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문가오피니언

[전문가오피니언] 다른 아시아 호랑이 국가들과 비교한 말레이시아의 디지털 연결성 수준

말레이시아 Luke Emeka Okafor University of Nottingham, School of Economics Associate Professor 2021/05/20

해당 오피니언의 영문버전은 하단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You may find English ver. of the article at the bottom.




코로나19 상황에서 주목받는 디지털 연결성(Digital Connectivity)
2024년까지 동남아시아의 인터넷 이용률은 60%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디지털 연결성의 부상은 특히 아시아의 새로운 다섯 마리 호랑이 국가(Tiger Cub Economies)1)의 온라인 경제 성장을 촉진하고 있다. 2019년 이들 전체 국가의 전자상거래 분야 시장규모는 39% 성장했다2). 더욱이 이 국가들은 디지털 기술에 대한 투자를 통해, 재택근무를 가능하게 하고, 기업 운영 비용을 감소시키는 등, 기업 활동의 유연성 확대라는 엄청난 혜택을 누리고 있으며, 소비자의 입장에서도 정보 접근성이 강화되어 선택의 폭이 커지고 있다. 

경제 성장을 촉진하고, 국가 경쟁력을 강화하며, 위기 상황에서 사회 회복력(resilience)을 높인다는 측면에서 디지털 연결성의 역할은 더욱 분명해지고 있다. 그리고 특히 코로나19 상황에서 디지털 연결성의 중요성은 더욱 부각되고 있다. 코로나19로 촉발된 부정적 영향을 완화하기 위해, 전 세계 상당수의 국가들은 봉쇄, 통행금지 및 물리적 거리 두기와 같은 조치를 취했다. 이러한 제한 조치가 취해진 상황에서 디지털 연결성이 잘 갖추어진 국가에서는 그렇지 않은 나라에 비해, 경제/교육 활동과 사회적 상호작용 붕괴 현상이 상대적으로 덜 심각하다. 디지털 연결이 잘 된 기업들은 이를 활용해 오늘날과 같은 코로나19 상황에서도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는데,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디지털 연결이 잘되면, 영업 및 거래 활동을 지속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업체들은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전 세계적인 제한 조치로 인해 영업을 중단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현재의 코로나19 상황에서뿐만 아니라 코로나19가 종식된 이후에도, 고도의 디지털 연결성은 경제/사회의 회복력에 있어 핵심 요소로 작용할 것이다. 사회/경제 활동 붕괴가 심하지 않다는 이점 이외에도, 다른 나라보다 디지털 연결이 잘 구축된 아시아 호랑이 국가들은 그렇지 않은 나라와 비교했을 때, 코로나19의 영향에서 더 빨리 회복될 수 있을 것이다. 위기 상황에서 경제 성장과 사회적 회복력을 위한 디지털 연결성의 잠재적 중요성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연결성 종합지표 및 다양한 하위지수의 시계열 화를 통해 말레이시아의 디지털 연결성 성적을 다른 아시아 호랑이 국가들과 비교해 보았다. 결론적으로 디지털 연결성을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지표를 통해 볼 때, 말레이시아는 아시아 일부 호랑이 국가보다 디지털 연결성 개선 속도가 더 느리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아시아 호랑이 국가들과 말레이시아의 디지털 연결성 비교 분석

1) 글로벌 연결지수 비교
글로벌 연결지수(GCI, Global Connectivity Index)를 통해 말레이시아와 다른 아시아 호랑이 국가들의 디지털 연결성 관련 전반적인 수준을 비교해 볼 수 있다. GCI는 79개국3)을 대상으로 연결성, ICT 이용, 디지털화(digital transformation)에 관해 측정한 ICT 벤치마크 지수로 화웨이(Huawei)가 자체적으로 독자적으로 평가해 도출한 지표다.

