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문가오피니언

[전문가오피니언] 남아시아의 아프가니스탄: 경제‧무역‧투자 관련 이슈 및 전망

아프가니스탄 Bama Dev Sigdel Centre for Policy Studies and Rural Development Senior Researcher 2023/10/13

You may download English ver. of the original article(unedited) on top.

서론
아프가니스탄은 남아시아 지역에서 가장 빈곤한 국가 중 하나로, 유서 깊은 실크로드에 위치해 있어 중앙아시아·중동·남아시아 간의 중요한 연결 통로 역할을 한다. 2020년 기준 아프가니스탄의 인구는 3,140만 명이며, 1인당 국민총소득(GNI, Gross National Income)은 611달러(한화 약 81만 9,200원), 연간 인플레이션율은 5.2%로 기록되었다1). 아프가니스탄 인구 중 약 49.4%는 절대 빈곤선 아래의 소득으로 생활하고 있고, 노동가능인구 중에서는 불완전 고용률이 25.6%에 달한다. 아프가니스탄은 다문화 국가의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중국 문명의 영향을 받았다. 지리적인 위치 탓에 외세의 침략과 개입을 자주 겪었으며, 주요 국가들 간의 세력 다툼의 중심에 있었다2).

농업은 전통적으로 아프가니스탄 경제 발전의 원동력이다. 아프가니스탄은 탈레반 통치와 수십 년간의 분쟁 이전에 자국민을 위한 식량을 충분히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아몬드, 석류, 피스타치오, 건포도, 살구 등 농산물을 수출하는 농업 수출국이었다3). 그러나 아프가니스탄은 장기간에 걸친 분쟁과 정치적 혼란을 겪은 결과, 국가 빈곤율이 50%를 넘어 세계 최빈국으로 분류되며, 국민들은 심각한 영양 결핍을 겪고 있다4). 대다수 아프가니스탄 인구는 여전히 농업에 종사하고 있으나, 많은 사람들이 전쟁으로 폐허가 된 농촌을 떠나면서 도시화가 가속화되었다. 또한 난민 캠프에서 나고 자란 많은 아프가니스탄인들에게는 생존에 필요한 농업 시설과 기술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다5).

전쟁으로 피폐해진 경제 현황 및 문제점
아프가니스탄 사례는 평화의 부재가 경제 발전에 미치는 치명적인 영향을 여실히 보여준다. 2023년 세계평화지수 (GPI, Global Peace Index) 보고서에 따르면, 아프가니스탄에서 폭력으로 인한 비용 부담은 국내총생산(GDP, Gross domestic product)의 47%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6). 아프가니스탄 인구의 기대수명 순위는 세계 최저수준인 53.25세이며 세계 최빈국 중 하나로 다양한 문제에 직면해 있다7)

아프가니스탄은 지난 20년간 대규모 국제적 지원을 받으며 경제 성장을 이루었고, 핵심 정보 서비스의 효율성을 향상시켰다. 또한 주요 개발 지표를 빠르게 개선하였다8). 아프가니스탄의 경제 성장은 지배구조와 제도의 취약성 속에서 주로 원조에 의존한 서비스 경제에 중점을 둔 채 진행되었다. 아프가니스탄 경제는 둔화된 성장과 함께 여러 문제를 겪었다. 이런 느린 경제 성장의 주된 원인은 심각한 가뭄과 증가하는 불안정성에 있다9). 극심한 가뭄으로 노동력과 농업 생산성이 모두 감소하였고, 이로 인한 불안정성이 증대되면서 투자가 줄어들었다. 더욱이 이러한 불안정성은 국내 강제이주와 난민들의 귀환 문제를 야기하여 경제 전반에 큰 위협을 끼치고 있다10). 특히 탈레반이 아프가니스탄을 다시 장악하면서 이미 고통받던 아프가니스탄 국민과 취약한 국가 경제에 큰 타격을 주었다. 아프가니스탄 경제는 불안정성, 코로나 19, 부패, 정부의 과도한 중앙집권화와 관리 부실, 감소된 세수, 가뭄 등 여러 요인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어왔다. 탈레반의 정권 장악과 그에 따른 국제 사회의 지원 중단은 더욱 다양하고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11)

