 최대 5억 달러(한화 약 6,047억 5,000만 원), 화훼 수출액의 감소분은 최소 4억 달러(한화 약 4,838억 원)에서 최대 6억 달러(한화 약 7,257억 원)에 이를 것으로 분석함.
ㅇ 대표적인 카카오 수출국인 나이지리아에서는 정부의 이동 봉쇄령으로 인해 운송 및 항만 인프라가 제대로 운영되지 못하면서 수출에 차질이 발생했고 이로 인한 농산물 수출액 감소분은 1억 6,000만 달러(한화 약 1,935억 2,000만 원)를 웃돌 것으로 전망됨. 
 
☐ 전문가들은 아프리카 각국 정부의 국내 농업 진흥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함.
- 코로나19 위기는 자연재해와 생산 부족으로 이미 취약하던 아프리카 국가의 식량 안보 위기를 더욱 심화함.
ㅇ 코로나19 위기 이전에도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는 약 2억 5,000만 명이 식량 부족 상황에 놓여 있었으며, 코로나19로 인한 무역 감소와 경제 활동 중단으로 초래된 식량 가격 인상은 많은 아프리카인에게 중대한 위협임.
ㅇ 지난 2019년 짐바브웨를 덮친 사이클론과 에티오피아와 케냐에서 농경지 약 10만 헥타르를 초토화한 메뚜기떼 등 기후 변화의 결과로 나타나는 자연재해 또한 아프리카의 식량 안보를 위협하는 중요한 요인임.
- 전문가들은 아프리카 지역 내 교역 강화를 통한 안정적인 식량 공급망 확보와 국내 농업 진흥, 첨단 농법 도입, 자연재해에 강한 작물 개발 등 농업 생산성 향상을 위한 기술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분석함.
ㅇ 제니퍼 블랭크(Jennifer Blanke) 아프리카개발은행(African Development Bank) 농업 및 인간개발팀 부팀장은 자국내 농업 발전을 통한 식량 생산량 증가와 아프리카 국가 간 교역 강화를 통한 안정적 식량 공급망 확보 필요성을 강조함. 
 ㅇ 국제통화기금(IMF)의 아프리카 전문 경제학자인 프리타 미트라(Pritha Mitra)와 최승모(Seung Mo Choi)는 아프리카의 식량 위기 해결을 위해서는 각국 정부가 첨단 농업 기술 도입, 관개 시설 확충과 가뭄과 병충해에 강한 종자 개발과 보급 등 농업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지원책을 시행해야 한다고 분석함.


< 감수 : 이진상 한국뉴욕주립대학교 교수 > 

* 참고자료
Brookings, Economic impact of COVID-19: Protecting Africa’s food systems from farm to fork, 2020. 06. 19.
The East Afrcian, Region likely to lose $5b in export revenue due to Covid-19, 2020. 06. 16.
New Zimbabwe, Government says economic recovery hinged on agriculture, 2020. 06. 15.
Myjoyonline, Agric Ministry takes delivery of 520 tractors to support farmers under Planting for Food and Jobs programme, 2020. 06. 15.
GhanaWeb, ADB to make economy self-sufficient in poultry by 2022, 2020. 06. 11.
The Conversation, COVID-19 recovery is a chance to improve the African food system, 2020. 06. 11.
Weetracker, Africa Could Lose USD 4.8 Bn In Crop Exports Due To Pandemic Disruptions, 2020. 06. 09.
AllAfrica, Ethiopia: Agriculture Ministry to Import Dairy Cattle Breeds, 2020. 06. 07.
IMFBlog, Safeguarding Africa’s Food Security in the Age of COVID-19, 2020. 06. 04.
The Herald, Heifer pass-on scheme rolled out in Manicaland, Masvingo, 2020. 06. 02.
The Nation, COVID-19: Nigeria could cut $160m agroexports losses, says expert, 2020. 06. 01.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