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문가오피니언

[전문가오피니언] 미얀마와 이웃 메콩 국가의 수입 시장 비교

미얀마 Thunt Htut Oo 동국대학교 국제통상학과 조교수 2021/05/04

해당 오피니언의 영문버전은 하단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You may find English ver. of the article at the bottom.




미얀마의 상품 시장 구조 변화
미얀마의 교역량은 2011년부터 꾸준히 증가했다. 특히 이웃 국가로부터의 수입량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점진적 관세 철폐와 더불어 물류서비스 등의 무역 관련 인프라 확충으로 인해 미얀마로 쏟아져 들어오는 외국산 제품의 양이 늘어나고 있음을 시사한다. 물류 인프라 개선으로 운송 비용이 줄어들고 시장 접근성은 확대되었으며, 가격, 품질, 브랜드 측면에서 수입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선택의 폭이 넓어지면서 미얀마의 시장 구조 또한 바뀌기 시작했다. 정책 입안자나 수출 업체들 또한 이러한 트렌드에 발맞추어 미얀마와 주변 국가들의 시장을 이해하면 보다 적절한 수출 전략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글은 태국, 라오스, 캄보디아, 베트남 등 메콩강 지역 주요 4개국과 미얀마의 수입 시장을 비교하여 한국 수출업체에 전략적 수출품목 선정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무역 경쟁력 파악 및 분석
비교 우위(Comparative advantage)는 한 국가의 무역 경쟁력을 측정할 때 고려해야 할 중요한 개념이다. 특정 국가의 무역 경쟁력을 나타내는 대표적 수치로 국제시장점유율(IMS, International Market Share), 무역특화지수(TSI, Trade Specialization Index), 현시비교우위(RCA,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의 세 가지를 들 수 있다. 이 중 RCA는 한 국가 내 상품 각각의 상대적 비교우위를 설명하는 지수로, RCA를 토대로 미얀마가 비교우위를 가진 상품과 그렇지 않은 상품이 무엇인지를 파악할 수 있다. 미얀마의 입장에서는 비교우위가 있는 상품을 특화하는 한편 비교열위에 있는 상품은 국내 생산보다는 수입을 추진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즉, 미얀마로 상품을 수출하고자 하는 국가나 업체는 미얀마가 비교열위를 가지고 있는 부문에 해당하는 상품의 수출에 주력해야 한다. 

이후 소개될 관련 자료들은 농산품, 직물품, 식료품, 중공업품, 그리고 경공업품의 다섯 가지 범주로 구성되어 있다. RCA 점수가 1점 미만인 경우에만 표에 해당 수치를 명기하였으며, 이 경우 미얀마와 메콩강 주요 4개국들은 해당 상품들을 현지 생산하기보다 수입해야 한다. 반대로 점수가 없는 상품은 각국이 해당 상품에 비교우위를 지녔다는 의미로, 현지에서 생산하여 다른 나라로 수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에 점수가 기록된 항목들은 모두 RCA가 1미만으로 다섯 나라 모두에 수출을 고려할 것을 추천한다. 다만 타국이 비교우위를 가지고 있는 상품의 경우 해당국으로부터의 수출경쟁이 예상되므로 주의할 필요가 있다. 특히 미얀마 시장에서 타국이 비교우위를 가지고 있는 상품들의 경우 이들 국가들로부터의 수입품과 경쟁해야 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표 1>에 소개된 농산품 중에서 미얀마가 비교열위에 있는 전분(HS코드 11류)의 경우 비교우위를 지닌 타국으로부터 수입할 수 있다. 5개국 모두가 비교열위에 있는 상품들 중에서 2018~2019년간 수요가 크게 증가한 항목으로는 팜유(HS코드 1511, 816% 증가), 쇠고기류(HS코드 0202, 733% 증가), 그리고 버터밀크(HS코드 0403, 300% 증가)를 들 수 있다. 이들 항목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다음과 같다. 

