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KIEP 동향세미나

[동향세미나] 러시아 탈달러화 동향과 전망

러시아 민지영 KIEP 세계지역연구센터 러시아유라시아팀 전문연구원 2021/05/06

☐ 2014년 이래 러시아는 서방의 경제제재에 의한 충격을 최소화하고, 달러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탈달러화(de-dollarization)를 추진했으며, 그 결과 수출거래 결제, 대외부채, 은행권 대외자산, 외환보유고, 국부펀드 등에서 달러의 비중이 현격히 감소함.
- 러시아 수출거래에서 2020년 4/4분기 달러 결제 비중은  48.3%로 사상 최저치를 기록함(그림 1 참고).  





- 대외부채에서의 달러 비중은 2014년 1/1분기 63%에서 2020년 3/4분기 49%로 감소했으며, 같은 기간 외환보유고에서의 달러 비중은 43.3%에서 21.9%로 줄어듦(그림 2, 3 참고). 

- 2021년 2월 러 재무부는 국부펀드를 구성하는 화폐자산 중 달러화의 비중을 줄이고 처음으로 엔화와 위안화를 도입하였음(그림 4 참고).   

- 아울러 러시아 시중 은행의 대외자산에서 달러 비중이 크게 감소했음(그림 5 참고).



☐ 미국 바이든 행정부의 적대적 대러시아 외교정책으로 인해 지난 3월부터 러시아에 대한 제재가 추가되고 있음. 
- 3월 2일 미국이 나발니 독극물 중독 사건과 관련된 7인의 러시아 인사, 6개 러시아 기관을 제재 대상으로 추가하고, 무기판매, 일부 기술 관련 품목 수출 등 대한 제재를 추가했음.1)

- 4월 15일에는 크림반도 합병, 사이버 공격, 외국 선거 개입 등과 관련된 다수의 러시아 개인 및 기관을 제재 대상으로 추가했으며, 6월 14일 이후 러시아 채권 발행시장에 대한 참여를 금지하는 조치를 추가했음.2)  

☐ 이에 따라 러시아의 탈달러화는 중장기적으로 지속‧확대될 것으로 전망됨.
- 러시아는 국제거래 및 국가자산에서의 달러 비중을 줄일 뿐 아니라 새로운 금융결제 수단 및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주변국들과 양자‧다자 차원의 금융협력을 확대하고, 금융기술 적극 활용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탈달러화를 추진할 것으로 전망됨.
◦ 러시아는 중국에게 미국 주도의 달러 중심 국제결제시스템(SWIFT)를 우회하여 독립적으로 기능하는 새로운 국제결제시스템 도입 및 운용을 위한 양자협력을 이미 제안하였음(러시아의 SPFS와 중국의 CIPS 연계안).3) 
◦ 2019년 11월 BRICS 정상회의에서 공동결제시스템(common payment system)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진 바 있음.4)   
◦ 러 중앙은행은 2020년 10월 디지털 화폐 도입 계획을 발표했으며, 2023년까지 정식 출시할 것으로 예상됨.5) 

-  다만, 아직까지 다수의 러시아 민간업체들은 달러 보유 및 사용을 선호하고 있으며, 달러가 아닌 다른 화폐를 사용할 경우 추가 비용과 시간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민간부문에서 탈달러화가 폭넓게 이루어질지는 미지수임.6) 


1) “U.S. Sanctions and Other Measures Imposed on Russia in Response to Russia’s Use of Chemical Weapons,” (2021.3.2.) US department of State; 미국의 조치에 동조하는 차원에서 3월 말 EU는 체첸 인권탄압을 명분으로 2인의 러시아 인사에 대한 제재를 강행했으며, 캐나다는 나발니 독극물 사건 등 인권탄압을 이유로 11인의 러시아 인사, 2개의 러시아 기관에 대한 제재를 추가했음. “EU sanctions Russians over rights abuses in Chechnya” (2021.3.22.), Reuters; “Canada imposes new sanctions on Russian and Ukrainian entities and officials,” (2021.4.5.), Lexology. 
2) 미국은 2019년 8월 러시아 채권 발행시장에서 비루블화 채권 매입을 금지하고, 러시아 중앙은행, 국부펀드, 재무부에 대한 비루블 자금 대출을 금지한 바 있음. 이번 조치는 러시아 채권 발행시장에서 루블화, 비루블화 채권 매입과 자금 대출을 금지한 것으로, 제재 범위가 확대되었음을 알 수 있음. “RUSSIA-RELATED DIRECTIVE UNDER EXECUTIVE ORDER OF AUGUST 1, 2019 (“CBW Act Directive”),” (2019.8.2.), US Department of the Treasury; “Treasury Sanctions Russia with Sweeping New Sanctions Authority,” “Treasury Escalates Sanctions Against the Russian Government’s Attempts to Influence U.S. Elections,” “Treasury Sanctions Russian Persons in the Crimea Region of Ukraine,” (2021.4.15.), US Department of the Treasur.; “Blocking Property With Respect To Specified Harmful Forꠓeign Activities of the Government of the Russian Federation,” Executive Order 14024 of April 15, 2021, Presidential Documents.   
3) “China-Russia partnership ‘key to balance US hegemony’,” (2021.3.22.), Global Times. 
4) 이러한 논의는 2015년에 러시아에 의해 처음 제기되었고, 당시 러시아와 중국은 이미 자체적인 결제시스템인 SPFS(System for transfer of financial messages)와 CIPS(Cross-Border Interbank Payment System)을 운영하고 있었음. 또한 러시아는 중국, 인도, 이란, 터키와 SPFS를 함께 이용하는 것에 대해 양자회의를 하였음. “BRICS nations aiming for common payment system,” (2019.11.20.), Fintech Futures. 
5) “Russian central bank considers digital rouble in 2023,” (2021.4.9.), Reuters. 
6) “Russian de-dollarization: Public-private divergence persists,” (2020.12.3.), ING.

1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