아프가니스탄의 2018년 GDP는 약 193억 6,000만 달러(한화 약 25조 9,920억 원)로, 이 때의 GDP 성장률은 1.0%에 불과했다. 2018년 농업 부문이 GDP에 기여한 비율은 19.88%로, 이는 무역 및 서비스 부문의 GDP 기여도가 지난 수년 동안 지속적으로 증가했음을 시사한다(부록 <표 1> 참조). 2018년 아프가니스탄의 인플레이션율은 3%로 한 자릿수를 기록했다. 2022년에는 GDP가 201억 달러(한화 약 26조 9,800억 원)에 이르렀고, 인플레이션율은 13.8%로 상승했다. 총 인구는 3,140만 명을 기록했다12). 이 기간 아프가니스탄 전체 인구 중 빈곤에 시달리는 인구의 비율은 49.4%에 달했는데, 극심한 가뭄이 인플레이션에 악영향을 미쳤다. 

2021년 8월 탈레반이 아프가니스탄을 장악한 것은 경제‧정치‧안보 측면에서 비참한 결과를 초래했다. 아프가니스탄은 생활 수준이 세계 최저 수준이면서 동시에 경제, 보건 및 인도주의적 위기를 겪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식량 불안이 심각한 편이다13). 아프가니스탄의 실질 GDP는 탈레반 탈환 직후 20% 감소했다. 유엔과 국제사회가 대규모 원조를 제공했지만 아프가니스탄 경제는 위축되어 2022년 GDP는 3.6% 감소했다14). 아프가니스탄에서는 빈곤과 식량 불안이 도처에 만연해 있으며 특히 농촌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2018년, 2019년 가뭄으로 40만 명이 넘는 이재민이 발생하면서 기후 변화가 초래하는 위협도 커젔다15).

아프가니스탄의 국제 무역 및 국내 투자
무역은 아프가니스탄 성장에 촉매제 역할을 할 수 있다. 무역은 대체로 자원의 효율적인 배분을 촉진하며, 국가는 무역을 통해 경제의 확장과 다양화를 추구할 수 있다. 또한 무역은 지식의 확산을 증진하고 기술 발전을 가속화하며 국내 및 국제 시장에서 경쟁을 장려하여 생산 공정을 최적화하고 신제품 개발을 촉진한다16). 아프가니스탄의 경우, 내륙 국가로서 주로 파키스탄에 대외 중계 무역을 의존해 왔다17)

아프가니스탄의 수출은 2011년 3억 4,100만 달러(한화 4,578억 원), 2020년 12억 4,000만 달러(한화 약 1조 6,647억 원)를 기록했다. 한편 수입은 2011년 61억 3,000만 달러(한화 약 8조 2,300억 원)에서 2020년 53억 1,000만 달러(한화 약 7조 1,300억 원)로 감소했다. 아프가니스탄의 수출 규모는 수년 동안 약세를 유지했으며, 무역 적자는 2020년 41억 달러(한화 약 5조 5,000억 원)로 기록되었다(부록 <표2> 참조). 2021년 아프가니스탄의 수출과 수입 규모는 각각 10억 4,000만 달러(한화 약 1조 3,962억 달러),  56억 달러(한화 약 7조 5,100억 원)로 무역 적자는 50억 달러(한화 약 6조 7,128억 원)를 기록했다18). 아프가니스탄의 주요 수출 상대국은 인도, 파키스탄, 중국, 이란, 베트남, 독일 등이며, 주요 수입 상대국은 이란, 파키스탄, 인도, 일본이다. 기타 무역 상대국으로는 말레이시아, 영연방국가, 미국, 아랍에미리트, 튀르키예 등이 있다(부록 <표3> 참조). 아프가니스탄의 주요 수출 품목은 농산물, 약용식물, 광산‧광물, 보석‧준보석, 카펫, 수공예품 등이며, 식품부터 의류, 석유, 의약품, 자본재 및 건설 품목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품목을 해외에서 수입한다19)

외국인직접투자(FDI, Foreign Direct Investment)는 경제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FDI는 가난한 국가에서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으며 저축과 투자 간의 격차를 개선한다20). 또한 FDI는 자본 형성을 통해 서비스를 개발하며, 신기술과 자금을 유치하고 기술 진보를 촉진한다21). 아프가니스탄은 천연자원이 풍부하지만 기술 시설, 투자 자본의 부족과 열악한 교통망 때문에 알려진 광물 자원의 대부분을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투자에는 막대한 자금이 필요하지만, 아프가니스탄은 자본금이 부족하여 국내로 유입되는 FDI의 중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22). 2008년에는 아프가니스탄의 FDI가 2억 8,800만 달러(한화 약 3,866억 원)를 기록했으며23), 같은 해의 FDI유입액은 1,200만 달러(한화 약 160억 원)였다. 그러나 2019년에는 200만 달러(한화 약 26억 8,000만 원)로 크게 감소했고, 2021년에는 다시 2,100만 달러(한화 약 282억 원)로 증가했다(부록 <표4> 참조).

