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EP 동향세미나
[동향세미나] 러시아, 외국계 기업 철수 현황과 전망
러시아 민지영 KIEP 세계지역연구센터 러시아유라시아팀 전문연구원 2023/06/01
자료를 인용, 보도하시는 경우, 출처를 반드시 “ EMERiCs 러시아ㆍ유라시아 ”로 명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 2022년 2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직후 다수의 외국계 기업이 러시아 시장에서 철수하겠다고 선언했으나, 이들의 철수가 지체되고 있음1).
- 2023년 5월 기준 총 3,291개 외국계 기업 중 러시아 시장에서 남아 정상 운영 중인(stay) 기업은 1,313개이며, 신규투자 중단 및 사업규모 축소(wait) 기업은506개, 운영 중단 및 철수 선언(leave) 기업은 1,197개, 그리고 철수 완료(exit) 기업은 234개임.
- 주요국별 기업들의 의사결정 현황은 [그림 1]과 같음.
ㅇ 주요국별 러시아 기진출 기업 수는 미국 719개, 독일 382개, 영국 270개, 일본 169개, 프랑스 167개, 중국 165개, 스위스 144개, 이탈리아 114개, 네덜란드 98개이며, 한국은 32개임.
- 또한, 철수를 완료 또는 추진하는 기업 일부의 매각계약서에 바이백(Buy Back) 조항이 포함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완전한 철수가 이루어진 사례는 더 적다고 보는 것이 타당함.
ㅇ 니산(Nissan), 맥도날드, 메르세데스-벤츠 등은 바이백을 조건으로 러시아 업체에 자산을 매각하였으며, 칼스버그, 현대자동차 등도 바이백 조건으로 매각을 추진하였음4).
- 전문가들은 외국계 기업의 러시아 시장에서의 철수가 늦어지는 원인으로 이들이 경험하게 되는 △글로벌 가치사슬의 재구축 △윤리적인 고려(고용, 복지 등) △사업체 매각을 통한 손실 △러시아 정부의 정책 등을 꼽았으며5), 결과적으로 철수 비용이 높다고 생각되어 철수가 지체되거나 포기되는 사례가 발생하는 것으로 보임.
☐ 이와 더불어, 점차 러시아 정부가 서방제재에 대한 보복조치의 일환으로 기업들에 불리한 철수 조건을 추가함에 따라 외국계 기업의 철수가 더욱 어려워질 전망임.
- 3월 27일 ‘비우호국’ 기업이 자산을 매각할 때 연방예산에 대한 ‘자발적 기부’를 필수 조건으로 한다는 내용이 발표되었음6).
ㅇ 이미 2022년 12월부터 러시아 정부는 외국계 기업 자산 매각시 매각액을 시장가치의 절반 이하로 낮추거나, 자산 매각액의 10%를 정부예산에 기부하는 조건을 걸었음7).
ㅇ 이번에는 원칙적으로 자산 평가보고서에 표시된 자산가격의 절반 이상을, 또는 자산가치가 90% 이상 할인된 경우 시장가치의 최소 10%를 정부예산에 기부하는 조건으로 수정됨.
- 4월 25일 독일계 발전 기업 Unipro의 주식 83.73%, 핀란드계 전력 기업 Fortum의 69.33% 등에 대한 임시 관리를 연방자산관리청(Росимущество)에 강제 위임하였음8).
- 5월 21일에는 현대차의 러시아 공장 매각 신청이 사실상 거절되었다고 발표되었으며, 이는 한국 정부의 우크라이나 무기 지원 관련 이슈 때문이라는 해석이 존재함9).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 및 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이전글 | [동향세미나] 러-우 사태 이후 아시아 주요국의 대중동 원유 수입 비중 변화 비교 | 2023-06-01 |
---|---|---|
다음글 | [이슈트렌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장기화에 우방국 확보 노력 | 2023-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