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문가오피니언

[전문가오피니언] 제조업을 통한 인도네시아 경제 혼란 타개

인도네시아 Fithra Faisal Hastiadi / Jascha Prakoso Hadi Ramba Santoso University of Indonesia - 2021/02/23

해당 오피니언의 영문버전은 하단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You may find English ver. of the article at the bottom.


금융위기 이후 멈춰버린 인도네시아의 성장 모멘텀
인도네시아 경제는 과거 신질서(New Order) 체제 하에 있었던 과거의 눈부신 경제 성장에 가려져 있다. 당시에 발생한 일부 원자재의 가격 상승 현상은 인도네시아 경제가 빠른 속도로 성장하는 데 분명 도움을 주었다. 이와 별개로, 1991년 기준 다른 부문 대비 GDP 기여도가 가장 높았던 인도네시아의 제조업 분야 또한 인도네시아 경제 성장에 커다란 기여를 하였다. 그러나 1990년대 말 발생한 아시아 금융위기가 끝난 지 얼마 되지 않아 인도네시아의 성장 모멘텀은 멈추었다.

루피아(Rupiah)화가 약세인 이유 중 하나로 수출 실적의 지속적 하락을 들 수 있다. 2011년 4/4분기에 발생한 인도네시아 경상수지 적자는 그 이후로 계속 이어져오고 있다. 여기서 크게 문제가 되는 것은 본원소득수지 및 무역수지 적자이다. 본원소득수지 적자는 대부분(약 64%) 직접 투자나 포트폴리오 투자 등 다양한 투자 때문에 발생한다. 

지난 5년 동안 인도네시아 경제 구조는 커다란 변화 없이 전반적으로 비슷한 양상을 유지해 왔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2020년의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그림 1을 보면 알 수 있듯 경제 구조에는 큰 변화가 발생하지 않았다. 산업 부문의전기 기기와 그 부품들이 인도네시아 주요 수출 품목 가운데 5.78%를 기록하며 전체 수출 3위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농업 부문에서의 동물성·식물성 지방과 기름 및 이들의 분해생산물은 2019년 인도네시아 전체 수출의 11.31%를 차지한 바 있다.

경제 구조와 관련하여 지난 5년 동안 커다란 변화가 없었음은 사실이나, 조금 더 오랜 기간에 걸친 추이를 살펴보면 경제 구조에 엄청난 변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림 1> 부문별 GDP
출처: 인도네시아 통계청


<그림 2> 제조업 부문 부가가치(%GDP)
출처: 인도네시아 통계청 및 세계은행


제조업 부진의 여파
지난 10년 동안 수출 실적이 하락한 것은 인도네시아 제조업의 성적이 떨어진 결과라 할 수 있다. 인도네시아 제조산업은 1차 상품과 함께 인도네시아 수출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 인도네시아에서 나타나는 탈산업화 경향으로 인해 제조업 생산품 수출 실적에 악영향이 발생하고 있다. 여기에 더해진 코로나19 팬데믹 사태는 경제에 또 다른 충격을 안겨주었다. 인도네시아의 GDP는 2분기 연속(2020)으로 전년 동기 대비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 이는 인도네시아 국가 경제가 공식적인 침체기에 접어들었음을 의미한다. 같은 기간 동안 투자 또한 전년 대비 및 전 분기 대비 하락세를 보였다. 소비 및 전체 GDP가 2020년 2/4분기에서 3/4분기 사이에 증가한 것과는 달리 투자는 급감했다. 2/4분기에 전년 동기 대비 -7.32%의 역성장을 기록한 투자는 3/4분기에 전년 동기 대비 -10.77%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또 한 차례 감소했다. 