<표 1> 미얀마가 수입해야 하는 농산품 (2019년)
* 출처: www.trademap.org (2021년 2월 접속) 
* 참조: 점수가 기록된 RCA 점수는 1 미만이며, 점수가 없는 공란은 RCA 점수가 1 이상임을 의미한다.


미얀마 내 팜유 소비량은 대체로 높은 편이며, 그 대부분은 인도네시아로부터 수입된다. 국제무역센터(ITC, International Trade Center)의 자료에 따르면 미얀마에 공급되는 팜유의 90.7%가 인도네시아산으로, 한국 수출기업의 경우 이러한 독점적 점유율과 경쟁해 볼만 한 잠재력이 있다.

또한 2011년 정권교체 이후 젊은 세대의 식성 변화로 육류소비 또한 증가 추세에 있는데, 여기에는 고급 음식에 지갑을 열 수 있는 중산층의 성장에 발맞추어 각종 식당에서 쇠고기 메뉴를 도입한 점도 이유로 작용한다. 주목할 만한 것은 미얀마 내에서 육류 생산을 위해 도축되는 소의 연령대가 높다는 점인데, 이렇듯 노령의 소로 생산된 고기는 외식업체에서 주로 제공하는 요리에 쓰기에는 적합치 않기에  수입 쇠고기에 대한 수요로 이어질 수 있다. 미얀마 비즈니스 투데이(Myanmar Business Today)에 따르면 쇠고기와 돼지고기의 미얀마 수출에 성공한 최초의 미국 기업은 아이다호주의 보이즈(Boise)에 위치한 애그리 비프 컴퍼니(Agri Beef Company)로, 워싱턴주 태평양 항구와의 접근성을 바탕으로 미얀마 등 아시아 시장 개척에 성공한 사례이다.

마지막으로 평균 소득의 증대로 건강 및 영양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우유 및 유제품에 대한 수요 또한 늘어났으며, 특히 버터밀크 수입량은 300%가량 폭증했다. 이에 반해 미얀마 인사이더(Myanmar Insider)에 따르면 미얀마 국내 낙농업 분야는 아직 개발 초기 단계로 국내 수요를 모두 충당할 수 없기에 해당 상품에 비교우위를 가지지 못한 태국에서조차 유제품을 수입하고 있는 실정이다. 버터밀크의 경우 수입시장의 72.8%를 태국이, 그리고 유제품 전반 수입시장의 49.2%를 뉴질랜드가 차지하고 있다. 

<표 2>에 제시된 직물품 시장 진출을 희망하는 한국 수출업체는 미얀마의 CMP(cut-make-pack, 재단-생산-포장) 공정을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미얀마가 직물 산업 내 몇몇 제품군에서 비교열위를 보이는 이유가 바로 CMP 공정이다. 미얀마 의류업계 기업은 대부분 CMP 공정을 따라 견사나 단추를 포함하여 의류 생산에 사용되는 기타 원자재 일체를 수입한다. 하지만 HS 코드 제50류에서 제63류까지에 속하는 직물산업 관련 제품의 RCA 점수는 지난 9년 동안 향상되었다. 제63류에 대한 RCA 점수를 예로 들어 보자. 저자의 계산에 따르면, 해당 품목의 점수는 2010년의 0.012에서 출발하여 2014년에는 0.6022로, 2018년에는 0.9350로 상승했다 (2019년에 잠시 0.2235로 하락함). 이는 미얀마가 의류 산업 내 일부 품목에서 비교우위를 확보해 나가기 시작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표 2> 미얀마가 수입해야 하는 직물품 (2019년)
* 출처: www.trademap.org (2021년 2월 접속) 
* 참조: 점수가 기록된 RCA 점수는 1 미만이며, 점수가 없는 공란은 RCA 점수가 1 이상임을 의미한다. 


