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특집이슈
[월간정세변화] 중국의 영향력 확대… 역내 긴장 고조에 중앙아시아 각국, 연대 강화 약속
러시아ㆍ유라시아 일반 EMERICs 2023/09/29
자료를 인용, 보도하시는 경우, 출처를 반드시 “ EMERiCs 러시아ㆍ유라시아 ”로 명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중국-중앙아시아 간 경제 교류 확대 추세
2023년도 상반기, 중앙아시아 5개국과 중국 간 무역액 큰 폭으로 증가
2023년도 상반기 중앙아시아 다섯 국가와 중국과의 경제 관계가 대폭 강화되었다. 가장 눈에 띄는 항목은 무역액 증가이다. 2023년 7월 중국 관세청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3년도 상반기 중국의 중앙아시아 국가에 대한 수출액은 264억 달러(한화 약 34조 3,200억 원)였고 수입액은 135억 달러(한화 약 17조 5,500억 원)를 기록했다.
중앙아시아 다섯 국가 중 중국과 무역 규모가 가장 큰 국가는 카자흐스탄으로 2023년도 상반기 중국과 카자흐스탄의 무역 규모는 전년 대비 26.8% 상승한 182억 5,000만 달러(한화 약 23조 7,250억 원)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중국과 무역 규모가 가장 큰 국가는 키르기스스탄으로, 무역 규모가 전년 대비 27.6% 상승한 79억 2,000만 달러(한화 약 10조 2,960억 원)를 기록했다.
가스가 사실상 대부분을 차지하는 2023년도 상반기 중국과 투르크메니스탄과의 무역 규모는 12.3% 성장하는 데 그쳤지만, 그럼에도 55억 5,000만 달러(한화 약 7조 2,150억 원)에 달했다. 이중 투르크메니스탄이 중국으로 수출한 가스의 규모는 50억 달러(한화 약 6조 5,000억 원)에 달한다.
다섯 국가 중 중국과의 무역에서 가장 가파른 성장세를 보인 국가는 타지키스탄이다. 2023년도 상반기 중국과 타지키스탄의 무역 규모는 21억 1,000만 달러(한화 약 2조 7,430억 원)에 불과했으나, 전년 동기 대비 84.7%나 성장하는 쾌거를 이뤄냈다.
중국과 우즈베키스탄의 무역 규모는 양국이 발표한 자료가 상이하다. 중국 관세청은 2023년도 상반기 중국과 우즈베키스탄의 무역 규모가 61억 달러(한화 약 7조 9,300억 원)를 기록했다고 발표한 반면, 우즈베키스탄 통계청은 대중 무역 규모가 52억 6,000만 달러(한화 약 6조 8,380억 원)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중국과의 무비자 협정 체결로 무역, 투자, 관광 증가 효과 기대
중국과 중앙아시아의 경제 관계는 앞으로도 미래가 밝다. 특히 중국과 가장 무역규모가 큰 카자흐스탄이 중국과 무비자 정책을 도입한 것이 크다. 이로써 중국인은 우즈베키스탄과 더불어 카자흐스탄에도 비자 없이 자유롭게 오갈 수 있게 되었다. 키르기스스탄은 중국과 무비자 정책을 협상하고 있다. 중국과 중앙아시아 국가들은 무비자 정책을 통해 더 많은 무역과 투자, 그리고 관광객의 교류를 기대하고 있다.
중앙아시아에 대한 중국의 공격적인 투자
중국, 중앙아시아에 대한 투자 늘리며 영향력 확대
중국은 중앙아시아의 재생에너지 개발 분야에 광범위하게 진출해있다. 중국의 대표적인 태양광 발전 생산업체인 안타이솔라(Antaisolar)는 우즈베키스탄에 470MWp 규모라는 역대 최대 규모의 태양광 발전 계약을 체결했다. 중국은 이 외에도 키르기스스탄과 30억 달러(한화 약 3조 9,000억 원) 규모의 수력 발전소 건설 계약을 체결했다. 키르기스스탄에 새로 건설 될 네 개의 수력 발전소의 발전 용량은 1,160MW에 달한다.
우즈베키스탄 역시 중국과 수력 발전소 건설에 합의했다. 중국의 중국남방전망(China Southern Power Grid International)은 2030년까지 총합 820MW 규모의 수력 발전소 세 곳을 우즈베키스탄에 건설할 예정이다. 두 나라가 맺은 양해각서의 계약 규모는 총 16억 4,000만 달러(한화 약 2조 1,320억 원)에 달한다.
8월 말 타지키스탄은 중국과 전기 자동차 생산과 관련된 투자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4억 달러(한화 약 5,200억 원) 규모에 달하는 이번 투자를 통해 타지키스탄은 중국의 기술과 자본을 바탕으로 연간 약 1,500대의 전기 자동차를 생산할 예정이다.
중국에 대한 카자흐스탄의 높은 경제 의존도와 무역 불균형은 문제로 지적
한편 중국에 대한 높은 경제 의존도와 무역 불균형은 문제가 될 수 있다는 전문가들의 지적이 있다. 이미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이 중국에 대한 경제적 의존도가 높은 가운데, 카자흐스탄 역시 이와 비슷한 미래를 피해가기 어렵다는 것이다. 러시아와 경제적 관계가 다른 중앙아시아 국가들과 비교해 높았던 카자흐스탄은 중국의 최대 차입국 중 하나이다. 즉 카자흐스탄은 일대일에 대한 과도한 의존으로 인해 파산해 버린 아시아와 아프리카 일부 국가의 전철을 밟을 위험이 있다는 뜻이다.
또 다른 문제는 중국과 카자흐스탄의 무역 불균형이다. 카자흐스탄은 중국으로 주로 광물, 철강, 화학 관련 상품을 수출하며, 중국은 카자흐스탄으로 기계, 장비, 도자기, 유리, 소비재 등을 수출한다. 다른 말로 하면 중국은 카자흐스탄으로부터 자원을 구매한 후, 이를 가공해서 카자흐스탄에 부가가치를 붙여 판매하는 구조이다. 이런 상황이 이어진다면 카자흐스탄에서 제조업 성장은 어려워지며, 앞으로도 중국에 더욱 의존할 수밖에 없게 된다.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 및 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이전글 | [이슈트렌드] 북한-러시아, 외교 및 안보 협력에 박차 | 2023-09-29 |
---|---|---|
다음글 | [이슈인포그래픽] 나고르노-카라바흐, 라친 회랑 봉쇄 9개월째...아그담 통로 경유 구호품 진입 | 2023-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