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이슈&트렌드

[이슈트렌드] 러시아, 전쟁과 제재로 2022년 GDP 감소 폭 10% 넘어설 전망

러시아 EMERiCs - - 2022/04/22

☐ EBRD와 세계은행, 2022년 러시아 경제 역성장 예측

◦ EBRD, 전쟁과 대러제재로 러시아 2022년 GDP 역(-)성장률 10% 이상 기록할 것으로 전망
- 유럽부흥개발은행(EBRD, European Bank for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은 전쟁과 대러제재로 러시아의 2022년 GDP가 10% 이상 위축될 것으로 전망하였다. EBRD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전 2022년 러시아의 GDP 성장률이 3%에 달할 것으로 전망한 바 있다. EBRD는 앞으로도 대러제재가 이어질 것이며, 2022년 큰 경기 침체를 겪은 뒤 2023년 러시아가 스태그플레이션에 빠질 수 있다는 비관적인 예측을 내놓았다. 또한 러시아의 경기 침체로 동유럽, 코카서스, 중앙아시아 등 인접 지역 내 국가들도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밝혔다.
- 지난 3월 29일 EBRD는 2014년 러시아가 크림반도를 합병한 이후 러시아 내 신규 투자를 중단하였으며,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자 모스크바 사무소와 벨라루스 민스크 사무소를 폐쇄한다고 발표하였다. EBRD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강력하게 비난하며, 러시아의 침공과 벨라루스의 침공 지원으로 인해 불가피하게 사무실 폐쇄를 결정하였다고 설명하였다. 러시아는 EBRD의 최대 투자처였으나, 크림반도 합병 이후 EBRD는 러시아에 대한 모든 신규 프로젝트를 중단하였다. 그럼에도 EBRD는 러시아와 진행 중인 프로젝트 추진을 위하여 모스크바 사무소를 유지해 왔다. 한편 EBRD는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원을 지속할 것이며, 우크라이나와 그 주변국 지원을 위한 20억 유로(한화 약 2조 6,966억 원) 패키지에 동의했다고 밝혔다.

◦ 세계은행, 러시아 2022년 GDP –11% 하락 전망...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세계 경제 성장률도 감소
- 세계은행(World Bank)도 러시아의 2022년 GDP가 –11%의 역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세계은행은 EBRD와 마찬가지로 전쟁이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인들의 삶과 경제적 기반을 파괴할 것이며, 전쟁이 장기화될수록 그 피해도 더욱 확대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외에도 세계은행은 유럽과 중앙아시아를 비롯한 다른 지역에도 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점을 강조하였다.
- 더 나아가 세계은행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영향으로 2022년 전 세계적인 경제 성장률 감소를 예측하였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전 2022년 세계 경제 성장률 예측치는 4.1%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였으나, 러시아-우크라이나 간 전쟁이 발생하면서 이를 3.2%로 낮추었다. 세계은행은 전쟁으로 우크라이나산 농산물 공급에 차질이 생기면서 전 세계적으로 물가가 상승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 러시아, 예비비 추가 확보로 대러제재 대응... 정부도 2022년 역성장 불가피 전망