5개국 모두가 비교열위에 있는 직물 제품들 중 2018-2019년간 수입액이 크게 증가한 항목에는 레이크 색소 (HS코드 3205, 557% 증가) 및 아마천 (HS 코드 5309, 5만 6,175% 증가) 이 포함된다. 아마천의 경우 그 수입액이 2015년의 1만 8,000 달러에서 2019년에는 225만 달러로 늘어났다. 이에 대응해 미얀마 국내의 의류업계는 원자재 전량을 수입하는 FOB(free on board) 거래조건에서 국산 원자재 사용을 의무화하는 CIF(Cost, Insurance and Freight)조건으로의 이행을 위해 노력 중이다.

한국 식료품 수출 기업은 <표 3>에 소개된 모든 식료품에 대해 비교우위를 가진 태국 브랜드가 진출해 있는 미얀마와 캄보디아 시장을 조사해 볼 필요가 있다. 2019년 기준 미얀마 시장 내 HS코드 22류(음료, 주류, 식초) 상품 중 태국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78.8%였으며, 이는 2018년 대비 41% 상승한 수치이다. 캄보디아의 경우 해당 제품군 시장에서 태국산의 점유율은 68.2%이며 연간 성장률은 48%로, 따라서 HS코드 22류의 경우 미얀마와 캄보디아 수입시장 모두에서 태국산의 점유율이 두드러진다. 해당 제품군 중 2018~2019년간 수요가 크게 증가한 항목에는 밀가루 및 그 가공식품(HS코드 2301, 811% 증가), 사과주스(HS 코드 2206, 551% 증가), 그리고 카제인(HS코드 3501, 331% 증가) 등이 있다.

<표 3> 미얀마가 수입해야 하는 식료품 (2019년)
* 출처: www.trademap.org (2021년 2월 접속) 
* 참조: 점수가 기록된 RCA 점수는 1 미만이며, 점수가 없는 공란은 RCA 점수가 1 이상임을 의미한다. 


경제정보센터(Economic Intelligence Center) 측 자료에 따르면 기업 수를 기준으로 미얀마에서 규모가 가장 큰 하부산업은 국내 기업 수의 64%를 차지하는 식품 및 음료 관련분야로, 관련 제품 생산에 필요한 원자재 수요가 많다. 미얀마 국내 최대의 음료 제품 제조사는 로이 하인(Loi Hein)과 MGS 베버리지스(MGS Beverages) 등이고, 현재 수입되고 있는 한국 음료 브랜드로는 박카스-D, 비타500, 그리고 삼다수 등이 있다.

<표 4>에 나타나 있는 중공업 제품 분야에서 한국 수출기업은 태국 등의 국가가 비교우위를 보이는 상품을 제외하고 5개국 모두가 비교열위에 있는 상품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태국은 일부 제품군(HS코드 70류, 73류, 80류, 84류, 85류, 87류, 91류, 93류)에 비교우위를 가지고 있고, 이는 태국이 상기 제품 생산에 필요한 선진 산업 인프라를 비교적 잘 갖추고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한국 수출업자는 제품 차별화를 꾀하거나 태국이 비교열위에 있는 제품에 주력해야 한다. 큰 폭의 성장세를 보이는 중공업 제품에는 핵산(HS코드 3822, 443% 증가), 굴절시멘트(HS코드 3816, 562% 증가), 진단 및 연구용 시약(HS코드 3822, 443% 증가), 유압브레이크액 (HS코드 3819, 365%), 바이오디젤 및 그 혼합제품 (HS코드 3826, 326%), 선철(HS코드 7201, 1,142% 증가), 금속막대 및 금속봉(HS코드 7214, 735% 증가), 알루미늄 철사(HS코드 7605, 658%), 금속 전선(HS코드 7610, 277% 증가), 열차선로 부품(HS코드 8607, 1,708% 증가), 항공기 이륙기어(HS코드 8805, 5만 4,958% 증가) 등이 있다. 2011년 이래 미얀마 건설업계의 성장으로 굴절시멘트, 선철, 금속막대 및 금속봉, 알루미늄 철사 등 많은 제품들에 대한 수요가 커져가고 있다. 