제조업, 운송업, 소매업 및 무역업 등 승수효과가 높은 일부 주요 산업 특히 가장 큰 피해를 입었다. 이들 부문이 3/4분기에 회복세를 보이기 시작한 것은 사실이나, 2/4분기의 성장률은 역대 최악이라 할 수 있는 수준이기 때문이다. 인도네시아의 2021년 경제 성장률은 기저효과에 따라 3.46%(비관적), 4.8%(중도적), 혹은 6%(낙관적) 사이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그림 2>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2000년대 초반부터 인도네시아에서는 탈산업화가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인도네시아의 제조업 수출 성적 측면에서도 비슷한 상황이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1990년대 초부터 2000년대 중반까지 전체 수출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던 제조업 부문 수출량은 원자재 수출량에 추월당했고 현재 하향세를 보이고 있다(wihardja, 2016). 이러한 현상은 2001~2013년 사이에 있었던 원자재 붐 현상의 여파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지난 5년 동안 시행되었던 긴축 재정정책은 자연스레 국내 수요 억제 효과를 냈다. 한편, 때이른 탈산업화로 인해 수출 성적이 부진해지면서 경상수지적자를 줄이기 위한 모든 노력이 탄력을 받지 못했다. 다행히 외부 하방압력이 강했음에도 불구하고 개인 소비는 활력을 유지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소비 증가율이 평균에 약간 못 미치는 수준이었다는 점이다.

인도네시아가 제조업 부문의 경제 기여도를 어떻게 활용하느냐가 핵심이다. Rodrik(2013)에 따르면 성장과 생산성 간 양(+)의 상관관계가 성립하는 제조업 부문은 개발도상국에 있어 두 가지 모두를 동시에 잡을 수 있는 성장의 원동력이다. 이런 관점에서 인도네시아는 자국의 제조업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특히 중진국 함정에서 탈출할 준비를 해야 하는 중간소득국으로서 그 필요성은 더욱 두드러진다. 일견 생산성이 높아 보이지만 국가 내 양질의 인적 자본 없이는 그 힘을 잃는 서비스업 대신, 제조업을 통해 생산성 있는 성장을 달성하는 것이 인도네시아가 달성해야 할 과제이다. 

기술이전을 통한 제조업 활성화가 관건
생산성과 소득이 낮고 안전하지 않은 노동 관행 등으로 표현할 수 있는 비공식 고용 문제는 일자리 확대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바뀌지 않았다. 청년(15~24세)을 위한 일자리 기회가 아직 제대로 마련되지 않은 상태이다. 청년 실업은 전체 실업률에서 상당 부분(62%)을 차지하는 어마어마한 문제이다. 뿐만 아니라 현재의 1인당 소득 증가율(3.9%)로는 중진국 함정을 피하기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고소득 국가로 분류되기 위해서는 1인당 소득 증가율이 최소 6~7%가 되어야 한다(Hardiana & Hastiadi, 2018). 인구 보너스(Demographic Bonus)1) 단계가 지속되는 기간을 고려할 때, 정부가 고용문제에 대해 무관심한 태도를 지속한다면 인도네시아는 성장 모멘텀을 잃게 될 것이다.

서비스 부문과 달리 제조업 부문은 서비스 부문에 비해 농업 부문의 저소득 노동력이 비교적 쉽게 적응하고 참여할 수 있는 산업인 만큼 보다 원만한 구조적 변화에 도움이 될 수 있다(Szirmai, 2012). 다만 일각에서는 정보기술(IT) 보급 확대를 통해 한 나라가 농업 경제에서 서비스 주도형 경제로 바로 도약할 수 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이견이 있을 수 있으나, 기술이전(technological transfer)이야말로 모든 경제체가 추구해야 할 제조업 부문의 가장 중요한 특성이라고 단언할 수 있다. 개발도상국은 외국인직접투자(FDI)를 통해 선진 경제체로부터 기술을 확보하면서 특정 산업의 중요한 특징을 흡수할 수 있다. 개발도상국은 이렇게 취한 요소를 발전시켜 추후 자국의 비교우위로 삼거나, 혹은 기존의 비교우위를 강화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Krugman, 1979). 기술이전이라는 개념이 선진국에는 해로운 것처럼 들릴 수 있으나, 중국을 위시로 하여 태국, 베트남 등 여러 국가들이 기술이전이라는 기반 위에 탄탄한 경제를 성공적으로 구축하고 있음은 자명하다(Archibugi & Pietrobelli, 2003). 그러므로, 인도네시아가 지난 수십 년간 막대한 경제 성장을 편안히 누려 왔음은 사실이나 앞으로 보다 지속 가능하고 포용적인 경제 성장을 이루려면 제조업 부문의 잠재성을 개발하고 극대화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기술이전을 통해서 인도네시아 인적 자본 측면의 발전 또한 이룰 수 있다. 인도네시아에 투자한 해외 기업을 통해 지식을 얻거나, 훨씬 더 좋은 능력과 장비를 갖춘 근로자가 인도네시아 제조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여 이 분야를 발전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제조업을 탄탄히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제조업 발전을 가로막는 문제점을 규명하는 것이 중요하다. 현재 시점에서 인도네시아 제조업의 잠재력 극대화를 가로막는 주요 이슈는 두 가지가 있다. 자금조달 부족과 교역량 부족이 바로 그것이다.

