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이슈&트렌드

[이슈트렌드] 레바논, 최악의 경제난과 전력난 직면

아프리카ㆍ 중동 일반 EMERiCs - - 2021/10/15

☐ 레바논, 연료 부족으로 인한 전력난 발생

◦ 국영 발전소 가동 중단으로 레바논 전국에 정전 발생
- 2021년 10월 9일 레바논 정부가 소유한 주요 전력 발전소 두 곳이 연료 부족으로 발전을 중단하면서 전력 공급이 24시간 동안 중단되었다. 두 곳의 전력 발전소는 레바논 전체 전력 수요량의 40%를 공급해왔다.
- 국영전력회사는 발전용 연료 확보를 위해 중앙은행에서 1억 달러(한화 약 1,198억 원)를 빌렸으며 레바논군으로부터 원유 6,000㎘를 공급받은 뒤에야 10월 10일 발전소를 재가동하고 전력을 공급할 수 있었다.

◦ 연료 부족으로 장기화되는 전력난에 대응해 이웃 국가로부터 연료와 전력 수급 모색
- 이번 정전 사태 이전부터 하루에 단 두 시간만 전력이 공급되는 등 레바논은 발전용 연료 부족으로 인해 만성적인 전력난에 시달리고 있었다. 마크 아이윱(Marc Ayoub) 베이루트 아메리칸대학교(American University of Beirut) 소속 연구원은 정전 사태가 발생하기 2주 전부터 이미 총 16번의 소규모 정전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 만성적인 전력난으로 인해 많은 레바논인은 디젤유로 가동되는 발전기에 의존하는 상황이나, 디젤유 가격이 상승하면서 레바논 국민의 고충은 가중되고 있다. 
- 레바논 정부는 이라크, 이집트, 요르단, 시리아 정부 등 이웃 국가와 전력 및 발전용 연료 수입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요르단과 시리아를 거쳐 이집트산 천연가스를 수입하는 한편 요르단에서 생산된 전력을 시리아를 통해 수입하는 방안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레바논의 시아 정치 세력인 헤즈볼라(Hezbollah)는 시리아를 통해 이란에서 연료를 들여오기도 했다. 
  
☐ 레바논, 다방면에 걸친 경제 위기 발생  

◦ 레바논, 부채 위기와 최악의 경제난 직면
- 레바논의 총부채 규모는 900억 달러(한화 약 107조 6,850억 원)로 국내총생산(GDP)의 170%에 달하며, 지난 2020년 3월 레바논 정부는 부채 12억 달러(1조 4,358억 원)에 대한 채무불이행을 선언했다.
- 세계은행에 따르면 레바논 경제는 2019년 6.7%의 역(-)성장을 기록한 데 이어 2020년에는 20.3%라는 최악의 역성장률을 보였으며 2021년에도 역성장률은 9.5%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세계은행은 레바논 경제가 150년 만에 최악의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레바논의 GDP는 2018년 550억 달러(한화 약 65조 8,075억 원)에서 2020년 330억 달러(한화 약 39조 4,845억 원)까지 감소했다.

◦ 화폐 가치 하락에 따른 물가 상승으로 국민 생활고 가중
- 재정 악화로 정부가 환율 방어를 포기함에 따라 달러화 대비 레바논 리라화 가치가 폭락했다. 2019년 이전 1달러에 1,500리라로 고정되었던 레바논 리라화 가치는 약 90% 이상 하락해 현재는 1달러에 약 1만 8,000~1만 9,000리라 수준까지 떨어졌다.
- 레바논은 식량과 연료 등의 80%를 수입에 의존하며, 리라화 가치 폭락은 물가 폭등으로 이어졌다. 세계식량계획(World Food Programme)은 2019~2021년 레바논 식품 물가가 무려 628% 상승했으며, 2021년 8월 기준 소비자물가지수(Consumer Price Index)는 전년 동기보다 137.8% 상승해 짐바브웨나 베네수엘라보다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 외화 부족으로 인해 레바논 중앙은행은 디젤유 등 연료와 수입품에 대한 보조금 지급을 중단했고 연료 수입을 제한하기 시작했으며, 이에 따른 연료비 인상은 물가 상승으로 이어졌다.
- 물가가 임금 수준을 뛰어넘으면서 많은 레바논 국민이 빈곤층으로 전락했다. 2019년 28%였던 빈곤 인구 비율은 2020년 55%, 2021년에는 74%까지 늘어났다.