<표 4> 미얀마가 수입해야 하는 중공업품 (2019년) 
* 출처: www.trademap.org (2021년 2월 접속) 
* 참조: 점수가 기록된 RCA 점수는 1 미만이며, 점수가 없는 공란은 RCA 점수가 1 이상임을 의미한다. 


<표 5>에 제시된 경공업 제품들 중 한국 수출기업은 5개국 모두가 비교열위에 있는 상품에 주력할 필요가 있다. 2018~2019년 견실한 성장세를 보인 부문에는 영화용 필름(HS코드 3706, 338% 증가), 렌즈(HS코드 9002, 905% 증가), 안경테 및 받침대(HS코드 9003, 668%), 광학현미경(HS코드 9033, 283% 증가), 그리고 상아가공품(HS코드 9601, 4,467% 증가)이 있다. 2011년 이래 휴대전화가 널리 보급되었고, 외모에 관심이 많은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콘택트렌즈 수요도 커졌다. 이 상품들은 기술부족으로 인해 미얀마 국내에서 생산되지는 않지만 특히 HS코드 25, 34, 39, 41, 43, 69, 91류 등 일부 상품은 비교우위를 가진 태국과의 수출경쟁이 예상된다.

<표 5> 미얀마가 수입해야 하는 기타 경공업품 (2019년)
* 출처: www.trademap.org (2021년 2월 접속) 
* 참조: 점수가 기록된 RCA 점수는 1 미만이며, 점수가 없는 공란은 RCA 점수가 1 이상임을 의미한다. 


미얀마로의 수출 전략과 향후 전망
이 글은 미얀마를 비롯해 태국, 라오스, 캄보디아, 그리고 베트남 등 메콩 국가들의 수입시장 비교를 통해 한국 수출기업의 주력상품 결정에 필요한 전략적 정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으며, 이를 위해 5개국 모두가 비교열위에 있는 품목들을 소개했다. 미얀마만이 비교열위에 있는 제품을 선정해 수출할 경우 인접 타국으로부터의 수입제품과 치열한 경쟁을 치를 수 있기에 이들 국가 전체가 비교열위를 보이는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해 한국 수출기업은 같은 범주에 속하는 제품 여러 가지를 선택해 시장 다변화를 노릴 수도 있으며, 여기에는 미얀마, 라오스, 베트남으로의 도자기 제품 수출을 예로 들 수 있다. 

이에 더해, 보다 넓은 관점에서 한국 수출기업이 고려해볼 만한 점들을 간단히 짚어 보자면, 첫째, 한국의 수출업체들은 태국과 베트남의 수입품으로 대체될 수 있는 제품에 대해 가격 경쟁력을 갖추어야한다. 둘째, 미얀마 시장에서 경쟁하는 수입 제품들이 늘어남에 따라 브랜딩은 중요한 전략 도구가 되었음을 명심해야 한다. 셋째, 수출 품목을 선택할 때, 한국-미얀마 FTA와 경쟁국-미얀마 FTA 사이의 관세를 비교해야 한다. 넷째, 미얀마는 동서경제회랑(East West Economic Corridor)과 남경제회랑(South Economic Corridor)을 통해 태국, 캄보디아, 라오스, 베트남과 더욱 연계될 것으로 예상되어 GVC참여지수(GVC Participation Index) 분석이 이루어짐에 따라 메콩강 지역 내 더욱 생산적인 지역가치사슬(Regional Value Chain)의 중요성이 주목받을 것이다.