<그림 1>은 2015년과 2020년 사이 아시아 호랑이 국가들의 GCI 점수 변화율을 보여준다. <그림 1>에서 보듯, 2015년과 2020년 사이 GCI 점수 변화율은 말레이시아가 23%, 인도네시아가 30%, 필리핀이 31%, 베트남 28% 및 태국이 35%를 기록하고 있다. GCI 지표를 토대로 보면 말레이시아는 다른 호랑이 국가들과 비교해서 디지털 연결성으로의 전환이 더디게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그림 1> 아시아 호랑이 국가들의 GCI 점수 변화율
(2015~2020년)
*출처: https://www.huawei.com/minisite/gci/en/ 자료를 기반으로 저자 작성


2) 디지털 도입 지수
아시아 후발 경제 강국의 디지털 연결성 활동을 잘 측정할 수 있는 또 다른 지표로는 디지털 도입 지수(DAI, Digital Adoption Index)가 있다. DAI는 세계 180개국에서 경제 성장의 3대 축(국민, 기업 및 정부)4)의 디지털 도입률을 측정하는 지표이다. 통계 분석 결과, 2014년과 2016년 사이 디지털 도입 지수 변화율은 말레이시아가 4.82%, 인도네시아 17.19%, 필리핀 11.92%, 베트남 11.58% 및 태국 9.26%를 기록했다(<표 1> 참조). 이 역시 다른 호랑이 국가들보다 말레이시아의 디지털 연결성 개선 속도가 느리다는 것을 나타내며, 앞서 GCI를 통해 나타난 결론과도 일치한다. 낮은 디지털 도입률은 낮은 디지털 연결성과 어느 정도 연관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표 1> 2014년과 2016년 사이 아시아 호랑이 국가들 하위지수 변화율
*출처: https://www.worldbank.org/en/publication/wdr2016/Digital-Adoption-Index 
자료를 기반으로 저자  작성

좀 더 심층적인 분석을 위해, 2014년부터 2016년까지 DAI 기업/국민/정부 하위 지수(sub-indices)를 사용해 각 나라를 비교해보았다. <표 1>에서 보듯, DAI 기업 지수는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높게 나왔고, 그다음이 베트남, 필리핀, 말레이시아 순이었으며, 태국의 변화율이 가장 낮았다. DAI 국민 지수에서 인도네시아는 가장 높은 변화율을 보였고, 태국, 필리핀, 말레이시아가 뒤를 이었으며, 베트남의 변화율이 가장 저조했다. DAI 정부 지수에서는 필리핀이 가장 높았고, 베트남, 태국, 말레이시아가 뒤를 이었으며, 인도네시아의 변화율이 가장 낮았다. 여기서도 전반적으로 말레이시아는 대부분의 아시아 호랑이 국가들보다 하위지수가 저조했다. 예를 들어 2014년과 2016년 사이 말레이시아는 3개 하위지수에서 4위를 기록하고 있다. 반면, 비교 대상 국가들은 3개의 DAI 하위지수 중 적어도 하나에서 1위 혹은 2위를 기록했다. 

3) 디지털 기술 기량의 성장률 비교
혹자는 말레이시아의 디지털 연결성 도입 자체가 다른 아시아 호랑이 국가들보다 더 앞섰기에 현재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더딘 성장률을 보이는 것이라고 주장할 수도 있다. 즉, 짧은 기간 내에 다른 기준으로 측정한 두 가지의 지수만으로 말레이시아의 뒤처짐을 지적하기에는 오해의 여지가 존재한다는 뜻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자는 10년 동안의 디지털 기술 기량 지표(Digital/ Technological Skill)를 활용해 말레이시아와 아시아 호랑이 국가들의 디지털 연결성을 비교해 보았다. 디지털 기술 기량 지표는 디지털 기술에의 접근 용이성을 측정하는 지표이다5)

<그림 2>는 2010년부터 2020년까지 아시아 호랑이 국가들의 디지털 기술 기량(Digital/Technological Skill)의 성장률을 보여주고 있다 (X축: 연도, Y축: 디지털 기술 기량 성장률). 2011년 기준, 디지털 기술 기량의 성장률을 통해서 본 디지털 연결성에서, 말레이시아가 선두권을 유지하고 있다는 명백한 증거는 존재하지 않는다. 실제로 2011년을 기준으로, 플러스 성장을 보인 태국과 인도네시아와는 달리, 필리핀과 말레이시아의 디지털 기술 기량은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 측정 기간 호랑이 국가들의 성장률은 일정한 패턴 없이 등락을 거듭하지만, 2020년만 놓고 보면 말레이시아는 다른 나라들보다는 확실히 뒤처져 있다. 예를 들어, 2020년 말레이시아는 역성장을 기록했고 다른 호랑이 국가들의 성장률도 급전직하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는 어쩌면 코로나19가 그 원인일 수 있다. 그렇다 하더라도, 말레이시아를 제외한 국가들은 여전히 플러스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으며, 이는 다른 호랑이 국가와 비교했을 때, 말레이시아의 디지털 연결성 발전 속도가 더 느리다는 점과 일맥상통한다.