☐ 부패와 정치적 문제가 경제 위기를 심화한 요인으로 지적

◦ 레바논 고위 정치인들, 조세회피처를 통한 탈세 의혹
- 레바논 정치권 사이에서 만연한 부패는 정부 재정 악화를 가져온 요인 중 하나로 지적된다. 지난 2020년 7월 알라인 비파니(Alain Bifani) 재무부 국장은 2019년 10월부터 2020년 7월까지 60억 달러(한화 약 7조 1,790억 원)가 불법적인 방법을 통해 해외로 밀반출되었다고 주장한다.
- 10월 3일 공개된 각국 정상과 고위 인사들의 조세회피처를 통한 탈세 의혹을 담은 판도라 페이퍼스(Pandora Papers)에는 나집 미카티(Najib Mikati) 레바논 총리와 리아드 살라메(Riad Salameh) 레바논 중앙은행 총재, 하산 디압(Hassan Diab) 전 총리 등 레바논 고위 인사들도 실려 있었다. 이들은 해외의 조세회피처를 통해 탈세를 저지르고 막대한 자금을 해외로 빼돌린 혐의를 받고 있다.
- 미카티 총리는 지난 2019년 서민층을 대상으로 한 저이율의 주택 담보 대출을 불법적으로 받았다는 혐의를 받기도 했으며, 살라메 총재는 레바논뿐만 아니라 스위스, 프랑스에서도 돈세탁 혐의로 기소되었다.

◦ 만성적인 정치적 교착 상태는 경제 구조 개혁에 차질 야기
- 지난 2020년 8월 베이루트 항만 폭발 사고로 디얍 전 총리가 이끄는 내각이 사퇴했으나, 차기 총리 인선을 둘러싼 정파 간의 대립과 갈등으로 인해 2021년 9월 미카티 총리가 이끄는 새 정부가 구성되기까지 약 1년이 걸리면서 경제 회복을 위한 구조적 개혁은 미뤄졌다.
- 미카티 총리는 부채와 재정 적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제통화기금(IMF)과 구제금융 도입 방안을 논의하기 시작했다고 밝혔으나, IMF가 자금 지원을 위해 요구하는 구체적이고 효과적인 경제 구조 개혁안을 제시할 수 있을지는 여전히 미지수로 남아 있다.

< 감수 : 김수완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 >

* 참고자료
Al-Jazeera, ‘Unprecedented’ hunger in Lebanon as fuel crisis hikes food costs, 2021. 10. 11.
CNBC, Lebanon suffers 24-hour blackout, food poisoning, business closures amid fuel crisis, 2021. 10. 11.
Reuters, Lebanon restores power supply after complete halt, 2021. 10. 11.
BBC, Lebanon left without power as grid shuts down, 2021. 10. 10.
Reuters, Lebanese power outage will last for several days - government official, 2021. 10. 10.
Vox, Lebanon’s electricity was down for a day, but the crisis was years in the making, 2021. 10. 10.
Al-Jazeera, Fuel shortage forces shutdown of main Lebanese power plants, 2021. 10. 09.
Reuters, Jordan aims to supply Lebanon with electricity by year-end –minister, 2021. 10. 07.
Al-Jazeera, Lebanon PM Mikati among officials named in Pandora Papers, 2021. 10. 04.
AP, Lebanon resumes contacts with IMF over bailout program, 2021. 10. 04.
Reuters, Foreign creditors urge Lebanon to begin debt restructuring talks, 2021. 09. 21.
OpenDemocracy, Authoritarian, corrupt, and more of the same. Lebanon has a new government, 2021. 09. 16.
UN News, Lebanon: Almost three-quarters of the population living in poverty, 2021. 09. 03.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