◦ 러시아 정부, 에너지 판매 통한 수입으로 예비비 추가 확보하여 대러제재에 대응
- 4월 10일 러시아 정부는 정부의 예비비를 2,734억 루블(한화 약 4조 2,400억 원)로 늘릴 계획이라고 발표하였다. 러시아 정부 공보처는 늘린 예비비를 대러제재 상황에서 경제 안정화를 위하여 사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러시아 정부의 예비비는 뜻하지 않은 지출에 대비하기 위한 기금으로, 연방 예산법에서 다루지 않는 중요한 사회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 러시아 정부는 석유, 가스 판매를 통한 추가 수입으로 예비비를 확보하였으며, 이를 통해 변화하는 경제 상황에 대처하겠다고 밝혔다. 러시아 정부 공보처 발표에 따르면, 2022년 1/4분기 추가 석유 및 가스 판매 수입으로 예비비 규모가 증가할 수 있었다. 공보처는 2022년 3월 대통령이 승인한 예산 특별 집행 개정안에 따라 정부 각 부처들이 경제 상황 변화에 빠르고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설명하였다.
- 러시아는 유럽을 비롯한 다양한 국가에 에너지를 수출하여 정부 예비비를 마련 중이다. 국제에너지기구(IEA, International Energy Agency)에 따르면, 유럽연합(EU) 전체 천연가스 수입에서 러시아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45%이다. 지난 2021년 겨울부터 우크라이나를 둘러싼 긴장이 고조되면서 천연가스 가격이 상승하기 시작하였으며,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국제 유가가 대폭 상승하였다. 
- 블룸버그는 대러제재에도 2022년 러시아의 석유, 가스 수출이 지속되고 있으며, 금액은 총 3,210억 달러(한화 약 390조 3,360억 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하였다. 블룸버그 보도에 따르면 국제금융협회(IIF, Institute of International Finance)는 러시아의 에너지 수출이 현재와 같은 수준으로 지속되면, 경상수지 흑자도 2,400억 달러(한화 약 291조 8,400억 원)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하였다.  로빈 브룩스(Robin Brooks) 등 IIF 경제학자들은 연구를 통해 러시아의 경상수지 흑자를 이끌 수출 동력인 에너지 수출이 향후에도 지속될 것이라고 보았다.

◦ 러시아 감사청장, 2022년 러시아 GDP 성장률 –10%에 달할 것이라 밝혀
- 4월 12일 알렉세이 쿠드린(Alexey Kudrin) 러시아 감사청장이 러시아 상원인 연방위원회 예산재정시장위원회 회의에서 재무부와 경제개발부가 GDP 위축을 예상하고 있다고 밝혔다. 쿠드린 감사청장은 러시아 재무부와 경제개발부가 2022년 GDP 성장 추정치를 산정하고 있으며, 곧 두 부처가 추정한 결과를 제출할 것이라고 밝혔다.
- 쿠드린 감사청장은 러시아 정부의 공식 전망을 인용하여 2022년 GDP 성장률은 –10%에 달할 것이라고 밝혔으며, 일부 -8% 로 예측한 전문가도 있었다고 덧붙였다. 

◦ 러시아 대통령, 서방 국가들의 제재는 이미 실패했다고 주장
- 4월 18일 블라디미르 푸틴(Vladimir Putin) 러시아 대통령이 사회경제 현안 회의에서 대러제재에 관한 내용을 언급하였다. 푸틴 대통령은 서방 국가들이 러시아의 재정·경제 상황을 빠르게 악화시켜 시장 내 패닉을 발생시키고, 은행 체계의 붕괴를 유도하며 대규모 상품 부족 사태를 야기하기 위하여 다양한 제재 조치를 취하였으나, 이러한 시도는 성공하지 못했다고 주장하였다.
- 푸틴 대통령은 제재가 오히려 제재를 취한 당사국들에 영향을 끼쳐 제재 참여국들의 경제 상황이 나빠졌다고 지적하였다. 푸틴 대통령은 제재를 취하는 미국과 유럽 국가 내의 인플레이션과 실업률이 높아지고, 경제 상황이 악화되었다고 언급하였다. 또한 유럽 국가 국민들의 삶의 수준이 낮아지고 정부 재정 상황이 악화되었다고 덧붙였다.

< 감수 : 이평래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 >

* 참고자료
Tass, Russian GDP outlook for 2022 being revised, says Accounts Chamber chief, 2022.04.12.
Business Insider, Russia says it will pad its reserves with $3.2 billion of oil and gas proceeds to counter sanctions as the country faces its first default in over a century, 2022.04.11.
Tass, Russian cabinet’s reserve fund to increase by $3.4 bln to stabilize economy, 2022.04.10.
The Guardian, Ukraine economy to shrink by almost half this year, World Bank forecasts, 2022.04.10.
Bloomberg, Despite sanctions, Putin may collect $321 billion windfall if oil and gas keep flowing, 2022.04.03.
European Bank for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 EBRD sees war on Ukraine causing major growth slowdown, 2022.03.31.


[관련 정보]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