<그림 2> 아시아 호랑이 국가들의 디지털 기술 기량 성장률(2010~2020년)
*출처: https://worldcompetitiveness.imd.org 
자료를 기반으로 저자  작성 (베트남 자료 획득 불가)



앞에서 언급한 측정 방식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방편으로, 디지털 기술 기량과 함께 광대역 무선통신 가입자 수를 이용해서 디지털 연결성을 측정해 보았다. 광대역 무선통신 가입자 수는 전체 이동통신 시장에서 3G 및 4G 시장이 차지하는 비중을 기준으로 측정했다6)

<그림 3>은 2012년부터 2018년 사이 광대역 무선통신 가입자 수의 증가률을 보여준다. 2013년 기준, 말레이시아의 광대역 무선통신 가입자 수 증가율이 선두권에 있다는 명백한 증거는 보이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광대역 무선통신 가입자 수 증가률에서 태국이 1위이고,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가 뒤를 잇고 있으며, 필리핀은 최하위를 기록했다. 2018년 기준, 인도네시아가 1위를 기록했고, 뒤를 이어 필리핀 및 말레이시아가 2위와 3위를 기록했으며, 태국이 최하위로 처져있다. 전반적으로 보았을 때, 2013년과 2018년 말레이시아는 호랑이 국가 중 적어도 두 나라에 선두 자리를 내주었다. 이 같은 결론은, 말레이시아의 디지털 연결성 변화 속도는 적어도 몇몇 아시아 호랑이 국가들보다 더 느리다는 점과 부분적으로 일치한다. 

<그림 3> 아시아 새끼 호랑이 국가들의 광대역 무선통신 가입자 수 성장률(2012~2018년)
*출처: https://worldcompetitiveness.imd.org 
자료를 기반으로 저자  작성 (베트남 자료 획득 불가)


세계은행(World Bank) 보고서에 따르면, 대기업의 전자상거래 독점 및 기업 부문에서의 첨단 디지털 기술 도입 지연과 같은 요소로 인해, 말레이시아의 디지털 연결성 전환 속도가 더 느려졌다고 한다. 이 외에도 광대역 유선 통신 시장에서의 경쟁 부족 및 서비스 품질 저하 등이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7). 더욱이 국제 대역폭 연결성을 기준으로, 말레이시아의 정보통신기술 자원에 대한 투자는 아시아 호랑이 국가 중 최소 두 곳보다 뒤처지는 경향을 보였다. 같은 맥락에서, 선진국과 비교했을 때 아시아 호랑이 국가는 정보통신기술 자원에 투자를 적게 했다. 예를 들어 2016년 초당킬로비트(kilobits per second)8) 측정 값은, 태국이 54.79, 필리핀 27.69, 말레이시아 27.17, 베트남은 20.75로 나타났으며, 인도네시아는 가장 낮은 6.23을 기록했다9). 뿐만 아니라, 아시아 호랑이 국가들의 인터넷 사용자 1인당 국제 인터넷 대역폭 측정 값도 선진국보다 낮았다. 예를 들어, 룩셈부르크의 2016년 초당킬로비트는 무려 6,887.71로 측정되었다10). 이는 말레이시아 및 다른 아시아 호랑이 국가에서 접근 가능한 정보량이 측정 시기와는 상관없이 선진국보다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는 뜻이며, 통신 트래픽 부하로 인해 정보에 대한 접근 속도 또한 느리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말레이시아 및 기타 아시아 호랑이 국가들은 정보통신기술에 충분한 투자를 해오지 않았기 때문에 디지털 전환이 더디게 진행되고 인터넷 경쟁력이 하락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게 되었다. 

