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이슈&트렌드

[이슈트렌드] 모로코, 우크라이나 전쟁과 가뭄으로 식품 가격 인상 압력에 직면

아프리카ㆍ 중동 기타 EMERICs - - 2023/03/31

☐ 모로코, 기준금리 연속 인상에도 물가 상승 지속

◦ 모로코, 식품 가격 상승이 2월 소비자가격지수(CPI, Consumer Price Index) 상승 견인 
- 3월 21일 모로코 고등기획위원회는 2월 CPI가 전월보다 1.7%, 전년 동기보다 10.1% 상승했다고 발표했다. 특히 전월보다 3.9%, 전년 동기보다 20.1% 상승한 식품 가격이 CPI 상승을 견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 2022년 모로코의 인플레이션은 1992년 이후 최고치인 6.6%를 기록했다. 식품 외에도 국제 유가 상승으로 에너지 수입 비용이 늘어남에 따라 인플레이션 상승 압력이 가중된 것으로 분석된다. 2022년도 모로코의 에너지 수입액은 1,530억 디르함(한화 약 19조 3,669억 원)으로 전년보다 102%나 증가했다. 모로코 중앙은행은 2023년 인플레이션은 다소 감소하겠으나 여전히 5.5%로 목표치인 2%를 크게 상회할 것으로 전망했다.

◦ 모로코 중앙은행, 세 번 연속으로 기준금리 인상
- 인플레이션을 막기 위해 모로코 중앙은행은 3월 21일 기준금리를 3%로 50bp(basis point, 1bp=0.01%) 인상했다. 기준금리 인상은 2022년 9월과 12월에 이어 세 번째다. 모로코 중앙은행은 식품 가격 인상이 촉발한 인플레이션 통제 필요성을 기준금리 인상 배경으로 설명했다.
- 모로코 월드뉴스(Morocco World News)는 아지즈 아칸누쉬(Aziz Akhannouch) 모로코 총리가 중앙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이 경제에 미칠 악영향을 우려해 무함마드 6세(Muhammad VI) 국왕에게 중앙은행과 정부 간 정책 차이에 대한 중재를 요청했다는 의혹이 제기된다고 보도했다. 아칸누쉬 총리는 의혹을 전면 부인했다.

☐ 가뭄과 우크라이나 전쟁, 모로코의 식품 가격 인상 촉발 

◦ 심각한 가뭄, 모로코의 식량 수급에 악영향
- 2022년 모로코를 포함한 북아프리카 지역은 30년 만에 최악의 가뭄에 직면했다. 모로코 국내총생산(GDP)의 15%를 차지하고 전체 노동인구의 40~43%가 일하는 농업 부문도 막대한 타격을 입었다. 2022년 1~5월 모로코의 평균 강수량은 30년 평균 강수량의 44%, 전년 동기의 34%에 그쳤다.
- 전체 농업 생산량의 85%가 빗물에 의존하는 모로코에서 가뭄은 농업 생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2022년도 모로코의 곡물 생산량은 평균보다 66% 감소한 330만 톤에 그쳤다. 농업 생산량 감소로 인해 모로코 재무부는 3월 기준 모로코의 밀 비축량이 3개월분밖에 되지 않는다고 발표했고, 3월 26일에는 아흐메드 라흘리미(Ahmed Lahlimi) 고등기획위원회 위원장은 식품 가격 인상의 원인이 수요 증가가 아니라 가뭄으로 인한 공급 부족이라고 인정했다.

◦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증가한 식품 수입액, 모로코 재정에 부담으로 작용  
- 국내 생산량이 줄어듦에 따라 모로코의 식량 수입 규모는 크게 늘어났다. 2022년 모로코의 밀 수입량이 전년보다 84% 증가함에 따라 밀 수입액은 전년보다 81% 늘어난 250억 디르함(한화 약 3조 1,675억 원)을 기록했으며, 그 결과 무역 적자 규모도 56.5% 증가한 3,110억 디르함(한화 약 39조 4,046억 원)에 달했다. 우크라이나 전쟁 또한 밀 수요량의 약 20%를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에서 수입하는 모로코의 식량 수급에 차질을 초래했다.
- 식량 가격 안정화를 위한 보조금 지출도 모로코 재정에 부담으로 작용했다. 지난 1월 모로코 재무부는 2022년에 밀과 식용유 보조금으로만 약 325억 디르함(한화 약 4조 1,178억 원)를 지출했다고 밝혔다. 
- 보조금 지출 증가는 재정 악화로 이어져 2022년 모로코의 재정 적자는 695억 디르함(한화 약 8조 8,058억 원)에 달했다. 재정 악화에 대응해 모로코는 국제통화기금(IMF)에 차관 제공을 요청했으며, IMF는 3월 모로코에 50억 달러(한화 약 6조 5,025억 원) 규모 차관을 2년 만기로 제공하기로 결정했다.