경제‧무역‧투자 관련 이슈와 나아갈 방향
아프가니스탄은 매장 광물, 물, 경작 가능한 토지 등 풍부한 자원을 갖추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세계 최빈국 중 하나로 남아있다. 국가의 발전을 저해한 주요 원인 중 하나는 장기화된 전쟁이다. 또한, 구식의 농업 생산 기술을 활용하여 농작물을 재배하기 때문에 농산물의 생산량이 크게 증가하지 않았다. 아프가니스탄은 장기간의 전쟁의 영향으로 관광, 투자 및 기타 경제 부문에서 창출될 수 있던 수익 기회를 상실한 상황이다. 또한 아프가니스탄에서는 만연한 빈곤, 흉작, 산업 부문의 더딘 성장, 열악한 광산 개발 실태가 내부 수익의 창출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경제적 어려움 외에도 법치주의의 취약성이 발전을 저해하는 큰 요인 중 하나다. 특히 탈레반 집권 이후 사업 환경의 자유도가 크게 저하되었고, 기업가들의 안전이 보장되지 않고 있다24)

아프가니스탄의 국제 무역은 저조한 편이며, 무역 적자 규모는 꾸준히 확대되고 있다. 수십 년 동안의 지속된 분쟁으로 인해 무역과 운송의 기반 시설이 크게 피해를 입어, 아프가니스탄의 무역 비용을 높이는 원인이 되고 있다. 아시아개발은행(ADB, Asian Development Bank)에 따르면 아프가니스탄의 무역 비용은 국가의 전략적 위치에도 불구하고 중앙아시아 지역의 다른 국가들보다 약 50% 더 높다고 한다25). 아프가니스탄은 농업 생태학적 조건, 부분적으로 발전된 제조업, 그리고 풍부한 천연자원 및 수자원을 갖추고 있지만, 이러한 잠재력을 세계 시장에서 아직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26).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아프가니스탄의 FDI 유입액은 연평균 15.6% 감소했으며, 이는 연평균 3.8% 증가한 아시아 태평양 지역과 큰 차이를 보이는 수치이다27). 이렇게 저조한 FDI 현황은 국내 정세 불안정의 장기화에 기인한다. 투자자들에 따르면 아프가니스탄의 기반 시설 부족,  숙련된 노동력의 결핍, 그리고 지속적인 불안정성 등이 투자를 망설이게 되는 결정적인 요인이다. 비록 금융 부문에서의 법적 개혁으로 외국 민간 은행의 진입이 가능해 졌으나, 신용 및 기타 공식 금융 서비스 부문은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고 있다28). 더불어 아프가니스탄의 FDI 유입량이 적은 주요 원인으로 자본의 부족과 최신 기술의 결핍을 지적하는 연구 결과도 존재한다29).

아프가니스탄은 지속 가능한 경제 성장을 위해 농촌 지역의 풍부한 노동력을 활용하여 관개시설 건설과 같은 농업 인프라에 대한 투자를 확대해야 한다. 지역 및 지방 정부기관과 소액 금융기관은 수확 시기에 아프가니스탄 농부들에게 양질의 종자, 비료 및 농업자금을 제공함으로써, 수확량을 늘려 아프가니스탄 국민의 생계를 지원할 수 있다. 아프가니스탄 농촌 지역에서는 포도, 살구, 호두, 석류 등 다양한 과일을 생산하고 있다. 농부들이 이 과일들을 생산하도록 독려한다면 농촌 지역에서의 소득과 고용 기회가 확대될 것이다. 또한 아프가니스탄 정부는 농산물의 수출을 활성화하여 추가 외화를 확보해야 한다. 특히, 농촌 지역에서 활동하는 여성들은 소규모 기업을 운영하여 자신의 사회 경제적 지위를 개선할 수 있다. 이를 지원하기 위해 아프가니스탄 정부는 여성 대상의 농업 교육과 자금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 더불어 아프가니스탄은 무역을 다각화하고 무역 정책을 개선하여 무역적자를 점차 줄여 나가야 한다. 관광 부문을 활성화하여 더 많은 관광객을 유치함으로써 외화 수입을 늘리고 새로운 고용 기회를 만들 수 있다.


