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문가오피니언

[전문가오피니언] 인도네시아 국가 AI 전략의 중점 목표와 과제

인도네시아 Unggul Sagena University of Indonesia Technology & Society Researcher 2022/05/04

You may download English ver. of the original article(unedited) on top.

서론
1955년 논리학자 허버트 사이먼(Herbert Simon)이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 개념을 최초로 주창한 이래, AI는 은행업과 보건의료, 엔터테인먼트 등 민간/공공 부문의 다양한 분야를 선도할 유망 기술로 떠올랐다. AI는 산업 분야 제반에 걸쳐 비용 대비 효율성이 높은 기술에 투자해 각종 인프라 문제를 해결한다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국가적 경제 개발에 이바지할 수 있으며, 전산 인프라의 급속한 진전과 효율성 및 데이터 관리 기술 향상에 따라 더욱 큰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AI와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 로봇공학, 빅 데이터(Big Data) 분석 등은 생산 과정의 혁명을 불러일으켜 특히 개발도상국의 경제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는데, 현재 AI 기술의 수용도는 각국 경제 부문의 디지털화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경향을 보인다. 

하지만 상기 잠재력에도 불구하고 개발도상국에서 AI를 개발해 각종 경제 분야에 혜택을 가져온다는 구상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복잡성, 효과성, 효율성을 모두 지닌 전략적 지도안의 수립이 필요하다. 여러 개발도상국에서는 AI 기술에 관한 국가적 차원의 전략을 수립한 중국, 대만, 한국 등 동아시아 핵심 주자들의 선례에서 영감을 얻어 저마다의 AI 개발 경쟁에 시동을 걸고 있으며, 각국의 정책 결정자들은 바람직한 AI 생태계를 건설하기 위해 어떠한 규제가 필요한지를 고민하고 있다. 최근 들어서는 특히 인도네시아를 비롯한 아세안(ASEAN) 회원국들의 국민 복리후생에 있어 큰 축을 차지할 것으로 기대되는 디지털 경제 확립 사업에서도 AI 기술 개발이 주요 의제로 부상하는 중이다.1)

인도네시아 국가 AI 전략의 중점 목표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가장 큰 디지털 경제 시장을 보유하고 있기에 AI 분야 경쟁에서 큰 장점을 지닌 인도네시아는 지난 2020년 8월 10일, 국립 연구·혁신청(BRIN, Badan Riset dan Inovasi Nasional) 산하 연구기관인 기술 평가·도입청(BPPT, Badan Pengkajian dan Penerapan Teknologi)을 통해 2020~2045년에 걸쳐 시행될 국가 AI 전략(Stranas KA, Strategi Nasional Kecerdasan Artifisial)을 발표했다2). 본 전략은 다른 나라들이 우위를 선점하기 전에 디지털 경제 시장에서의 경쟁력과 장악력을 시급히 확보하기 위한 AI 생태계 조성 필요성의 대두에 따라 마련된 것으로, AI 기술 개발을 통해 기업 및 투자 부문 생산성 향상, 인적 자원 활용의 효율성 증대, 각종 부문에서의 혁신성 제고를 도모한다는 국가 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한다3). 상기 국가 AI 전략은 인도네시아 독립 100주년인 2045년까지 고도화되고 번영하는 국가 경제를 건설한다는 인도네시아 비전(Vision Indonesia) 2045 구상과도 궤를 같이하면서 국가적 차원의 AI 개발을 위한 장기적 전략의 청사진을 제공하게 된다4).

인도네시아의 국가 AI 전략에는 4개의 중점 분야(Focus Area)와 5개의 우선 분야(Priority Area)가 존재한다5). 이 중 전자인 중점 분야에는 (1) 윤리성 및 정책적 고려사항, (2) 재능 계발, (3) 인프라 및 데이터, (4) 혁신이 해당되며, 이를 바탕으로 구성된 후자의 5개 우선 분야는 (가) 보건의료 서비스, (나) 관료제 개혁, (다) 교육 및 연구, (라) 식량 안보, (마) 지능형 도시(Smart City) 및 지능형 이동수단(Smart Mobility) 이다. 국가 AI 전략은 장래 인도네시아의 AI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있어 이들 분야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여기에서 발생하는 각종 과제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를 담고 있다. 이 중 5개 우선 분야에 대한 인도네시아의 전략을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가) 보건의료 서비스
인도네시아가 마주한 국가적 과제는 2억 7,800만 명에 달하는 인구에6) 대해 균등한 의료의 질을 담보하는 일이다. 현재 인도네시아는 자국 영토에 포함된 총 1만 7,000개 이상의 도서 중 약 6,000개 섬에 거주하는 인구 전체에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지속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편 최근 발생한 코로나19 사태는 병원 업무와 의료 추적 체계를 대상으로 한 지능형 기술 도입을 가속화하는 효과를 가져오기도 했다. 비록 지금까지 보건의료 분야의 발전 속도가 아직 느리고 코로나19 팬데믹 초기에는 비판의 대상이 된 적도 있지만7), 앞으로도 관련 체계의 개선을 계속 이어 나가기 위한 노력은 여전히 중요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인도네시아 국가 AI 전략도 보건의료 서비스 분야 개선이 시급하다는 점을 반영하고 있다.

