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이슈&트렌드

[이슈트렌드] 카타르, 러시아산 가스 공급 중단 위기에 처한 유럽에 가스 공급하는 방안 논의

카타르 EMERiCs - - 2022/02/11

☐ 미국, 카타르에 유럽으로 천연가스 공급 요청

◦ 미국과 카타르, 유럽에 천연가스 공급하는 방안 논의 
-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1월 31일 미국을 방문한 셰이크 타밈 빈 하마드 알타니(Tamim bin Hamad al-Thani) 카타르 국왕과 유럽으로 천연가스를 공급하는 방안를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젠 사키(Jen Psaki) 백악관 대변인은 양국 정상이 세계 에너지 공급망을 안정화하는 방안을 주제로 논의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 미국은 유럽에 안정적으로 천연가스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외교적 노력을 펼치고 있다. 로이터(Reuters)는 1월 24일 토니 블링컨(Antony Blinken) 미국 국무부 장관이 천연가스 공급을 확대하는 문제를 카타르와 논의했다고 보도했으며, 아모스 호슈테인(Amos Hochstein) 에너지안보 자문 또한 카타르와 접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 카타르는 2011년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 발생 이후 에너지 위기를 막기 위해 일본에 천연가스를 공급한 적이 있으며, 2013년에는 가스 재고가 바닥난 이집트에 천연가스를 수출하는 등 국제 에너지 시장에 변동이 발생하면 대응할 능력을 갖춘 국가로 평가된다.

◦ 카타르, 유럽에 천연가스 수출을 위한 조건을 제시
- 세계 최대 액화천연가스(LNG) 생산국인 카타르는 러시아산 가스 공급이 중단될 위기에 처한 유럽에 가스를 공급할 수 있는 대안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카타르는 유럽이 카타르산 천연가스를 수입해 다시 외부로 수출하는 것을 제한해야 유럽에 천연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고 밝혔다. 카타르는 유럽으로 천연가스를 수출하면 유럽 국가가 다시 아시아 등으로 천연가스를 수출하여 카타르에서 직접 수출되는 천연가스와 경쟁하는 상황이 발생할 것을 우려하고 있다.
- 카타르는 또한 장기적인 에너지 안보를 위해서는 현재 유럽 국가와 카타르 간 계약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현물 계약(spot contract) 대신에 장기 공급 계약을 체결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더해 카타르는 2018년 시작된 EU의 카타르산 천연가스 수입 계약에 대한 반독점 조사를 재검토할 것을 요청했다.
- 니콜라이 코자노프(Nikolay Kozhanov) 카타르 대학교 걸프연구센터 연구교수는 카타르의 요구 사항이 러시아와의 갈등을 이용해 카타르가 보다 유리한 조건으로 유럽에 천연가스를 수출하겠다는 의도를 반영한다고 분석했다.
  
☐ 유럽 국가, 러시아-우크라니아 긴장 고조로 천연가스 위기 직면

◦ 러시아산 천연가스 의존도 높은 유럽 국가, 러시아산 천연가스 공급 중단 위기 직면 
- 유럽은 전체 수요량의 30~40%를 러시아산 천연가스에 의존하고 있다. 특히 독일은 전체 가스 수입량 중 절반 이상을 러시아에서 수입한다. 따라서 천연가스 수출은 러시아가 유럽을 압박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으로 여겨진다.
-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국경 지대에 병력 10만 명을 배치하는 등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사이 긴장이 고조되자 미국과 유럽은 러시아에 경제제재를 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에 러시아가 유럽에 대한 천연가스 수출을 중단하는 방식으로 대응할 경우 유럽은 가스 공급 위기에 직면할 위험이 있다. 이에 더해 우크라이나에서 교전이 벌어진다면 우크라이나를 통해 이루어지는 러시아산 가스 공급 또한 차질을 빚게 된다.
- 유럽은 이미 국제 에너지 가격 상승과 공급 문제로 에너지 수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로 인해 2022년 1월 기준 유럽의 가스 비축량은 최근 5년 중 최저 수준인 190억 큐빅미터 미만으로 떨어졌다.