자금 부족은 특정 산업을 위한 산업은행이 부재하고, 이에 따라 제조업이 은행권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이다. 분석에 따르면 경제적 불균형과 글로벌 수요 침체 또한 자금조달 부족의 주된 원인인 것으로 보인다 (Jascha & Hastiadi F.F., 2020). 경제적 불균형의 경우, 인도네시아는 국내적⸱대외적 불균형을 모두 겪고 있어 상황이 쉽지 않다. 먼저 인도네시아 국내적 불균형의 주요 원인으로는 자바(Java) 지역에 경제력이 집중되어 있는 데다가 자바를 제외한 다른 지역에는 인프라가 불충분한 것에서 나타나는 지역간 격차를 들 수 있다. 반면 인도네시아의 대외적 불균형은 원자재 가격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것에서 기인한다. 원자재 가격에 대한 의존도가 높으면 경상수지와 수출의 불균형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도네시아가 앞으로 대외적 불균형 문제를 개선하려면 제조업 부문의 경쟁력을 한층 끌어올리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곧 인도네시아가 마주하고 있는 또 다른 문제인 교역량 부족 문제와도 관련이 있다. 교역량 부족으로 인한 자국의 비교열위와 비교우위에 대한 고찰 및 투자부족으로 산업화 내지 제조업 활성화가 지연되고 있기 때문이다. . (Hastiadi F.F.& Nurunnisa A. ,2017) 제조업과 교역 간에 얽힌 상황은 복잡하다. 현재 대외적 불균형이 제조업 발전을 가로막는 주요 문제로 꼽히고 있는 상황에서 어떻게 제조업 발전을 통해 대외 불균형 문제를 타개할 수 있다는 말인가? 조코 위도도(Joko Widodo) 대통령 취임 이후 인도네시아 정부가 국내적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대적으로 들인 노력은 이미 어느 정도의 성과를 내고 있다. 기업환경 개선과 투자 진작을 위해 만들어진 옴니버스 법(omnibus law)인 일자리 창출에 관한 2020년 제 11호법이 그 예시이다. 이 법은 인도네시아 투자를 가로막는 주요 장애물 중 하나였던 관료적 비효율성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하고 있다. 이 법을 통해 투자 유치에 오랫동안 걸림돌이었던 관료적 형식주의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 제조업 지원 정책의 기조 변화는 인프라 개선 노력을 통해서도 짐작할 수 있다. 현 정부 정책은 산업은행을 통한 금융계의 직접적인 제조업 지원이 아니라 물리적 인프라를 통한 제조업 지원 확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는 궁극적으로 제조업 자체의 발전 또한 견인한다는 점에서 고무적이다. 

그러나 기업이 생산하고 번영할 수 있는 주된 원동력이 자금 지원인 만큼 금융계를 통한 지원 또한 무시할 수 없다. 금융업을 통한 제조업 지원의 해답은 금융심화에서 찾을 수 있다. 금융심화는 시장에 기반하여 자원의 효율적 배분을 가능하게 하므로, 금융 자원 배분이 실제로 일어나는 실물 부문에 자본 시장(주식시장 및 채권시장)이 보다 폭넓고 실질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 각주
1) 인구 보너스(Demographic Bonus)는 생산 인구수(15-64세)가 비생산 인구수 보다 많은 상태를 일컬으며, 인도네시아는 2018년 기준 생산 인구수가 전체 인구수의 67.6%를 달성하여 인구 보너스 단계에 진입함.

3

Surviving the Economic Turmoil through Manufacturing Sector in Indonesia

End of the Growth Momentum After the Financial Crisis
Indonesian Economy has been overshadowed by its past remarkable economic growth during the new order era. During those years, the presence of several commodity booms did assist Indonesia's high-paced economic growth. Aside from that, Indonesia's manufacturing sector also provides a significant contribution in assisting Indonesia's economic growth, where it provides the most significant portion in terms of contribution to GDP in 1991, compared to other sectors. But soon after the Asian financial crisis in the late 1990s, the growth momentum had been halted.
 