비록 한국 입장에서 미얀마가 잠재력이 높은 수출시장이기는 하지만, 해당 시장은 정치적, 지정학적 문제점도 많이 안고 있다. 현재 미얀마는 예상치 못한 군사정변으로 인해 미국과 영국으로부터 경제 제재를 받고 있으며, 미국인 및 미국 기업과의 거래가 중지되는 등의 제약을 안고 있다. 이러한 제재로 인해 미얀마는 앞으로 중국 및 다른 아시아 국가와의 무역 관계에 더 의존하게 될 수 있다. 또한 미얀마의 불안한 정치 상황은 지역 경제 협력을 지연시켜 많은 한국 수출업자들에게 타격을 줄 것이다. 만약 민간정부가 성공적으로 권력을 회복한다면 미얀마와 한국의 경제 협력 관계는 다시 회복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1


Comparing the Myanmar's Import Market with Neighboring Countries



1. Background of the issue
Since 2011, the export and import volumes of Myanmar have gradually risen. The import volumes of foreign products from neighboring countries are rapidly increasing. It indicates that more foreign products are rushing into Myanmar due to the gradual reduction of tariffs and increased numbers of trade-related infrastructures such as logistic services. As the consumers have wider selections of foreign products in terms of price, quality, and brands, the structure of import markets in Myanmar has also begun to change. The improved logistic infrastructure has reduced transportation costs and facilitated access to the Myanmar market. Hence, understanding the import markets can help policymakers and exporters abroad to launch the relevant export strategy for the Myanmar market. And this article is conducted to provide strategic implications on item selection to Korean exporters by comparing import markets in Mekong Economies: Thailand, Laos, Cambodia, and Vietnam. 

2. Causes and Analysis
2.1. Measuring Trade Competitiveness 
Comparative advantage is an essential concept to be considered for measuring the trade competitiveness of a nation. There are three traditional measurements for the trade competitiveness of a nation: international market share (IMS), Trade Specialization Index (TSI), and RCA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Among the indexes, RCA addresses the relative comparative advantage of each product in a nation. RCA helps us to explore products where Myanmar has a comparative advantage and disadvantage. Hence, Myanmar should specialize in the products with a comparative advantage while importing the products with a comparative disadvantage. Korean exporters should focus on exporting the products that belong to the sectors that Myanmar has a comparative disadvantage.


2.2 Analysis 
The findings are classified into five tables: agro-based; textile; food; heavy and light industries. Only the items with RCA scores below 1 are organized in the tables and Myanmar and the rest of Mekong Economies should not produce these items locally but import them from abroad. The products without scores indicate the RCA scores larger than 1, which refer to a comparative advantage. Hence, these products are recommended to be produced locally and exported to other nations. 

First, foreign exporters are recommended to consider exporting these products listed in the tables to all five nations. However, they should be cautious for selecting the items where other nations are at a comparative advantage, as the items can be imported from the nations. 

Second, regarding the products of Myanmar where other nations enjoy a comparative advantage, foreign firms could face a strong competition with imported products from other nations. 

[Table 1] Agro-based Products that Myanmar should import from abroad (2019)
Note: All RCA scores are less than 1; each blank without scores refers to RCA score larger than one

Regarding agro-based products, the products at a comparative disadvantage are organized in the [Table 1]. Myanmar shows a comparative disadvantage for HS 11 at which other nations have a comparative advantage and can export to Myanmar. Among the products showing a comparative disadvantage in all five nations, products with surge in demand between 2018/19 were palm oil (HS 1511, 816%), meat of bovine animals (HS0202, 733%), and buttermilk (HS 0403, 300%). 

