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문가오피니언

[전문가오피니언] 잠에서 깨어난 거인, 에티오피아 첫 모바일 머니 서비스 출시

에티오피아 김경하 한국 수출입은행 책임연구원 2022/02/22

1. 에티오피아, 첫 모바일 머니 서비스 출시
 2021년 5월, 에티오피아 최대 국영 통신사인 에티오 텔레콤(Ethio Telecom)은 국내 최초의 모바일 머니 서비스인 텔레비르(TeleBirr)를 출시하였다. 텔레비르는 기존 에티오 텔레콤 고객에게 현재 사용 중인 휴대폰 번호를 통한 쉽고 간편한 송·수금 등의 은행 서비스를 제공하며, 특히 금융소외계층에게 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텔레비르 서비스를 출시한 에티오 텔레콤은 에티오피아의 유일한 통신사로 2010년 설립된 이후 에티오피아의 통신 시장을 장기간 독점하였고, 2018년 에티오피아 정부가 통신 시장의 자유화와 에티오 텔레콤의 민영화를 발표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국가의 첫 모바일 머니 서비스는 에티오 텔레콤이 독점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에티오 텔레콤의 장기간 독점과 경쟁 없는 시장 상황으로 텔레비르는 출시 2주 만에 가입자 수 100만 명을 돌파했으며, 4개월 뒤인 9월에는 가입자 수 1,000만 명, 거래액 2,100만 달러(한화 약 251억 3,700만 원)를 넘어서는 등 순조로운 출발을 하고 있다1). 이와 관련하여 에티오 텔레콤은 향후 에티오피아 국민 중 5,300만 명이 텔레비르 사용자가 될 것이며, 5년 안에 에티오피아 경제활동의 40~50%가량이 텔레비르 플랫폼을 통해 거래될 것으로 예측한다2)
  
다만, 텔레비르는 에티오피아 최초의 모바일 금융 서비스가 아니다. 에티오피아에는 2016년부터 이미 12개 이상의 모바일 금융 서비스가 출시되었으며, 대표적으로는 엠-비르(M-Birr), 헬로캐시(HelloCash), 아몰레(Amole), CBE 비르(CBE Birr), 예니페이(Yene Pay) 등이 있다. 그러나 대 다수는 은행 등 금융기관에서 제공하는 모바일 뱅킹 서비스로 해당 금융기관의 계좌를 보유한 사람만이 이용 가능한 서비스였고, 디지털 금융 서비스의 경우 제공되는 서비스가 휴대폰 선불요금 충전, 공과금 및 등록금 납부 등의 결제 서비스로 제한적이었다. 이런 측면에서 통신기업이 제공하는 모바일 머니 서비스는 기존 모바일 금융 서비스보다 더욱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은행의 가입조건이나 낮은 소득, 물리적 거리 등으로 인해 금융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한 사람들도 쉽게 서비스에 접근 가능한 강점이 있다. 
  
2. 통신시장 자유화의 움직임
 에티오 텔레콤은 이전 국영 통신사의 재편성 과정3)을 거쳐 2010년 설립된 아프리카 대륙에서 가장 오래된 통신사 중 하나로 에티오피아 정부가 국가 경제 발전을 위한 주요 분야로 통신 부문을 선정하면서 통신 산업의 발전과 전 세계와 에티오피아를 연결한다는 목표와 함께 설립되었다. 에티오 텔레콤은 정부가 오랫동안 민간부문의 통신 시장 참여를 허용하지 않으면서 장기간 시장을 독점하였고, 그 결과 에티오피아는 지구상 마지막 남은 폐쇄적 통신 시장 중 한 곳이 되었다. 그러나, 2018년 10월 아비 아흐메드(Abiy Ahmed) 총리가 이끄는 신정부는 이전 정부가 유지해온 폐쇄적 경제에서 탈피하여 만성적 외화 부족 문제의 해결과 민간부문의 참여 확대를 위하여 경제 주요 분야의 점진적 민영화 추진을 발표하였고, 첫 주자로 에티오 텔레콤이 선정되면서 국영 통신사가 설립된 1984년부터 굳게 닫혀있던 에티오피아 통신 시장의 빗장이 열리기 시작하였다.  
  
에티오피아 정부는 민영화 방안으로 정부는 에티오 텔레콤 지분 중 45% 이상을 매각하여 2개의 민간 회사에게 이동통신 라이선스를 부여할 계획을 발표하였고, 2021년 5월 2개의 라이선스 중 1개에 대한 입찰을 진행한 결과 케냐의 사파리콤(Safaricom)이 주도하는 다국적 컨소시엄인 에티오피아 글로벌 파트너십(Global Partnership for Ethiopia)이 최종 선정되었다.