(나) 관료제 개혁
복잡다단한 관료 집단의 병폐는 여타 저개발국이나 개발도상국의 사례와 같이 인도네시아에서도 최대 문제로 떠올랐으며, 인도네시아에서 나타나는 비판의 주된 대상은 서비스 제공의 지연, 그리고 관료 집단이 모든 투자와 기업 활동에 피해를 야기함에 따라 나타나는 높은 수준의 경제적 비용이다. 코로나19 팬데믹 발생 초기에 인도네시아 정부는 1차 의료에 배정된 예산 중에서 5%에도 미치지 못하는 87조 6,000억 루피아(한화 약 7조 6,000억 원)만을 집행했는데, 이 미집행 사례도 관료 집단의 레드 테이프(Red Tape) 현상으로 인한 확인 및 승인 과정이 지체되면서 발생한 것이었다8). 인도네시아의 조코 위도도(Joko Widodo) 대통령은 취임 이래 각종 부처와 기관의 간소화 정책을 추진해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두었으며9), 이외에도 시민 중심적 디지털화 서비스 정부(Pemerintahan Digital Melayani) 구상이 향후 5년간 실시되고 클라우드 기술에 기반한 공공 서비스도 개발에 들어가는 등 여러 가지 형태의 노력이 전개되고 있다10).

(다) 교육 및 연구
인도네시아 정부는 2020년까지 8개의 대규모 경제 부문에서 요구되는 디지털 인력이 총 1억 3,000만 명 수준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으며11), 따라서 인도네시아 비전 2045 구상의 중심에 있는 교육 정책이 지니는 중요성이 매우 높다. 이 맥락에서 이루어진 노력의 일환으로 인도네시아 교육·문화부(Ministry of Education and Culture)는 자유 캠퍼스(Kampus Merdeka) 프로그램을 신설해 학생과 교사의 교육 활동에 대한 자유화 정책을 폄으로써 교육의 질 제고를 도모했다12). 자유 캠퍼스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자유로운 학습을 바탕으로 자신만의 미래를 그려 나가 디지털 스타트업 기업의 창업주나 인적 자원으로 도약해 디지털 분야 기업에서 다방면으로 활약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방점을 둔다13). 한편 인도네시아 국가 AI 전략은 칩 형태 AI(AI on Chip) 등 하드웨어 개발, 그리고 딥 러닝(Deep Learning), 어텐션 모델(Attention Model),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 모델 최적화 등 신규 모델 개발과 관련한 연구 증진을 위한 조치도 포함하고 있다.

(라) 식량 안보
식량 안보 분야에서도 AI는 식량 및 농업 분야에 대한 관리를 최적화하고 정부가 목표로 하는 바를 이룰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인도네시아 국가 AI 전략은 빈곤 문제 극복을 위해서는 빈곤층이 거주하거나 식량 필요도가 가장 높은 지역을 파악하는 일이 핵심 요소라고 지적하고 있으며, 여기서 AI는 위성 사진 분석을 통해 빈곤에 취약한 지역이 어디인지 판단하고 문제 해결을 지원하게 된다. 또한 인도네시아는 국가 AI 전략에 따라 식량 공급 분야에서 전 과정 목록 분석(LCI, Life-Cycle Inventory)이라는 빅 데이터 기법을 통해 국내 식량의 가용량과 비용, 지속가능성 등을 관리, 예상, 최적화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예정이며, 이 밖에도 전 과정 영향 평가(LCIA, Life-Cycle Impact Assessment) 기술을 적용해 정적인 자료를 동적인 실시간 자료로 변환함으로써 농업용지 관리, 작물 선정, 기후 예측, 공급망 운영, 재고 분배 등의 작업을 지원하고자 한다.