◦ 2018년 반독점 조사 이후 유럽에 대한 카타르의 천연가스 수출 감소
- 2010년까지 카타르는 아시아 지역으로 수출되는 양만큼 유럽으로 천연가스를 수출했다. 그러나 2018년 카타르와 유럽 국가 사이에 체결된 장기 계약에 대해 유럽 집행위원회(European Commission)가 반독점 조사에 착수한 이후 유럽에 대한 카타르의 천연가스 수출량은 감소하기 시작했다.
- 니코스 차포스(Nikos Tsafos) 전략국제연구센터(Centre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 에너지 전문가에 따르면 현재 아시아로 수출되는 카타르산 천연가스는 한 달에 500만 톤에 이르는 반면, 유럽에 대한 카타르산 천연가스 수출량은 100만 톤 수준에 그친다.

☐ 카타르산 천연가스 수입 방안의 실효성에 대한 의문 제기

◦ 카타르산 천연가스, 유럽의 에너지 위기 대응에는 충분하지 않다는 분석
- 미국의 요구에도 불구하고 카타르가 유럽이 필요로 하는 충분한 양의 천연가스를 공급할 능력이 되는지는 불확실하다. 카타르의 천연가스 수출량은 1,060억 큐빅미터로, 생산량을 더 늘려도 최대 생산량은 1,070억 큐빅미터에 그칠 것으로 분석된다. 카타르는 앞으로 천연가스 생산량을 40% 늘린다는 계획이지만 생산량 증대는 2026년에야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 카타르가 유럽에 추가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천연가스는 56억~110억 큐빅미터에 불과하며 이는 유럽의 전체 수요량인 3,260억 큐빅미터에 비하면 턱없이 부족한 양이다. 빌 파렌프라이스(Bill Farren-Price) 에너지 전문 컨설팅기업 분석가는 카타르가 공급량을 추가적으로 늘릴 여력이 부족하다고 분석했다.
- 코자노프 교수는 카타르가 장기적으로 아시아 이외의 천연가스 수출처를 다변화하고자 하며 유럽 국가 역시 카타르가 수출 확대를 추구하는 지역 중 하나이지만, 당장 에너지 위기 대응에 필요한 양의 천연가스를 공급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았다.

◦ 카타르가 충분한 양의 천연가스를 실제로 유럽에 수출할 수 있을지 의문 존재
- 카타르의 천연가스 수출량의 약 90%는 수입국과 체결한 장기계약에 따라 대부분 아시아 국가로 수출되고 있으며, 따라서 현재 당장 유럽에 수출할 수 있는 천연가스량은 전체 수출량의 약 8~10%로 매우 제한된 상황이다.
- 2월 3일 사아드 알카비(Saad al-Kaabi) 카타르 에너지담당 국무장관에 따르면 현재 카타르는 아시아 수입국들과 수출 계약 변경을 위한 논의를 진행하고 있지 않다. 아시아를 주요 수출 시장으로 간주하는 카타르가 향후 아시아 국가와의 거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계약 변경에 적극적으로 나설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분석된다.

< 감수 : 김수완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 >

* 참고자료
Middle East Institute, The potential impact of Ukraine-Russia conflict on the MENA region, 2022. 02. 07.
Reuters, EXCLUSIVE Qatar has not approached Asian buyers over gas diversions to Europe, 2022. 02. 04.
Reuters, EXCLUSIVE Qatar seeks EU guarantees emergency gas stays within EU – source, 2022. 02. 01.
Voice of America, Biden, Qatari Leader Discuss Energy Supply to Europe, 2022. 01. 31.
France 24, Qatar looks to profit from Europe gas fears over Ukraine, 2022. 01. 29.
Reuters, EXCLUSIVE Qatar could reroute some gas to Europe with U.S. mediation – source, 2022. 01. 27.
Reuters, U.S., Qatar to discuss energy security during emir's Washington visit, 2022. 01. 26.
The Guardian, Qatar in talks to supply gas to Europe if Russia cuts supplies, 2022. 01. 26.
Al-Jazeera, US in talks with Qatar over supplying LNG to EU: Reports, 2022. 01. 22.


[관련 정보]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