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이슈&트렌드

[이슈트렌드] 사우디아라비아와 UAE, 유가 인상에 힘입어 경제성장 가속화

사우디아라비아 / 아랍에미리트 EMERiCs - - 2022/05/13

☐ 사우디, 유가 인상으로 10년 만에 최고 경제성장률 기록   


◦ 유가 인상, 사우디의 경제성장률 상승 견인 

- 2022년 1/4분기 사우디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9.6%로 2011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사우디 통계청은 유가 인상으로 20.4%의 성장률을 기록한 원유 부문이 전체 GDP 성장을 견인했다고 분석했다. 반면에 비석유 부문 성장률은 3.7%에 그쳤다.

- 2022년도 사우디 GDP 성장률을 7.6%로 전망한 국제통화기금(IMF)은 5월 4일 사우디 GDP가 역사상 처음으로 1조 달러(한화 약 1,274조 3,000억 원)를 돌파할 것으로 예상했다. 


◦ 사우디의 재정 상황 역시 유가 인상으로 개선될 것으로 전망

- 유가 인상은 또한 사우디의 재정 상황 개선에도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4월 국제 신용평가사 피치(Ftich)는 재정 수입의 약 60%를 원유 부문 수입에 의존하는 사우디가 2013년 이후 처음으로 2022년에 재정 흑자를 기록할 것으로 분석했다. 이에 피치는 사우디의 신용등급 전망을 ‘안정적’에서 ‘긍정적’으로 상향 조정했다.

- 피치는 과거 유가가 인상되었을 때 정부가 재정 지출을 다시 늘려 재정 건전성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었음을 지적했지만, 과거와 다르게 사우디 정부가 재정 지출을 줄이려는 노력을 펼치고 있다고 평가했다.


☐ 아랍에미리트(UAE), 원유 부문 수입 증대로 재정수지 개선


◦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UAE의 원유 부문 수입 증대...재정 상황도 개선

- 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유가 인상으로 UAE의 원유 부문 수입이 2021년 말 기준 4,800억 디르함(한화 약 166조 5,264억 원)에서 크게 증가하여 2022년에는 7,000억 디르함(한화 약 242조 8,51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UAE의 명목 GDP 전망치 또한 4,280억 달러(한화 약 545조 4,860억 원)에서 5,010억 달러(한화 약 638조 5,245억 원)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 국제통화기금(IMF)은 UAE가 2022년에 GDP의 8.1%에 달하는 재정 흑자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IMF는 2022년도 UAE 재정 수지 적자가 GDP의 0.2%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으나, 유가 인상에 따른 재정 수입 인상을 반영하여 전망치를 상향 조정했다. GDP 대비 공공부채 비율 또한 2021년 38.3%에서 2022년 31.7%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 


◦ UAE의 경제성장률 전망도 긍정적

- UAE는 지난 2021년 세계은행(World Bank)의 전망치인 2.1%를 훌쩍 뛰어 넘는 3.8%의 경제성장률을 기록했다. UAE 중앙은행은 2022년에도 4.2%의 성장률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다. IMF 역시 UAE가 2022년도에 경제성장률 4.2%를 기록하고 2022년부터 2027년까지 평균 4.2%의 성장률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했다.

- 다른 금융기관들 또한 긍정적인 전망을 내놓았다. UAE의 일본 미츠비시 파이낸셜그룹은 2022년도 UAE의 성장률을 4.9%로, 에미레이트 NBD(Emirates NBD)는 5.7%, 아부다비 상업은행은 5.4%로 전망했다. 국제금융협회(IIF, Institute of International Finance)는 UAE의 경제성장률이 6.3%에 이를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 비석유 부문 또한 성장세 견인


◦ UAE, 관광업이 비석유 부문 성장 견인...물가 상승에 대한 우려도 제기

- 비석유 부문이 UAE의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성장세를 이어나가고 있다. 2020년 GDP의 71.3%에 달하던 비석유 부문의 비중은 2021년 72.3%까지 늘어났다. 특히 비석유 부문에서 비중이 큰 업종은 호텔 및 요식업으로 전체 비석유 부문에서 21.3%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UAE 중앙은행은 비석유 부문 경제가 코로나19 영향에서 벗어나 회복세에 접어들었다고 진단했다. 2021년 4/4분기 비석유 부문은 7.8% 성장을 기록했으며, 2021년 전체로는 3.8% 성장세를 보였다. 