* 각주
1) ADB. (2020). Basic 2022 Statistics. Manila: Asian Development Bank.
2) Khan, R. M. (2015). China's Economic and Strategic Interest in Afaghanistan. Fyu Journal of Social Sciences.
3) Rahimi, M. S., & and Artukoglu, M. M. (2019). An Assessment of Foreign Trade Structure of Afganistan Agricultural Products. Turkish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267-274.
4) ADB. (2021). Climate Risk Country Profile: Afganistan. Manila: Asian Development Bank.
5) Sial, M. O. (2021). Challanges and prospects of Afganistan's Economy, .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tific and Research Publications, 359-365.
6) IEP. (2023). Global Peace Index . Sydney: Institute for Economics & Peace.
7) Teston, R. J., & al, e. (2021). Economic Risks Facing Afganistan: Failed States and Bureaucratic Resistance . WIT Press.
8) The World Bank. (2022). Afghanistan Development Update. Washington DC: The World Bank.
9) The World Bank. (2020). Priorities for Inclusive Development in Afghanistan. Washington DC: The World Bank.
10) Sahebe, A. (. (2020). Impact of Tax Law and System in Afganistan Economy. American International Journal of Business Management, 52-61.
11) Rahimi, M. (2022, December 05). Poverty and Unemployment Crisis: The Case of Afghanistan from Recent Evidence, Italy. Retrieved from Economy: www.respectferences.com
12) ADB. (2023). Basic 2023 Statistics . Manila: Asian Development Bank.
13) HF. (2023). Index of Economic Freedom: Afghanistan. The Heritage Foundation.
14) UNDP. (2023). Afghanistan Socio-economic Outlook .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15) The World Bank. (2021). Climate Risk Country Profile: Afghanistan . Washington, DC: The World Bank.
16) The World Bank. (2023). Trade As a Vehicle for Growth in Afghanistan: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 Washington, DC: The World Bank.
17) Rahim, S. A. (2018). Afghanistan's Dependence on Pakistan: Trade, Transit and the Cost of Being Landlocked. Kardan Journal of Economics and Management Sciences, 1-21.
18) LB. (2023).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Afganistan. Lloyds Bank .
19) Ashrafi, S. A., & and Kalaiah, V. (2020). International Trade and Economic Growth in Afghanistan. Journal of Xi'an University of 20) Architecture and Technology, 1799-1808.
20) Khakan, N., & and Rabia, N. (2016). Significance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the Economic Development of Pakistan and Afghanistan. Journal of Accounting and Marketing, 1-4.
21) Rahman, T. N. (2017). Impact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on Economy of Afghanistan. Munich: Munich Personal RePEC.
22) Shafaq, A. Q., & and Eryigit, M. (2020). Factors Affecting Foreign Direct Investment: The Afghanistan Case. Estudiosde Economica Aplicada.
23) Basij, H. a. (2019). The Role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To Strengthen Economy in Afghanistan. International Journal of Creative Thoughts, 320-327.
24) THF. (2023, September 03). The Heritage Foundation. Retrieved from Economic Freedom: Afghanistan: heritage.org/index
25) Sawtee. (2018). Trade and Transport Facilitation Audit: Afghanistan Country Report, South Asia Watch on Trade, Economics and Environment. Kathmandu: Sawtee.
26) The World Bank. (2020). Priorities for Inclusive Development in Afghanistan. Washington DC: The World Bank.
27) ESCAP. (2023). Asia-Pacific Trade and Investment Trends- 2022/2023 (Country Report: Afghanistan Trade Brief), . ESCAP.
28) The World Bank. (2005). Afghanistan- State Building, Sustainable Growth, and Poverty Reduction . Washington DC: The World Bank.
29) Basij, H. a. (2019). The Role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To Strengthen Economy in Afghanistan, . The Journal of Creative Research Thoughts, 320-327.





부록

<표 1> 아프가니스탄 GDP, 성장률 및 인플레이션


자료: Rahimi M. S., 2019

<표 2> 아프가니스탄의 국제 무역 시나리오 (십억 달러)


자료: TDAP, 2021

<표 3> 아프가니스탄의 대외 무역 현황 2021 (단위: 백만 달러)


자료: Hashimy & and Magoge, 2022

<표 4> 아프가니스탄의 FDI 흐름 (단위: 백만 달러)


자료:  (i)  (LB, 2023) (ii) (Macro Trends, 2023)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