에티오피아는 뒤늦은 통신시장의 자유화로 인하여 주변 동아프리카 국가와 비교하여 이동통신 산업의 발전이 매우 더딘 상황이다. 현재 아프리카는 전 세계에서 이동통신 및 인터넷 보급률이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지역이다. 특히 모바일 머니의 경우 아프리카는 전 세계 사용자의 절반가량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중 동아프리카는 아프리카의 총 모바일 머니 계좌 수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모바일 머니를 가장 활발하게 사용 중인 케냐는 현재 실리콘 사바나(Sillicon Savannah)라고 불릴 정도로 아프리카에서 디지털 혁명이 가장 활발하게 일어나는 곳으로 이미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모바일 머니를 활용 중이다. 르완다는 아프리카의 IT 허브로 거듭나기 위한 정부의 노력으로 일찍부터 다양한 ICT 발전 및 역량 강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케냐 다음으로 일찍이 모바일 머니 서비스를 출시한 탄자니아는 아프리카에서 최초로 모바일 머니 서비스에 대한 상호운용성을 제공하였고 지난 10년간(2009~2019) 이동통신 시장의 규모가 2배 이상 확대된 바 있다4)

이런 상황과는 반대로 에티오피아의 통신 산업은 오랜 기간 정체되어왔다. 한 예로, 에티오피아의 100명당 이동전화 가입자 수는 2019년 기준 37명으로, 다른 동아프리카 국가인 케냐(103.8명), 르완다(76.5명), 탄자니아(82.2명), 우간다(57.4명)와 비교하여 매우 낮은 수준을 보여주며(<그림 1> 참고), 국제전기통신연합(ITU, International Telecommuncation Union)의 2017년 ICT 발전지수에서 동아프리카 주요국 중 접근, 활용, 기술 모든 면에서 가장 낮은 순위5)를 보여주었다. 

<그림 1> 100명당 이동전화 가입자 수 변화(%)
* 자료: World Bank DB.

그러나, 최근 정부 차원에서 서비스 품질개선 및 제공 범위 확대 및 역량 강화를 위한 투자와 에티오 텔레콤의 고객 만족을 위한 노력으로 2019/20년 이동전화 총가입자 수는 4,620만 명으로 전년 대비 5.8% 증가했으며, 100명당 이동전화 가입자 수는 2018/19년 43.1%에서 2019/20년 45.9%로 증가하였다6). 따라서 자유화로 인한 새로운 민간 통신사의 등장은 향후 이동전화 사용자 수의 증가와 서비스 제공범위의 확대를 이끌 것으로 예상된다.

3. 금융 포용성 개선을 위한 모바일 머니
금융 포용성(Financial Inclusion)이란 모든 개인과 기업이 필요로 하는 송금, 결제, 예금, 신용, 보험과 같은 유용한 금융 상품과 서비스를 적절한 비용으로 지속해서 이용 가능한 상태를 뜻하며, 소득이나 거래액과 관계없이 모든 이들에게 기본적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아프리카 국가들은 금융 포용성 개선을 위한 방안으로 모 바일 머니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였고, 모바일 머니는 금융 이용의 문턱을 낮추고 접근성을 높이면서 아프리카의 금융 포용성은 2011년 23%에서 2017년 43%로 두 배가량 성장하였다7).  특히, 모바일 머니의 이용률이 가장 높은 케냐의 경우 국가의 금융 이용 및 포용성 측정을 위해 실시하는 FinAccess 2021년 설문조사 결과 은행 등의 공식 금융기관을 통한 금융 서비스 이용 비율은 2006년 26.7%에서 83.7%로 급격하게 성장하였다8). 그러나, 이러한 상황과는 반대로 에티오피아는 여전히 낮은 금융 포용성을 보여주고 있다.
 