First, the consumption of palm oil in Myanmar is generally high and its supplies mainly rely on the imports from Indonesia.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Trade Center (ITC), as of 2019, palm oil from Indonesia accounts for 90.7% in Myanmar. Hence, foreign exporters can have a chance to compete their shares in palm oil market in Myanmar. Second, since 2011 when the new government took the power, meat consumption has been growing due to the young population looking for new tastes. Also, modern restaurants and bars begun serving beef dishes, as growing middle class are willing to pay premiums for good food. In fact, aging cows are main sources for beef production in Myanmar which is not suitable for cooking styles in foreign restaurants in Myanmar. According to the Myanmar Business Today, Agri Beef Company was the first US producer to sell beef and pork products in Myanmar. The company is located in Boise, Idaho where is close to the Pacific shipping ports in Washington, that enabled them to expand their business into Asia including Myanmar. Third, as more people begun increasing their incomes and attention on health and nutrition, milk and dairy products have been highly demanding in Myanmar. Especially, the import of buttermilk has been rapidly increasing by 300%. However, according to the Myanmar Insider, the domestic dairy sector is in an early stage of development and has not been able to meet local demand. Even though Thailand does not have a comparative advantage in the dairy products, Myanmar does not have a choice but to import the dairy products from Thailand. Thailand accounts for 72.8% in the import of buttermilk in Myanmar while New Zealand takes 49.2% in overall diary products. 

[Table 2] Textile products that Myanmar should import from abroad (2019)
Note: All RCA scores are less than 1; each blank without scores refers to RCA score larger than one


Regarding the textile products as shown in [Table 2], foreign firms should understand the CMP (cut-make-pack) production system in Myanmar. The CMP production is the reason why Myanmar has a comparative disadvantage in several product lines in textile. The businesses in the garment sector are mainly operating under CMP production. Under CMP production, all the raw materials such as fabric, buttons, and other raw materials, etc are imported for making clothes. But the RCA scores for textile-related products ranging from HS 50 to HS 63 have improved over the past nine years.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author’s calculations of RCA scores from 2010 to 2019, RCA scores of HS 63 in 2010 was 0.012, which increased to 0.6022 in 2014 and 0.9350 in 2018 but decreased to 0.2235 again in 2019. It indicates that Myanmar will start gaining a comparative advantage in some items of garment sectors. Among the textile products that show a comparative disadvantage in all five nations, colour lakes (HS 3205, 557%) and woven fabrics of flax (HS 5309, 56,175%) showed a rapid growth between 2018/19. For instance, the import of woven fabrics of flax has increased from 18,000 dollars in 2015 to 2.25 million dollars in 2019. The garment sector has tried to improve from FOB export where all raw materials are imported to CFI export that requires raw materials to be purchased locally. 

[Table 3] Food products that Myanmar should import from abroad (2019)
Note: All RCA scores are less than 1; each blank without scores refers to RCA score larger than one


Regarding food products as shown in [Table 3], foreign companies are recommended to conduct market research on Thailand’s brands in Myanmar and Cambodia markets, as Thailand shows a comparative advantage in all food products and is expected to export them to Myanmar and other nations. According to the trade data from the Trade map generated by the ITC, Thailand products’ share in Myanmar’s import of HS 22 is about 78.8% as of 2019 when annual growth in value between 2018 and 2019 is 41%. In addition, its share in Cambodia’s market is about 68.2% and its annual growth is about 48%. Thus, Thailand’s products dominate the import markets of HS (22) in Myanmar and Cambodia. Among the products, the product that are in high demand between 2018 and 2019 are flours, meals and pellet (HS 2301, 811%), cider (HS 2206, 551%), and casein (HS 3501, 331%). According to Economic Intelligence Center, food and beverage is the largest sub-sector in terms of number, accounting for about 64% of total companies in Myanmar. Hence, these products are being in high demand for the production. Some biggest beverage producers in Myanmar are Loi Hein and MGS Beverages, and Korean imported brands in Myanmar are Bacchus-D drink, Vita 500, and Samdasoo. 

[Table 4] Heavy Industry products that Myanmar should import from abroad 
Note: All RCA scores are less than 1; each blank without scores refers to RCA score larger than one.