(마) 지능형 도시 및 지능형 이동수단
인구 중 거의 60%가 도시에 거주하는 인도네시아에서는 도시 운영과 이동 수단에서의 지능형 체계 도입을 촉진하는 두 가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먼저 수도를 기존의 자카르타(Jakarta)에서 풍부한 수림을 보유해 ‘세계의 허파(Lungs of the World)’로도 불리는 보르네오(Borneo)섬으로 이전하는 작업이 진행되고 있는데, 인도네시아 국가 개발 기획부(Ministry of National Development Planning)가 수도 이전 작업을 감독하면서 2045년까지 지속가능성을 지닌 지능형 수도를 건설하기 위한 작업을 진행 중이다. 이에 더해 인도네시아 통신·정보과학부(Ministry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cs) 주도로 2017년부터 추진 중인 계획에 따르면 2045년까지 100여 개의 지능형 도시를 건설한다는 목표 아래 총 98개의 지능형 도시와 416개 지능형 지구(Smart District)가 등장할 예정이다. 상기 노력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사물 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AI, 빅 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을 비롯한 최신 기술도 적극 활용될 전망이다.

인도네시아 국가 AI 전략의 또 다른 중점은 대중을 위한 이동수단이다. 인도네시아는 교통 부문을 비롯한 경제 전반에서 정보 통신 기술이 널리 활용되는 제4차 산업혁명을 겪고 있으며, 이와 같은 기술적 진보를 기회로 삼아 각계에서 AI의 지원을 받은 지능형 이동수단을 도입해 지역 공동체를 위한 서비스의 질을 높이고자 한다. 이 분야에서 AI 기술이 적용되는 구체적 사례로는 영역 교통 통제 체계(ATCS, Area Traffic Control System)에 기반한 교통 관리, 화물 수송 분야에서의 신기술 도입, 가변 표지판(VMS, Variable Message Sign) 설치, 그리고 화물차 운전자들의 운전 및 휴식 시간을 관찰하는 전자 기록 체계 도입을 들 수 있다14)

결론: 인도네시아 AI 혁신의 조율 방안과 향후 과제
인도네시아의 국가 AI 전략은 공동체 차원의 잠재력과 역량을 최적화된 방식으로 활용하기 위해 정부, 산업계, 학계, 지역사회라는 4대 이해관계자가 모두 참여해 협력한다는 접근법인 4중 나선(Quadruple Helix) 개념에 기반하고 있다. 이에 더해 국가 AI 전략에 따라 인도네시아에 신설된 AI 혁신 센터(PIKA, Pusat Inovasi Kecerdasan Artifisial)의 주요 활동 중 하나가 바로 ‘인도네시아 AI 혁신 가속화를 위한 협업 기관(KORIKA, Kolaborasi untuk Percepatan Inovasi Kecerdasan Artifisial Indonesia)’이라 명명된 총괄 기관의 구성이다15). 2021년 8월 10일에 공식 출범한 KORIKA는 앞으로 공공/민간 부문을 불문하고 모든 전략 분야에서 추진되는 AI 기술 개발과 연구, 혁신을 감독하며 4중 나선 협력 구조의 중심축 기능을 수행할 예정이다.

물론 국가적 차원에서 합의된 전략안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인도네시아가 AI 기술을 성공적으로 개발하는 데에는 아직 여러 과제가 남아있다. 이를 극복하고 AI 분야를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인도네시아의 인프라 구축 노력을 보여주는 사례로는 총 514개 지구와 도시를 연결하는 해저 광섬유망을 건설하는 팔라파 링(Palapa Ring) 사업을 들 수 있는데, 만약 본 사업이 성공적으로 완수될 경우 기존의 3G망을 대체해 인도네시아의 여러 섬을 연결하는 4G/LTE망을 건설하고 추후 5G망의 보급을 준비할 수 있게 되며, 4G/5G 운영사들도 2,100 메가헤르츠(Megahertz) 주파수대를 최적화하는 작업을 수행해 궁극적으로는 디지털 경제의 급속한 성장에 기여할 수 있게 될 것이다16). 또한 인도네시아 정부는 디지털 분야 인적 자원의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 디지털 재능 계발 프로그램을 신설해 2030년까지 역내 최대 디지털 경제를 건설하는 데 필수적인 기술을 보유한 1,000여 명의 젊은 인력을 양성하고자 한다. 이에 더해 서로 다른 경제 부문을 망라한 AI 도입을 조율하고 대중의 인식을 제고하기 위한 포럼인 연례 AI 혁신 회의(AIIS, Artificial Intelligence Innovation Summit)도 창설되었다. AIIS는 AI 관련 분야의 최신 동향과 인도네시아에서의 AI 기술 활용 사례를 소개함에 더해17) 인도네시아의 경제 주체들이 보유한 AI 기술 개발 능력과 국내에 도입된 AI 혁신 상품을 세계에 홍보하는 장의 역할을 함께 수행하게 될 것이다.




