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이슈&트렌드

[이슈트렌드] 고물가에 허덕이는 카자흐스탄, 석유 수출까지 중단

카자흐스탄 EMERiCs - - 2023/02/24

☐ 카자흐스탄의 연간 인플레이션, 지난 12개월 동안 꾸준히 상승

◦ 카자흐스탄 연간 인플레이션, 2023년 1월에도 20% 상회
- 카자흐스탄 국립은행(National Bank of Kazakhstan)은 2023년 1월 카자흐스탄의 연간 인플레이션이 20.7%로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카자흐스탄의 연간 인플레이션은 2022년 1월 7.4%를 기록했으나 2022년 3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시작된 후 12%로 치솟았으며, 이후 2023년 1월까지 가파른 상승세를 기록했다. 
- 카자흐스탄 국립은행은 2023년 1월 카자흐스탄의 식품 가격이 전년 동기 대비 25.7% 상승했고 비식품 가격은 20.2% 상승했다고 발표했다. 2023년 1월 카자흐스탄의 서비스 가격은 전년 동기 14.1% 상승했다.
- 2023년 1월 망기스타우(Mangistau)주의 식품 가격이 전년 동기 대비 31.5% 상승해 카자흐스탄 행정구역 중 가장 높은 식품 가격 인상률을 기록했으며 카자흐스탄의 수도 아스타나(Astana)의 비식품 가격이 전년 동기 대비 31.7% 상승해 카자흐스탄 행정구역 중 가장 높은 비식품 가격 인상률을 기록했다. 

◦ 카자흐스탄 국립은행, 고물가 속 기준금리 동결 결정
- 2023년 1월 카자흐스탄 국립은행은 자국의 인플레이션 증가세가 둔화되었다고 판단하며 16.75%로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베리크 숄판쿠로프(Berik Sholpankulov) 카자흐스탄 국립은행 부총재는 카자흐스탄이 겪고 있는 인플레이션 위기로 인해 기준금리를 당분간 동결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 카자흐스탄 중앙은행은 2023년 카자흐스탄의 인플레이션을 7.5~9.5%대로 만드는 것이 목표라고 발표했으며, 카자흐스탄 정부 또한 2023년 카자흐스탄의 인플레이션을 9.5%로 낮추겠다고 발표했다. 다무 캐피털(DAMU Capital)의 무라트 카스타예프(Murat Kastaev)는 카자흐스탄의 인플레이션이 2023년도 1/4분기에 정점을 찍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 한편 숄판쿠로프 부총재는 2023년 1월 카자흐스탄의 비즈니스 활동 지수(Business Activity Index)가 1.5점 오른 50.7점을 기록했다면서 8개월 만에 처음으로 50점을 돌파했다고 발표했다. 숄판쿠로프 부총재는 2023년 1월 카자흐스탄 서비스업과 제조업의 비즈니스 활동지수는 전월 대비 각각 2.4점, 0.6점 오른 52.1점, 51.3점을 기록했다고 덧붙였다. 

☐ 카자흐스탄 정부, 높은 물가 속 주력 수출품인 석유 수출 금지

◦ 카자흐스탄, 6월까지 석유 수출 금지 발표
- 2월 8일 카자흐스탄 재무부는 카자흐스탄이 2월 18일부터 네 달 동안 석유 수출을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카자흐스탄 재무부는 카자흐스탄에서 휘발유와 경유를 비롯해 석유와 관련된 모든 제품의 수출을 금지한다면서, 대내외적으로 관련된 모든 기업에도 이를 알렸다고 발표함. 
- 2월 5일부터 유럽연합(EU)의 러시아산 석유 수입 금지 조치와 경유에 대한 가격 상한제가 발효되자 카자흐스탄 정부는 자국 내 석유 공급을 확보하기 위해 수출 중단을 발표했다. 카자흐스탄은 전 세계에서 아홉 번째로 원유 수출이 많은 나라로, 세계 석유 매장량 중 3%를 보유한 나라이다. 카자흐스탄이 생산한 석유의 70% 이상은 유럽으로 수출된다. 
- 카자흐스탄의 이와 같은 결정에 2023년 1월 카자흐스탄으로부터 30만 톤의 석유를 수입하기로 한 독일의 에너지 수급 계획에도 지장이 생길 전망이다. 당초 카자흐스탄 정부는 2023년도 1/4분기에 독일로 30만 톤의 석유를 수출한다고 발표했으나 첫 공급분인 2만 톤이 현재까지 독일에 전달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다. 