결론
아직 종식되지 않은 코로나19로 인해 사회 경제 활동의 붕괴 현상 일어나고 있지만, 이러한 붕괴 현상이 미치는 피해는 디지털 연결이 잘 이루어진 국가들이 상대적으로 적게 받을 수 있으며, 해당 국가들은 코로나19로 야기된 부정적 영향으로부터 더 빠르게 회복할 수도 있다. 디지털 연결성을 측정하는 다양한 지표를 통해 살펴보면, 말레이시아의 디지털 연결성 전환 속도는 적어도 일부 아시아 호랑이 국가보다는 더 느리게 일어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말레이시아 정부는 적절한 정책을 통해 양질의 저렴한 광대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고, 중소기업에 대한 세제 혜택을 도입함으로써, 디지털 도입률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정보통신 기술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초고속 광대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고, 중소기업에 대한 세제 혜택을 도입함으로써, 디지털 도입률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정보통신 기술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초고속 광대역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을 확대해 디지털 연결성이라는를 향상시키는 정책 역시 고려해볼 만 하다. 디지털 연결성을 위한 환경이 구축되면 말레이시아는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으로 인한 다양한 혜택을 누릴 수 있을 것이다. 


* 각주
1) 아시아의 다섯 마리 호랑이는 최근 경제가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미래의 경제대국으로 손꼽히는 나라 다섯 국가, 곧 태국,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베트남을 일컫는 말로, 576백만 명의 인구를 포괄한다
2) https://locaria.com/why-global-brands-should-be-targeting-tiger-cub-countries-ecommerce/
3) https://www.huawei.com/minisite/gci/en/
4) https://www.worldbank.org/en/publication/wdr2016/Digital-Adoption-Index
5) https://worldcompetitiveness.imd.org
6) https://worldcompetitiveness.imd.org
7) World Bank Group. (2018). Malaysia's Digital Economy: A New Driver of Development. World Bank
8) 인터넷 사용자 1인당 국제 인터넷 대역폭 측정을 위한 최상위 평가지표
9) Internet bandwidth- Country Rankings: https://www.theglobaleconomy.com/rankings/Internet_bandwidth/
10) Internet bandwidth- Country Rankings: https://www.theglobaleconomy.com/rankings/Internet_bandwidth/

1

How does Malaysia’s performance in digital connectivity compare to other members of the Tiger cub economies?




Introduction
Evidence from projection reveals that 60% of the population in the Southeast Asia will use the internet daily by 2024. The rise in digital connectivity is helping to stimulate growth in the online economy, especially in the Tiger cub economies1), which registered a 39% growth in total value in 20192). Furthermore, countries derive enormous benefits from investment in digital technologies, such as greater flexibility in the workplace—enabling people to work from home, greater access to information and choice for consumers, lower costs for businesses, among others. 

The role of digital connectivity in promoting economic growth,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and societal resilience in the times of crises became more apparent during the ongoing COVID-19 pandemic. To mitigate the impact of the pandemic, most countries in the world introduced lockdown, curfew, and physical distancing measures. In the presence of these restrictions, more digitally connected countries, especially in the Tiger Cub economies are more likely to register lower disruptions to economic activities, educational activities and social interactions compared to those that are less digitally connected. For instance, digitally enabled firms are leveraging digital connectivity to enhance their competitiveness during the ongoing COVID-19 pandemic. This is because as digitally enabled firms continue to operate and trade, their competitors are forced to shut down because of COVID-19 restrictions introduced by most governments globally, including the Tiger Cub governments.

High level of digital connectedness is potentially critical for economic and social resilience, especially during and post COVID-19 pandemic. In addition to the potential benefit of lower disruptions to socio-economic activities, more digitally connected Tiger cub economies are more likely to recover faster from the impact of COVID-19 pandemic compared to those that are less digitally connected. Considering the potential importance of digital connectivity for economic growth and societal resilience in times of crisis, this study compares Malaysia’s performance in digital connectivity with other members of the Tiger cub economies using both the overall indicator and different sub-indicators of digital connectedness over time. Evidence from different proxies of digital connectedness shows that Malaysia tends to display slower improvement in digital connectivity compared to at least some members of the Tiger cub economies. 