* 각주
1) McKinsey Global Institute. 2017. Artifical Intelligence and Southeast Asia’s Future. https://www.mckinsey.com/~/media/McKinsey/Featured%20Insights/Artificial%20Intelligence/AI%20and%20SE%20ASIA%20future/Artificial-intelligence-and-Southeast-Asias-future.ashx 
2) The Agency for the Assessment and Application of Technology (BPPT). 2020. BPPT Luncurkan Strategi Nasional Kecerdasan Artifisial, Apa itu. https://portal.bppt.go.id/en/berita-bppt/bppt-luncurkan-strategi-nasional-kecerdasan-artifisial-apa-itu
3) Hammam Riza. 2020. Foreword. Indonesia Artificial Intelligence National Strategy 2020-2045. Available to download at https://ai-innovation.id/server/static/ebook/stranas-ka.pdf 
4) UNDP. The Path to Peaceful and Prosperous Indonesia in 2045. https://www.id.undp.org/content/indonesia/en/home/projects/The-Path-to-Peaceful-and-Prosperous-Indonesia-in-2045.html 
5) The Agency for the Assessment and Application of Technology (BPPT). Strategi Nasional Kecerdasan Artifisial Indonesia 2020-2045. https://ai-innovation.id/server/static/ebook/stranas-ka.pdf 
6) Indonesia Population (LIVE). https://www.worldometers.info/world-population/indonesia-population/  
7) Ayuningtyas, et.al. 2020. Requestioning the Indonesia Government's Public Policy Response to the COVID-19 Pandemic: Black Box Analysis for the Period of January–July 2020. 
8) Sihombing & Aditya. Red Tape Holds Up $50 Billion Needed to End Indonesia Slump. https://www.bloombergquint.com/politics/red-tape-holds-up-50-billion-needed-to-end-indonesia-s-slump
9) Benny Iswardi. 2021. Penyederhanaan Birokrasi, Lompatan Besar Presiden Jokowi Mereformasi Birokrasi. https://kumparan.com/ben-iswardi/penyederhanaan-birokrasi-lompatan-besar-presiden-jokowi-mereformasi-birokrasi-1wCg3MDuu5a/3 
10) Ministry of Communication & Informatics (KOMINFO). Digital Melayani, Pemerintah Kembangkan Platform Digital Berbasis Cloud. https://kominfo.go.id/content/detail/27852/digital-melayani-pemerintah-kembangkan-platform-digital-berbasis-cloud/0/berita_satker
11) Sabila Maulidia. BPPTIK KOMINDO. 2020. https://bpptik.kominfo.go.id/2020/07/09/8009/kebutuhan-sumber-daya-manusia-bidang-tik-di-era-revolusi-industri-4-0/
12) Prahani, et.al. 2020. The Concept of "Kampus Merdeka" in Accordance with Freire's Critical Pedagogy. Studies in Philosophy of Science and Education (SiPoSE) Vol.1, No.1, April 2020, pp. 21-37
13) KEMDIKBUD. https://kampusmerdeka.kemdikbud.go.id/
14) Indotelko. 11 April 2019. Kemenhub terapkan smart mobility di transportasi darat. https://www.indotelko.com/read/1554950638/kemenhub-smart-mobility 
15) further details can be found on the official website korika.id and ai-innovation.id
16) Jawapos. 18 Maret 2022. Layanan 3G Dimatikan, Frekuensinya Bisa untuk Maksimalkan 4G dan 5G. https://www.jawapos.com/oto-dan-tekno/teknologi/18/03/2022/layanan-3g-dimatikan-frekuensinya-bisa-untuk-maksimalkan-4g-dan-5g/ 
17) Eva Martha Rahayu. 10 November 2021. AIIS 2021 Tampilkan Perkembangan Terkini Pemanfaatan Teknologi AI di Indonesia. Swacoid. https://swa.co.id/swa/trends/aiis-2021-tampilkan-perkembangan-terkini-pemanfaatan-teknologi-ai-di-indonesia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