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KIEP 동향세미나

[동향세미나] 2022년 한-러, 한-중앙아 교역 및 투자 변화와 시사점

러시아 정민현 KIEP 세계지역연구센터 러시아유라시아팀 - 2023/05/02

☐ (교역액)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대러 교역액 감소, 대중앙아 교역액 증가
 - 2022년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한국의 대러시아 교역액은 감소한 반면, 대중앙아 교역액은 증가하여 중앙아시아가 대러시아 경제제재의 우회 수출입지로 활용되고 있음을 시사(그림 1. 참고)

그림 1.1. 한-러 교역 추이

그림 1.2. 한-중앙아 교역 추이
자료: 무역협회 자료를 토대로 저자 작성(검색일: 2023.4.17.) 
주: % 수치는 우리나라 전체 수출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의미하며, 붉은 실선은 각각 2014년 크림반도 사태와 2022년 우크라이나 전쟁을 의미함.

- 2022년 대러시아 교역액(수출액+수입액)은 총 211억 달러를 기록, 전년 대비 22.7% 감소(2014년 크림반도 사태 이후 교역액은 전년 대비 14.0% 증가)하였으며, 대중앙아시아 교역액은 총 92억달러를 기록, 전년 대비 74.3% 증가
 ㅇ 2022년 대러시아 교역액은 전년 대비 62억 달러 감소하였으며 동기간 대중앙아시아 교역액은 40억 달러 증가하여 대러시아 교역액 감소분의 약 67%를 대중앙아시아 교역액이 흡수한 것으로 판단됨.
 ㅇ 2022년 대중앙아 교역액 증분(40억 달러) 가운데 대카자흐스탄 교역액 증분(33억 달러)이 차지하는 비중은 88.5%에 달해, 카자흐스탄이 대러 제재 우회 수출입지로 집중 활용되는 것으로 사료됨. 
 - 2022년 대러시아 수출은 63억 달러, 수입은 148억 달러로 전년 대비 각각 36.6%, 14.6% 감소한 반면, 대중앙아시아 수출은 43억 달러, 수입은 48억 달러를 기록, 전년 대비 각각 52.9%, 98.8% 증가
 - 2022년 우리나라 전체 교역액에서 대러시아 교역액이 차지하는 비중은 전년 대비 0.68%p 감소한 1.49%를 기록한 반면 대중앙아시아 교역액이 차지하는 비중은 0.36%p 증가한 0.85%를 기록(그림 2. 참고)
 ㅇ 2014년 크림반도 사태 때는 대러시아 및 대중앙아시아 교역액과 교역 비중 모두 동반 상승한 반면, 2022년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대중앙아시아 교역액 및 교역 비중만 상승하여 2014년 크림반도 사태 이후와 매우 다른 양상을 보임.

그림 2. 한-러, 한-중앙아 교역 비중 추이
자료: 무역협회 자료를 토대로 저자 작성(검색일: 2023.4.17.) 
주: % 수치는 우리나라 전체 수출입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의미하며, 붉은 실선은 각각 2014년 크림반도 사태와 2022년 우크라이나 전쟁을 의미함.

☐ (투자)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대러, 대중앙아 직접투자 동반 감소
 - 2022년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 한국의 대러시아, 대중앙아 직접투자 총액은 각각 5천 9백만 달러, 3천 7백만 달러를 기록하여 전년 대비 각각 71%, 33% 감소
 ㅇ 이는 교역과 달리 투자 측면에서 적어도 현재까지는 중앙아시아가 러시아 직접투자의 대안으로 기능하지 못하고 있음을 시사
 ㅇ 2014년 크림반도 사태 이후 2014년 대러시아 직접투자 총액은 1억 6천만 달러로 전년 대비 6% 감소에 그쳤음을 감안하면, 2022년 우크라이나 전쟁이 대러시아 직접투자에 미친 외생적 충격이 매우 심대함을 의미 

☐ (시사점: 대응 방향) 협력 시너지 높은 분야의 중소기업 협력 강화 및 대중앙아시아 협력 강화로 한-러 경제협력 안정화 기반 마련 
 - 한-러 민간 경제 협력 축소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협력 시너지가 높은 ICT 부문의 협력 확대를 통한 한-러 경제협력 안정화 노력 필요
 - 러시아의 ICT 산업은 소프트웨어 부문을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러시아 정부 역시 러시아 기업의 수출 및 해외 시장 진출이 활발한 디지털 서비스·소프트웨어 부문 발전 가능성을 높이 평가, 해당 부문의 전략적 육성을 목표
 ㅇ ICT 분야는 다른 제조업 분야와 달리 혁신의 주체로써 소규모 기업의 역할이 강조될 뿐 아니라 러시아 정부가 최근 경쟁과 혁신 및 효율을 제고하기 위해 중소기업 육성에 국가적 역량을 기울이고 있으므로 ICT 분야에서의 양국 중소기업 협력을 위한 정책적 환경은 양호한 상황
 - 제재 상황에서 중앙아시아가 대러 경제 협력의 우회 지역으로 활용되는 만큼 중앙아시아와의 경제 협력 확대를 통해 향후 한-러 협력 기반 마련
 - 특히 카자흐스탄은 중앙아시아 중진국으로서, 최근 러시아의 자본 및 고급 인적자본의 이동이 활발할 뿐 아니라 한국에 투자청을 신규 설립하는 등(부산 소재) 한-카자흐스탄 양국 협력의 새로운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음.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