Comparative analysis of Malaysia’s performance in digital connectivity to other members of the Tiger cub economies

1) GCI Comparison
To gauge Malaysia’s overall performance in digital connectivity compared to other members of Tiger cub economies, one of the indicators that is a good candidate for the comparison is the global connectivity index (GCI). GCI is constructed to capture a broad array of measures of digital transformation and ICT infrastructure in 79 countries3). Figure 1 reports the percentage change in GCI score between 2015 and 2020 for the Tiger Cub Economies. As shown in Figure 1, the percentage change in the GCI between 2015 and 2020 in Malaysia is 23%, 30% in Indonesia, 31% in the Philippines, 28% in Vietnam, and 35% in Thailand. Evidence from the GCI indicator suggests that Malaysia tends to register slower improvement in digital connectivity compared to other Tiger cub economies. 

<Figure 1> Percentage change in GCI score between 2015 and 2020 for the Tiger Cub Economies
 
Author’s own calculation. Data source: https://www.huawei.com/minisite/gci/en/


2) DAI Comparison
Furthermore, another indicator that is also a good candidate for gauging the performance of the Tiger cub economies in terms of digital connectivity is the digital adoption index (DAI). DAI is constructed to capture digital adoption rates of 180 countries along three main drivers of the economy— people, business, and government4). Descriptive analysis suggests that the percentage change in digital adoption index between 2014 and 2016 in Malaysia is 4.82%, 17.19% in Indonesia, 11.92% in the Philippines, 11.58% in Vietnam and 9.26% in Thailand (see Table 1). This is consistent with the earlier finding suggesting that Malaysia tends to display slower improvement in digital connectivity compared to other Tiger cub economies. This is because a slower rate of digital adoption rate is likely to be associated with lower digital connectivity.

<Table 1> Percentage change in sub-indices of DAI between 2014 and 2016 for Tiger cub economies
 
Author’s own calculation. Data source: https://www.worldbank.org/en/publication/wdr2016/Digital-Adoption-Index


To gain deeper insight, the sub-indices of DAI—business, people, and government are used for further comparison. Table 1 also presents the percentage change in DAI sub-indices between 2014 and 2016.  As shown in Table 1, with respect to the business sub-index, Indonesia registers the highest rate of digital adoption followed by Vietnam, Philippines, Malaysia, while Thailand records the lowest rate. With respect to the people sub-index, Indonesia records the highest rate of digital adoption followed by Thailand, Philippines, Malaysia whereas Vietnam registers the lowest rate. Based on the government sub-index, Philippines registers the highest rate of digital adoption followed Vietnam, Thailand, Malaysia, while Indonesia records the lowest rate. Overall, Malaysia tends to display slower rate of improvements in different sub-indices compared to most members of the Tiger cub economies. For instance, Malaysia ranks fourth in the three sub-indices under consideration between 2014 and 2016. In contrast, the comparison countries ranked first or second in at least one of the sub-indices of DAI.

3) Digital/Technological skill growth rate comparison
Based on the above two comparisons, it could be argued that Malaysia may have achieved a frontier position in terms of digital connectivity compared to other Tiger cub economies. This implies that examining the growth rate in different measures of digital connectivity during a short period may lead to a misleading inference. To address this concern, I use an indicator of digital/technological skills over a 10-year period to compare Malaysia’s performance in digital connectivity relative to other Tiger cub economies. Digital/technological skills capture whether digital/technological skills are easily accessible5).

Figure 2 presents the digital/technological skill growth rate over the period of 2010 to 2020 for the Tiger cub economies.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the year, while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digital/technological skill growth rate. As of 2011, there is no strong evidence that Malaysia is the frontier country in terms of digital connectivity as captured using digital/technological skill growth rate (see Figure 2). In fact, as of 2011, Philippines and Malaysia registered negative growth in digital/technological skills compared to Thailand and Indonesia that registered positive growth. While the series for the Tiger cub economies were quite erratic over the period, Malaysia was outperformed by other Tiger cub economies as of 2020. For instance, Malaysia registered negative growth in 2020, whereas other Tiger cub economies registered a sharp drop in growth rates, potentially due to the impact of COVID-19 pandemic, but they still managed to remain in the positive territory. This finding is consistent with the notion that Malaysia tends to display slower improvement in digital connectivity compared to other members of the Tiger cub economies.