세계은행에 따르면 에티오피아 전체 인구 중 35% 만이 은행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으며(케냐 82%, 르완다 50%, 아프리카 평균 43%), 여전히 금융 거래에 있어 현금 비중은 매우 높은 편으로 공과금 및 급여 이체 등에 있어 온라인 혹은 모바일 거래가 차지하는 비중은 2% 미만에 불과하다9). 이러한 에티오피아의 낮은 금융 포용성의 원인은 공급과 수요 측면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 공급 측면에는 인프라 부족과 고객에 대한 신용측정의 어려움, 수요 측면으로는 불규칙하고 낮은 소득, 금융기관에 대한 불신, 높은 문맹률(언어 및 금융적 문맹) 등이 있다. 인프라의 부족으로 금융기관은 더 넓은 지역, 다양한 계층에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어려움을 마주하면서 전체 은행 점포 중 절반가량은 수도인 아디스아바바에 밀집해 있는 상황이며, 금융적으로 소외된 인구 중 대다수는 여성10), 저소득층, 농촌 거주자, 이주민 등으로 구성되어있고 이들은 주로 우리나라의 계모임과 비슷한 이큅(Iqub)과 같은 비공식 금융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11)
 
이러한 상황에서 모바일 머니는 공급 및 수요적 한계를 넘어 금융 포용성 개선에 효과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모바일 머니는 휴대폰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별다른 금융 인프라의 설치 없이 쉽게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케냐의 모바일 머니 서비스인 엠-스와리(M-Shwari)가 사용하는 신용평점 시스템(Credit scoring system)과 같이 사용자들의 휴대폰 이용내역을 기반으로 신용을 측정하여 소득이 불규칙적이며 낮거나 직업이 없는 신용이 낮은 사람들에게도 소액대출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은행과 비교하여 소액 거래가 용이한 점은 사회적 취약계층의 금융 포용에 효과적일 수 있다.

4. 시사점
에티오피아의 모바일 머니 시장은 아프리카의 ‘잠자는 거인(Sleeping giant)’라고 불릴 정도로 아직 개발되지 않은 상당한 잠재력을 지닌 시장으로 평가되어왔다. 그리고 최근 통신 부문에 대한 정부의 민영화 및 자유화 계획 발표는 동 시장에 대한 매력을 많이 증가시켰지만, 여전히 갈 길은 먼 상황이다. 
  
에티오피아 정부는 통신사 라이선스 판매 등 통신 부문 자유화 정책 추진에도 현재까지 1개의 라이선스만을 수여했으며, 해당 라이선스에 모바일 머니 서비스 제공 권한은 제외하였고, 국영 통신사인 에티오 텔레콤이 독점적으로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개방에 대한 소극적인 태도를 보인다. 일찍이 에티오피아에서 자유화를 시행한 금융 부문의 경우 현재 운영 중인 17개의 상업은행 중 민간은행의 수는 16개에 달할 정도로 민간은행은 빠르게 성장했지만, 여전히 1개의 국영은행(Commercial Bank of Ethiopia)이 전체 은행 예금의 60% 이상, 전체 은행 점포 수의 3분의 1가량을 차지하고 있다12). 마찬가지로 정부가 통신 시장 자유화에 대해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지 않는다면 현 폐쇄적 시장 상황은 유지될 수밖에 없으며, 장기적으로는 모바일 머니의 이용 또한 활성화되기 어려울 수 있다.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인한 비대면 거래의 높아진 수요를 맞추고 금융 포용성의 개선을 위하여 모바일 머니는 매우 효과적인 채널임이 틀림없다. 또한, 출시 후 사용자 수의 빠른 증가는 금융 서비스 이용에 대한 사람들의 높은 니즈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에티오피아 정부는 자국 내 통신 및 모바일 머니 시장 진출에 대한 진입 장벽을 낮추고 보다 안정적, 포용적인 모바일 머니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민간부문의 더욱더 활발한 참여와 협력을 지원해야 한다.






* 각주
1) Girma(2021).
2) “Ethiopia inaugurates Chinese-backed ‘Telebirr’ mobile money service“(2021.5.13.). 
3) Ethiopian Telecommunications Corporation(1894년) → Imperial Board of Telecommunications(1952년) → Ethiopian Telecommunications Authority(1981년) → Ethiopian Telecommunications Corporation(1996년)
4) KOTRA(2021a).
5) 전체 175개국 중 170위(케냐: 138위, 우간다 152위, 르완다 153위, 탄자니아 165위)(출처: ITU(2017)).
6) National Bank of Ethiopia(2020), pp. 15-16.
7) Gandhi(2019).
8) “2021 FinAccess Household Survey Highlights,”, p. 1.
9) KOTRA(2021b).
10) 2014년 남성의 23%, 여성의 21%가 은행 계좌를 보유한 것으로 조사되어 남녀 격차는 2% 수준이었으나, 2017년 남성의 41%, 여성의 29%가 은행 계좌를 보유 중인 것으로 조사되면서 격차는 크게 확대됨.
11) Bessir(2018).
12) National Bank of Ethiopia. 2021. “National Bank of Ethiopia First Quarterly Bulletin 2020/21.”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