A persistent decrease in export performance may explain the poor performance of Rupiah. Indonesia experiences current account deficit since the fourth quarter of 2011 and it has been prolonged ever since.  The major problem here is the deficit in the primary income account and trade balance. The deficit in primary income is mostly (around 64 percent) attributable to investments, such as direct, portfolio, or other investments. 

The structure of the Indonesian economy in the last five years has generally remained the same without any significant changes. Despite the recession in 2020 caused by the pandemic, Figure 1 presents no significant changes in the structure of the economy. By far, in the industrial sector, exports of electrical machinery and equipment and parts thereof alone reached 5.78% or the third largest among Indonesia's leading export commodities. Meanwhile, the agricultural sector, in this case, exports of animal or vegetable fats and oils and their cleavage products, constituted 11.31% of all Indonesian exports in 2019 or the second largest.

As far as the structure of the economy is concerned, despite no significant changes in the last five years, if we look at a longer span of years, we can see a significant change in the structure of the economy. 

<Figure 1> GDP by Sector
Source: Statistics Indonesia

<Figure 2> Manufacture Sector Value Added (%GDP)
Source: Statistics Indonesia and World Bank

The Aftermath of a Sluggish Manufacturing Sector
Over the last decade, the poor export performance has become a product of depleting performance of Indonesia’s manufacturing industries. These industries have a major role in Indonesia’s exports besides the primary commodities. However, today Indonesia tends to suffer deindustrialization that affects the performance of manufacturing output’s exports. 

Unfortunately, The COVID-19 pandemic has effectively put another shock to the economy. In two consecutive quarters (2020), Indonesia's GDP recorded a negative year-on-year (YoY) growth. This officially brings the country's economy to a recession. Also in the same consecutive periods, the investment fell both you and quarter-on-quarter (QoQ). Unlike consumption and GDP in general, which improved from the second quarter to the third quarter of 2020, investment has otherwise slumped. After experiencing negative YoY growth of -7.32% in the second quarter, investment plunged further in the third quarter with a YoY growth of -10.77%.

Some of the main sectors that give a high multiplier effect such as manufacturing, transportation as well as retail and trade have been the hardest hit. Even though these sectors started to recover in the third quarter, their growth in the second quarter was one of the worst. We project that Indonesia's economic growth in 2021 will be ranging from 3.46% (pessimistic), 4.8 percent (moderate) to 6% (optimistic) due to the baseline effect.

Nevertheless, Indonesia has been experiencing persistent deindustrialization since the early 2000's as shown in Figure 2. A similar situation also seems to have occurred in terms of Indonesia’s manufacturing export performance. After a strong share of export domination within the period of early 1990s to mid– 2000s, the share of export contribution from the manufacturing sector fell behind raw commodities and tend to show a negative trend (Wihardja, 2016). That phenomenon is believed to be occurred due to the impact of the commodity boom during 2001 – 2013 period. Measures over the last 5 years have been naturally restraining domestic demand. But sluggish exports, due to premature deindustrialization, have been compromising every effort to curb the current account deficit. Fortunately, personal consumption remained buoyant amidst the heavy external pressure. But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consumption growth is somewhat below average. 

The key strategy lies in how we can leverage the manufacturing sector's contribution to the economy. According to Rodrik (2013), the manufacturing sector is a mode of growth for developing countries that could help them achieve convergence, due to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ctor growth & productivity. From this standpoint, Indonesia needs to utilize its manufacturing sector, especially with its current position as a middle–income country that needs to prepare itself to escape from middle – income trap problem. Productive growth through the manufacturing sector is what Indonesia needs to achieve, instead of the service sector that seemed to be more productive, but only valid if the country already has a strong human capital endowment.