☐ 모로코 정부, 식품 수요 늘어나는 라마단 기간의 식품 가격 안정을 위해 대책 마련 

◦ 모로코 정부, 보조금 확대와 수입처 다변화로 식품 가격 안정화 노력
- 식품 수요가 증가하는 라마단을 앞두고 모로코 정부는 관세 인하와 보조금 확대로 식품 가격을 안정화하기 위한 노력에 나섰다. 밀 수급을 늘리기 위해 수입산 밀에 대한 관세 면제 기간을 4월 30일에서 5월 31일까지로 연장했으며, 3월에 흑해 지역에서 수입해 오는 밀에는 1톤에 80달러(한화 약 10만 3,880원), 다른 지역에서 수입하는 밀에는 1톤에 90달러(11만 6,865원)의 보조금을 지급하기로 했다. 
- 식량 수급원 다변화를 위해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이외에 다른 밀 수출국에서의 수입도 늘렸다. 2022년 유럽연합(EU) 국가산 밀 수입량은 전년보다 113%가 늘어났으며, 브라질산 밀 수입량은 전년 대비 무려 632% 증가했다.
- 식품 수출 제한도 강화했다. 모로코는 2월부터 토마토 수출량을 하루 1,500톤으로 통제하고 있으며, 3월 18일부터 22일까지는 모든 수출을 중단시켰다. 이후 토마토 수출이 재개된 뒤에도 하루 수출량을 700~1,000톤으로 제한하였다.

◦ 모로코 정부, 식품 가격 인상에 따른 불만 성장 대응에 안간힘
- 식품 가격 인상이 사회 불안 요소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진다. 라쉬드 아우라즈(Rachid Aourraz) 워싱턴 중동연구소 연구원은 인플레이션이 계속되면 누적된 불만이 시위로 터져나올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이미 지난 2022년 12월에 수천 명이 모여 물가 인상에 항의하는 시위를 벌인 바 있다. 
- 정부는 최저임금을 40% 인상하는 등 불만 달래기에 나섰다. 무스타파 바이타스(Mustapha Baitas) 모로코 대변인은 식품 공급을 확대하고 부당하게 식품 가격을 올리거나 사재기하는 도소매상에 대한 감독을 강화하는 등 정부가 충분한 식품 공급과 식품 가격 안정화를 위해 모든 대책을 강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대책이 실제 식품 가격 인하로 이어지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 아칸누쉬 총리 또한 3월 23일 정부가 라마단을 대비해 식품 공급을 늘리는 등 식품 가격을 안정화하기 위한 모든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다. 아칸누쉬 총리는 또한 장관들에게 라마단 기간 동안 각 부처의 관할과 관련된 식품의 공급과 가격 상황을 주의 깊게 감독하고 사재기를 엄단할 것을 촉구했다.

< 감수 : 이진상 한국뉴욕주립대학교 교수 > 

* 참고자료
Morocco World News, Inflation Crisis in Morocco Divides Public Institutions and Government, 2023. 03. 28.
Morocco World News, EU’s Wheat Exports to Morocco Hit Record High, 2023. 03. 25.
Reuters, Morocco restricts tomato exports over high domestic prices, 2023. 03. 25.
Atalayar, Morocco and Algeria facing water shortages, 2023. 03. 24.
Middle East Online, Skyrocketing food prices take their toll on Moroccans in Ramadan, 2023. 03. 24.
Morocco World News, Morocco Has 3 Months’ Worth of Wheat Supply, 2023. 03. 23.
Africa News, Morocco: new rate hike to try to curb inflation, 2023. 03. 22.
Morocco World News, Consumer Prices in Morocco Continued to Rise in February, 2023. 03. 22.
Morocco World News, Morocco’s Central Bank: Inflation To Remain Elevated in 2023 at 5.5%, 2023. 03. 21.
Fastmarkets, Morocco changes import scheme to secure wheat supplies, 2023. 03. 10.
Atalayar, Morocco requests $5 billion loan from the IMF, 2023. 03. 07.
Zawya, Morocco's trade deficit widens 56.5% in 2022, 2023. 02. 02.
North Africa Post, Morocco’s subsidies spending surges to $4 bln in 2022, 2023. 01. 24.
Morocco World News, Morocco’s Cereal Production Drops Amid Severe Drought, 2022. 08. 08.
Morocco World News, Morocco’s Cereal Imports Expected To Increase by 35% in 2022/23, 2022. 07. 22.

[관련 정보]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