- 코로나19 방역과 여행 제한 조치 완화는 관광업 활성화에 기여했다. 2021년 4/4분기 두바이를 방문한 관광객 수는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9년 같은 기간의 74%에 달하는 340만 명까지 회복되었고, 두바이 국제공항은 1,180만 명이 방문해 코로나19 유행이 시작된 이후 최다 이용객 수를 기록했다.

- 그러나 유가 인상을 촉발한 우크라이나 전쟁은 UAE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동시에 운송과 공급 분야에서 차질을 야기해 물가 인상을 초래했다. 데이비드 오웬(David Owen) S&P 글로벌 소속 경제학자는 방역 완화와 두바이 엑스포가 가져온 긍정적 영향이 점차 감소하는 가운데 연료비와 원자재 가격 인상에 따른 물가 상승이 비석유 민간 부문에 대한 수요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 사우디, 관광 분야 회복으로 비석유 부문 성장 기대...물가 상승에 따른 영향도 나타나

- UAE와 마찬가지로 사우디 역시 관광 분야 회복을 통한 비석유 부문 성장을 기대하고 있다. 5월 9일 파흐드 하미닷딘(Fahd Hamidaddin) 사우디관광청장은 2022년도 1/4분기 관광객 수가 2019년 4/4분기 대비 130% 증가해 코로나19 유행 이전 수준을 회복했다고 밝혔다. 하미닷딘 청장은 2021년 사우디 방문자 수가 6,200만 명을 기록했으며 2022년에는 7,000만 명을 넘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 우크라이나 전쟁이 가져온 물가 상승 압력은 사우디에도 제한적이나마 영향을 미치고 있다. 2022년 4월 사우디의 구매관리자지수(Purchasing Managers Index)는 3월 56.8에서 소폭 하락한 55.7을 기록했으며, 오웬 경제학자는 사우디 비석유 부문이 여전히 성장세를 보이고 있지만 물가 상승에 따른 수요 감소로 성장 속도가 다소 둔화되었다고 분석했다.


< 감수 : 김은비 국방대학교 교수 >


* 참고자료

Al-Arabiya, Saudi Arabia aims to exceed 70 mln tourism visits this year: Official, 2022. 05. 09.

Reuters, UAE's non-oil private sector maintains solid growth in April, 2022. 05. 09.

The National, Non-oil business activity in Arab world's largest economies improved in April, 2022. 05. 09.

Al-Arabiya, Saudi Arabia’s economy to exceed $1 trillion for first time in history: IMF estimate, 2022. 05. 04.

Al-Jazeera, Oil propels Saudi GDP growth to near 10 percent in first quarter, 2022. 05. 01.

Arab News, UAE fiscal standing gets a boost on higher oil prices, 2022. 04. 27.

Gulf News, UAE’s 2022 GDP growth could even hit 6.3% on higher oil, says IIF, 2022. 04. 27.

Gulf News, UAE likely to hit 4.2% GDP growth in 2022 on higher oil prices and likely output, 2022. 04. 19.

The National, UAE fiscal standing gets a boost on higher oil prices, 2022. 04. 19.

Forbes, Fitch Upgrades Outlook On Saudi Economy Amid High Oil Prices, 2022. 04. 14.



[관련 정보]

1. 사우디아라비아, 2021년 4/4분기 실업률 11% 기록 (2022.05.06)

2. 사우디아라비아, 석유 수출 호조로 2022년 1/4분기 국내총생산 성장률 10% 육박 (2022.05.04)

3. 아랍에미리트, 에너지 가격 상승으로 인한 무역수지 흑자 (2022.05.03)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