Revitalizing Manufacturing Sector through Technological Transfer
Despite job expansions, the situation of informal employment—often known as jobs with low productivity and income and unsafe work practices—has not changed. Job opportunities for young people (aged 15-24) are still underdeveloped. This youth unemployment is somewhat staggering since its ratio to the total employment is quite dominant (62 percent). Moreover, with the current rate of income-per-capita growth (3.9 percent), escaping from the middle-income trap is somewhat far-reaching. We need at least 6 to 7 percent of income per capita growth (Hardiana and Hastiadi, 2018) to be classified as one of the high-income countries. Considering the period of demographic bonus1), we will lose the momentum if the government still sees this as business as usual. 

The manufacturing sector could provide a smoother structural work transformation (Szirmai, 2012) since it enables a relatively easier transition for low-skilled labor from the agricultural sector to adapt and participate in the manufacturing sector compared to the service sector. One might argue that the penetra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IT) could help a country to leap from an agriculture economy directly to a service-driven economy. Technological transfer is arguably the most important feature of the manufacturing sector that each economy needs to pursue. By obtaining technology from more advanced economies through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developing economies could absorb any important features of specific industry that they will develop and might become their comparative advantages in the future or strengthening their comparative advantages (Krugman, 1979). Although the concept of technological transfer sounds harmful for advanced economies, it is conspicuous that several countries are successfully building their strong economy based on the foundation of technological transfer, such as Thailand, Vietnam, and most notably, China (Archibugi & Pietrobelli, 2003). Therefore, despite Indonesia's immense and comfortable economic growth for the past decades, it is believed that by developing and maximizing the potential from the manufacturing sector, Indonesia could provide more sustainable and inclusive economic growth. Improvement in terms of Indonesia's human capital could also be obtained through technological transfer. From this scheme, it is believed that Indonesia's manufacturing sector could be developed due to knowledge obtained from foreign firms that invested in Indonesia and much better-equipped workers to participate in this sector. In order to achieve a strong manufacturing sector, defining problems that hinder the development of the manufacturing sector is important. From the current perspective, there are two major issues that disturbing the further potential maximization of Indonesia's manufacturing sector, which are lack of financing and lack of trade.

Lack of financing occurs due to the non-existence of specific industrial banks and therefore making it more difficult for the manufacturing sector to attract financing from the banking sector. Furthermore, it can be analyzed that the lack of financing issues is mainly caused by economic imbalances & weak global demand (Jascha & Hastiadi F.F, 2020). In terms of economic imbalances, Indonesia's position is relatively tough, since Indonesia is experiencing both domestic and external imbalances. Domestic imbalances in Indonesia are mainly caused to a regional discrepancy in which caused by an imbalance economic concentration in Java as well as inadequate infrastructure for other regions outside Java. Meanwhile, Indonesia's external balance is caused by high dependence on the price of the commodity, which then leads to imbalances in current account and export. Hence, it is important for Indonesia to develop a more competitive manufacturing sector to create a better external balance in the future, and it also relates to lack of trade issue that faced by Indonesia. (Hastiadi F.F.& Nurunnisa A. ,2017) This situation is a complicated matter, because how can the manufacturing sector develop and tackle external imbalance if the current external balance itself is one of the major issues that hinder the development of the manufacturing sector? 

Strong efforts and positive progress from the Indonesian Government since the presidency of Joko Widodo to tackle the issue of domestic imbalances have already shown some progress, not to mention Law number 11 of 2020 on Job Creation, an omnibus law that aims to improve ease of doing business and boost investment. This law becomes the answer to one of the main obstacles to investing in Indonesia, namely bureaucratic inefficiency. The law is expected to cut the bureaucratic red tape that has long deterred investment.

In addition, government effort on infrastructure also shows a different "shift" in terms of the policy to support the manufacturing sector. Instead of supporting the manufacturing sector directly from the financing sector through the industrial bank, current government policy is providing more support through hard infrastructure, which in the end could also support the development of the manufacturing sector. 

However, support from the financial sector still couldn't be ignored, since its importance as the main driver for firms to produce and thrive. Therefore, the answer to support the manufacturing sector from the financial sector lays in financial deepening. Furthermore, financial deepening also involving a more market–based resource allocation within a country, hence it's primarily involving the broad and real impact from the capital market (equity and debt market) to the real sector, in which the financial resources are allocated. 


1) Demographic bonus is a condition in which the productive age(15-64 years old) population is more than the non-productive population. Since 2018, Indinesia’s productive age population reached 67.6% of total population and entered Demographic bonus phase.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