<Figure 2> Digital/technological skill growth rate over the period of 2010-2020 for Tiger cub economies
 
Author’s own calculation. Data source: https://worldcompetitiveness.imd.org. Data for Vietnam are not available.


As a robustness check, mobile broadband subscriber is used as a proxy for digital connectivity in lieu of digital/technology skills. Mobile broadband subscribers are captured using the 3G and 4G market as a share of the mobile market6). Figure 3 presents the mobile broadband subscriber growth rate over the period of 2012 to 2018. As of 2013, there is no strong evidence that Malaysia is the frontier country in terms of digital connectivity as captured using mobile broadband subscribers (see Figure 3). For instance, Thailand had the highest growth rate in terms of mobile broadband subscribers followed by Indonesia, and Malaysia, whereas the Philippines exhibited the lowest growth. As of 2018, Indonesia registered the highest growth rate followed by the Philippines, Malaysia, whereas Thailand exhibited the lowest growth rate. In general, Malaysia was outperformed by at least two Tiger cub economies as of 2013 and 2018. This finding is partly consistent with the idea that Malaysia tends to display slower improvement in digital connectivity compared to at least some members of the Tiger cub economies.

Figure 3: Mobile broadband subscriber’s growth rate over the period 2012-2018 for the Tiger cub economies
 
Author’s own calculation. Data source: https://worldcompetitiveness.imd.org. Data for Vietnam are not available.


According to a report from the World Bank, several factors are potentially responsible for the slower pace of digital connectedness in Malaysia, such as the domination of e-commerce by big firms and lower adoption rate of deep digital technologies by the business sector. Other factors include inadequate competition in the fixed broadband market and poor-quality service, among others7). In addition, Malaysia tends to underinvest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capital, especially if connectivity is captured using international bandwidth relative to at least two Tiger cub economies. Similarly, the Tiger cub economies tend to underinvest in ICT capital compared to advanced economies. For instance, in 2016, the highest value of international internet bandwidth per internet user, kilobits per second, in the Tiger cub economies was in Thailand with 54.79 per second, followed by Philippines with 27.69 per second, Malaysia with 27.17 per second, Vietnam with 20.75 per second and the lowest value was in Indonesia with 6.23 per second.  Furthermore, Tiger cub economies are lagging the advanced economies in terms of international internet bandwidth per internet user. For instance, Luxembourg registered a whopping 6887.71 kilobits per second in 2016 . This suggests that the volume of information that is accessible in Malaysia and other Tiger cub economies compared to advanced economies at any time is limited and the speed of access is also compromised due to congestion. In general, inadequate investments in ICT capital have the potential to inhibit digital transformation and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in Malaysia and other Tiger cub economies.


Conclusion
Countries that are more digitally connected are likely to suffer less disruption to socio-economic activities due to the ongoing COVID-19 pandemic compared to those that are less digitally connected. They are also more likely to recover faster from the negative impact of the pandemic.  Evidence from different proxies of digital connectedness suggests that Malaysia tends to display slower improvement in digital connectivity compared to at least some members of the Tiger cub economies. Policies that create an enabling environment for quality and affordable broadband services, and the introduction of tax incentives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could help to promote higher digital adoption rates in Malaysia. The other policy options include increasing investment in ICT technologies and improving access to superfast broadband coverage which would help to herald a new era of digital connectivity in Malaysia. The creation of an enabling environment for digital connectivity in turn would help Malaysia to derive the full benefits of digital transformation. 


1) A report published by Locaria suggests that the Tiger Cub economies consisting of Malaysia, Indonesia, Philippines, Vietnam, and Thailand are populated by over 576 million people.
2) https://locaria.com/why-global-brands-should-be-targeting-tiger-cub-countries-ecommerce/
3) https://www.huawei.com/minisite/gci/en/  4) https://www.worldbank.org/en/publication/wdr2016/Digital-Adoption-Index
5) https://worldcompetitiveness.imd.org
6) https://worldcompetitiveness.imd.org
7) World Bank Group. (2018). Malaysia's Digital Economy: A New Driver of Development. World Bank.
8) Internet bandwidth- Country Rankings: https://www.theglobaleconomy.com/rankings/Internet_bandwidth/
9) Internet bandwidth- Country Rankings: https://www.theglobaleconomy.com/rankings/Internet_bandwidth/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