Regarding the products in heavy industry as shown in [Table 4], foreign firms may consider the products that show a comparative disadvantage in all five nations, except the products that Thailand and other nations show a comparative advantage. Thailand shows a comparative advantage in product lines such as HS (70, 73, 80, 84, 85, 87, 91, 93). It indicates that Thailand has more advanced industrial infrastructures for producing the above products. Thus, Korean exporters should either differentiate their products or focus on what Thailand has a comparative disadvantage. Moreover, the products that are in strong growth are nucleic acids (HS 2934, 859%), refractory cements (HS 3816, 562%), diagnostic or laboratory reagents (HS 3822, 443%), hydraulic brake fluids (HS 3819, 365%), biodiesel and mixtures (HS 3826, 326%), pig iron (HS 7201, 1,142%), bars and rods (HS 7214, 735%), aluminum wire (HS 7605, 658%), stranded wire (HS 7610, 277%), parts of railway (HS 8607, 1,708%), and aircraft launching gear (HS 8805, 54,958%). Many products are demanded in the construction sectors such as refractory cements, pig iron, bars and rods, and aluminum wires, as Myanmar’s construction sector has been growing since 2011. 

[Table 5] Other light Industry products that Myanmar should import from abroad
Note: All RCA scores are less than 1; each blank without scores refers to RCA score larger than one


Regarding the products in the light industry in Myanmar as shown in [Table 5], foriegn exporters can particularly select the items that have a comparative disadvantage in all five nations. In addition, the products showing a strong growth between 2018/19 are cinematographic film (HS 3706, 338%), lenses (HS 9002, 905%), frames and mountings for spectacles (HS 9003, 668%), and optical microscopes (HS 9033, 283%), and worked ivory (HS 9601, 4,467%). The use of mobile phone has been widely increasing since 2011 and contact lenses are in high demand as young people have more attention in their looks. Even though the technology for domestic production is not available, exporters can face a strong competition in the market especially for HS (25, 34, 39, 41, 43, 69, 91), since Thailand also has a comparative advantage. 

3. Conclusion
This article aims to provide strategic application on the item selection to Korean exporters by comparing import markets in Mekong Economies: Thailand, Laos, Cambodia, and Vietnam. The items at a comparative disadvantage in five nations were explained for Korean exporter’s considerations. 

First, Korean exporter can choose a product that only Myanmar has a comparative disadvantage. However, this strategy can put a firm face strong competition with imported products from other nations. To avoid it, they can choose the products that all nations have a comparative disadvantage. Second, Korea exporters can choose some products in the same categories to differentiate markets. For instance, they can export ceramic products to Myanmar, Laos, and Vietnam. 

This article exists some limitation, as it was only designed to provide Korean exporters with possible selection of export items to Myanmar. In light of this, there are other considerations Korean exporters should take before exporting. 

Even though Myanmar reveals a lot of potentials for Korean exporters, the Myanmar market has a lot of challenges from political and geographical perspectives. Myanmar has now faced an unexpected military coup, which eventually became a reason for the US and UK to put economic sanctions including banning US individuals and businesses from trading with them. However, as Myanmar has a much closer and deeper trade and investment relationship with China, Thailand, Vietnam, and Singapore rather than Western nations, the economic sanctions are not expected to be that effective to stop the military from doing business with them. Due to the increasing public awareness of China and certain ASEAN members supporting the military, Myanmar consumers are more likely to consume the products from the country of origin that supports the people of Myanmar in the future. The Korean government officially condemned the military coup and urged the UN to take strong action against the Myanmar military while the Myanmar consumers generally prefer Korean products rather than other foreign products due to the increasing popularity of the Korean wave in Myanmar over decades. 

As a result, Korean exporters of consumer goods should be aligned with Korean government policies by doing business with non-military businesses and would be able to expand their business into Myanmar in the future. For example, as Shwe Taung Group that operated a joint venture with BreadTalk are also related to the military, foreign businesses should stop doing business with all businesses related to the military. For Korean businesses that engage in energy and extractive sectors, the companies must show their ethical operation of businesses in Myanmar and stop cooperating with the military organization as soon as possible.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