◦ 카자흐스탄 정부, 양파 수출도 4월까지 금지
- 1월 18일 카자흐스탄 정부는 양파 수출을 세 달 동안 금지한다고 발표했다. 카자흐스탄 정부는 현재 카자흐스탄이 약 15만 톤의 양파를 비축해 두었으며, 이는 2022년 수확한 양파의 14%밖에 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카자흐스탄의 연간 양파 소비량은 약 31만 5,000톤이다. 
- 한편 카자흐스탄 인민당(People’s Party) 소속 아이쿤 코누로프(Aikyn Konurov) 의원은 전 세계적인 인플레이션이 7.4%밖에 되지 않는다면서 카자흐스탄이 겪고 있는 20%대의 인플레이션은 외부적인 요인보다는 카자흐스탄의 왜곡된 경제 구조와 가치 사슬로 인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 고물가와 한파가 겹치는 카자흐스탄, 전력수급도 비상...잦은 정전 발생

◦ 노화된 카자흐스탄 송전 설비, 만성적인 정전으로 이어져
- 영하 14도의 기온이 이어진 가운데 2월 13일 카자흐스탄의 국영 전력 공급 업체인 케이이지오씨(KEGOC)는 일부 지역에 긴급하게 송전을 중단했다고 발표했다. KEGOC는 카자흐스탄 남부와 중부 지역에 전력 공급이 완전히 차단되는 것을 막기 위한 결정이었다고 설명했다. 앞서 2월 초에도 서부 아트라우(Atyrau) 지역에서 대규모 정전이 발생했었다. 
- 카자흐스탄은 만성적인 송전 문제를 겪고 있다. 수요가 급증하고 있지만 소련 시대 구축된 송전망이 빠르게 노화되는 것과 달리 새로운 설비로 대체되는 속도는 느리다. 2월 초 로만 스클야르(Roman Sklyar) 카자흐스탄 제1부총리는 카자흐스탄 에너지부가 이 문제를 제대로 해결하지 않는다면서 공개적으로 에너지부를 질책했다. 

◦ 카자흐스탄 정부, 가상화폐 채굴 때문에 전력 사용량이 많아졌다고 주장
- 카자흐스탄 정부는 카자흐스탄에서 전력 사용량이 많아진 이유는 가상화폐 채굴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2021년 중국이 가상화폐 채굴을 금지하자, 채굴업자들이 상대적으로 약한 규제 강도와 값싼 전기를 찾아 카자흐스탄으로 넘어왔다는 것이다. 
- 2021년 하반기 이후 카자흐스탄 정부는 에너지 공급 중단과 가상화폐 관련 세금을 크게 올리는 방식으로 대응했다. 사파르 아흐메토프(Sapar Akhmetov) 카자흐스탄 블록체인 기술 연합회(Kazakhstan Association of Blockchain Technologies) 회장은 2023년 카자흐스탄 블록체인의 날(Kazakhstan Blockchain Day 2023) 행사에서 카자흐스탄 정부가 가상화폐에 대한 규제를 강화한 후 카자흐스탄에서 가상화폐를 채굴하던 사람의 70%가 카자흐스탄을 떠났다고 주장했다.  

< 감수 : 이평래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 >


* 참고자료
Kapital.kz, Аналитики о перспективах изменения базовой ставки в 2023 году, 2022.12.30.
Kapital.kz, Годовая инфляция по итогам декабря составила 20,3%, 2023.01.04.
The Astana Times, Kazakhstan’s National Bank Keeps Base Rate at 16.75 Percent, 2023.01.13.
bne IntelliNews, Kazakhstan to send oil to Germany via Russian pipeline, 2023.01.17.
Oil Price, Kazakhstan To Transport Oil To Germany Through Russian Pipeline, 2023.01.17.
East Fruit, Kazakhstan suspended onion exports for three months, 2023.01.18.
Kapital.kz, Остановить галопирующую инфляцию потребовали в мажилисе, 2023.01.18. 
Oil Price, Kazakhstan Bans Fuel Exports To Ensure Domestic Supply, 2023.02.09.
Caspian News, Kazakhstan Bans Oil Product Exports for Four Months, 2023.02.10.
Eurasianet, Kazakhstan again struggling with power outages, 2023.02.14
Interfax, National Bank of Kazakhstan should keep base rate unchanged due to inflationary risks - dep governor, 2023.02.14.
Kapital.kz, Уровень годовой инфляции в январе ускорился до 20,7% - Нацбанк, 2023.02.16.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