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이슈&트렌드

[이슈트렌드] 아르메니아 총리, 조기 총선 제안.... 야당은 여전히 총리 사퇴 요구

아르메니아 EMERiCs - - 2021/01/07

☐ 아르메니아 정국이 여전히 혼란스러운 가운데 아르메니아 총리가 조기 총선을 제안함. 
- 니콜 파시니안(Nikol Pashinyan) 아르메니아 총리가 조기 총선을 제안함. 
ㅇ 퇴진 위기에 몰린 파시니안 총리는 조기 총선을 통해 현재 아르메니아가 겪고 있는 정치적 위기를 극복하겠다고 발표함. 
ㅇ 파시니안 총리는 총리직은 아르메니아 국민이 마련해준 자리기 때문에 스스로 물러나는 일은 없을 것이라면서, 조기 총선에서 자신에 대한 신임을 다시 확인하겠다고 밝힘.   
ㅇ 파시니안 총리에 따르면 자신이 총리 자리에 있는 상태에서 선거를 치른 후 결과에 따라 사퇴하는 것임. 
- 아르메니아 야권은 파시니안 총리가 자리에 남아있는 한 불공정 선거가 치러질 수 있다고 우려를 표명함. 
ㅇ 아르메니아 수도 예레반(Yerevan)에서 반정부 시위를 이어가고 있는 16개 아르메니아 야당 연합은 파시니안 총리가 선거 과정을 감독하게 된다면 불공정한 조기 총선이 이뤄질 것이라고 우려함.  
ㅇ 야당 연합은 파시니안 총리의 사퇴가 조기 총선보다 우선해야 한다면서 자신들이 새로운 총리로 추대한 바즈겐 마누키안(Vazgen Manukian)이 임시 총리로 조기 총선을 관리해야 한다고 주장함.  

☐ 파시니안 총리 퇴진을 요구하는 대규모 민중시위가 여러 차례 개최됨. 
- 수천 명 이상의 시민들이 2020년 말 아르메니아 수도 예레반(Yerevan)에서 파시니안 총리 퇴진을 요구하는 시위를 개최함. 
ㅇ 12월 22일 아르메니아 야당과 시민들은 파시니안 총리가 아제르바이잔과의 전쟁 패전 책임을 지고 퇴진해야 한다고 주장함. 
ㅇ 12월 28일에는 수백 명의 시민이 아르메니아 국회의사당 앞에서 시위를 개최했으며, 국회의원에게 달걀을 던지고 욕설을 퍼부음. 
ㅇ 앞서 파시니안 총리의 퇴진을 지지하는 세력은 아르메니아 전역에서 총파업과 시위를 예고했으며, 이들은 12월 19~21일 나고르노-카라바흐(Nagorno-Karabakh)에서 희생된 사람을 추모하는 기간이 끝나자 시위를 개최함.   
- 파시니안 총리가 남부 지역 시찰 중 시민들의 저항에 가로막혀 지방 방문을 하지 못함. 
ㅇ 12월 21일 파시니안 총리는 아르메니아 남부 도시들을 시찰하러 나섰으나, 슈닉(Syunik)주에서 시민들의 완강한 저항에 가로막혀 고속도로가 봉쇄되자 헬리콥터를 타고 이동하는 일이 벌어짐. 
ㅇ 슈닉주 시민들은 아르메니아의 땅을 포기한 사람을 용납할 수 없다면서 파시니안 총리를 거부함. 

☐ 아제르바이잔과의 전쟁 패배와 더불어 코로나19로 침체된 아르메니아 경제가 반정부 시위 배경에 있음. 
- 아르메니아의 2020년도 경제 성장률이 –8% 전후에서 형성될 전망임. 
ㅇ 아르메니아 재무부는 아르메니아의 제조업과 건설업이 코로나19로 큰 타격을 받았다면서, 2020년도 경제 성장률로 –7.9%를 전망함.
ㅇ 아르메니아 재무부는 2020년도 2/4분기 아르메니아가 –13.7% 경제 성장률을 기록했으며, 2020년도 3/4분기에는 –9.1%의 경제 성장률을 기록했다고 발표함. 
ㅇ 세계은행(World Bank)은 아르메니아의 2020년도 경제 성장률을 –8.0%로 전망함. 
- 아르메니아 정부가 2021년도 경제 성장률을 3.2%로 전망함. 
ㅇ 아톰 잔주가지안(Stom Janjughazyan) 아르메니아 재무부 장관은 2021년도 아르메니아의 경제 성장률을 3.2%로 전망하면서 이를 달성하기 위해 아르메니아 정부가 열심히 노력해야 한다고 지적함. 
ㅇ 아르메니아 정부는 2021년 국내총생산(GDP)의 약 5.3%에 달하는 재정 적자를 활용해 경기 부양을 펼칠 것이라고 밝힘. 
ㅇ 아르메니아 금융당국은 아르메니아의 2021년 인플레이션을 2020년과 같은 수준인 4% 선에서 유지할 것이라고 밝힘.
ㅇ 세계은행은 아르메니아의 2021년 경제 성장률을 3.1%로 전망함. 
- 아르메니아 드람화 가치 하락으로 아르메니아 거시 경제의 불안정성이 증폭됨.
ㅇ 2020년 12월 아르메니아 드람화 환율은 역대 최저 수준인 1달러당 522드람 선에서 형성되면서 코로나19 위기가 한창이던 2020년 4월 1달러당 500드람보다 약 5% 가까이 상승함. 
ㅇ 아르메니아 중앙은행(Central Bank of Armenia)은 경기 부양을 위해 양적 완화 정책을 펼치면서 기준 금리를 4.25%까지 낮췄었으나, 2020년 12월 15일 환율 방어를 위해 기준 금리를 1%p 인상한 5.25%로 발표함. 
ㅇ 아르메니아 중앙은행은 코로나19 위기가 찾아오기 전인 2020년 3월 기준 금리를 5.25%로 발표했었으며, 이후 4.25%까지 기준 금리를 낮춘바 있음. 

< 감수 : 이평래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 > 


* 참고자료
DW, Armenian prime minister rejects 25,000 protesters' calls to resign, 2020.12.22.
Eurasianet, Without a clear alternative, Pashinyan manages to cling to power, 2020.12.10.
Jam-news, Eggs thrown at MPs, fistfights break out as protests continue in Armenia, 2020.12.28.
Jam-news, 'Let the people decide' – Armenian PM proposes snap parliamentary elections, 2020.12.26.
Jam-news, Strikes and blocked roads in Armenia: how the opposition is trying to overthrow the PM, 2020.12.22.
Jam-news, Why residents of south Armenia block PM's entrance into region, 2020.12.21.
News.am, Why is USD exchange rate rising in Armenia?, 2020.12.15.
Public Radio of Armenia, World Bank forecasts 3.1 percent GDP growth in Armenia in 2021, 2020.01.06.
Radio Free Europe, Armenia's Embattled PM Broaches Snap Elections, 2020.12.25.
Radio Free Europe, Thousands Protest As Armenian Opposition Presses For Pashinian To Resign As Prime Minister, 2020.12.22.
Reuters, Armenia lowers growth forecast to 3.2% as parliament passes 2021 budget, 2020.12.10.
Trading Economics, Armenia Interest Rate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