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월간특집이슈

[월간정세변화] 사하라 이남 경기 전체 끌어내린 아프리카 경제대국의 부진한 경제 성적

아프리카ㆍ 중동 일반 EMERICs - - 2023/10/27

12


아프리카 경제 강국의 부진으로 

사하라 이남 경제 둔화 전망


세계은행, 아프리카 경제성장률 부정적 전망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지역의 경제에 대해 부정적인 전망이 제기된다. 특히 남아공, 나이지리아와 같은 주요 경제국의 전망이 어둡다. 남아공은 만성적인 에너지 문제와 운송 병목 현상으로 경제성장률이 단 0.5%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 원유 의존도가 높은 나이지리아와 앙골라는 유가 하락과 자국 화폐 가치 하락이 겹쳐 각각 2.9%, 1.3%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세계은행(World Bank)은 또한 군부 간 사실상 내전에 처한 수단은 생산 활동 중단, 인적 자본 파괴, 국가 능력 붕괴로 GDP가 무려 12%나 축소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 외에도 서아프리카 지역의 쿠데타, 에티오피아와 콩고민주공화국에서 벌어지는 분쟁 또한 경제에 위험 요인으로 작용한다. 느린 경제 성장 속도뿐만 아니라 재무 상황도 문제다. 2023년 6월 기준 부채 위기에 처한 아프리카 국가가 21개국에 달하며, 2022년 아프리카 국가들은 재정 수입의 평균 31%를 부채 상환에 썼다.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경제성장률, 직전년도 3.6%에서 2023년도 2.5%로 둔화 예상

10월 4일 세계은행은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주요 경제국의 부진한 성장과 치안 불안정, 분쟁,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이 경제 성장 둔화의 원인이 될 것이라고 전망하며, 2022년에는 3.6%였던 경제성장률을 2023년에는 2.5%로 하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세계은행은 올해 아프리카 48개 국가 중 28개 국가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하향한 바 있다. 한편 2014년과 2015년 원자재 가격이 폭락하며 원자재 수출 의존도가 높은 많은 아프리카 국가 경제가 타격을 입었고, 경제성장률이 인구 증가 속도를 따라가지 못했다. 이에 2015~2025년 기준 1인당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0.1%에 그쳐 답보 상태에 머물렀다. 


세계은행은 경제 성장 둔화가 경제적으로 가장 취약한 사람들에게 큰 영향을 미친다고 지적하며 경제 성장 둔화로 빈곤 퇴치, 일자리 창출이 어려워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세계은행에 따르면 매년 청년 1,200만 명이 구직 시장에 진입하지만 새롭게 창출되는 일자리는 300만 개에 불과해 아프리카의 풍부한 인적 자원이 경제 성장으로 이어지지 못하는 상황이다. 현재의 경제성장률로는 일자리, 특히 고소득 일자리를 충분히 만들어내기 어려우며, 교육 수준에 적합한 일자리를 구하지 못한 청년들은 비공식 부문의 불안정하고 낮은 소득의 일자리로 내몰리고 있다. 2030~2050년 세계 인구 성장의 90%를 아프리카가 차지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일자리 창출은 아프리카 국가의 중대한 과제로 부상했다.


경기 부진 해결 위해 대책 내놓는

아프리카 경제대국 나이지리아


아프리카 1위 경제대국 나이지리아, 경기 부흥을 위한 대책 마련 위해 노력 

아프리카 1위 경제대국 나이지리아는 복합적인 위기에 직면해 있다. 인구 2억 명 중 40%가 심각한 빈곤에 처해 있으며, 정기적으로 급여를 받는 정규직 노동자는 전체 노동자의 약 12%에 불과하다. 인플레이션은 2023년 7월 18년 만에 최고치인 24.08%를 기록한 뒤 8월에는 25.8%를 기록해 매달 최고 기록을 갈아치우며 고공행진 중이다. 여름에는 인플레이션율이 상승하는 편이지만, 이번에는 예상을 뛰어넘었다는 반응이다. 2.9%에 그칠 2023년도 나이지리아의 경제성장률은 인구 증가 속도도 따라가지 못하는 수준으로 빈곤을 퇴치하기에는 부족할 것으로 평가된다. 해결될 기미가 보이지 않은 경제난으로 인해 지난 9월에는 나이지리아 최대 노조 2개가 전국적인 총파업을 경고했을 정도다.


정부 재정도 문제다. 2023년 나이지리아의 부채는 1,083억 달러(한화 약 145조 4,685억 원)에 달하며, GDP 대비 공공 부채 비율은 2012년 12.7%에서 2023년 38.2%까지 늘어났다. 특히 대외 부채가 빠르게 증가해 2012년 전체 부채 중 12%였던 대외 부채는 2022년에는 40%를 차지한다. 막대한 부채로 인해 2022년 기준 정부 재정 수입의 96%를 부채 상환에 지출하는 실정으로, 이는 교육과 인프라, 보건 등 장기적 경제 성장에 필요한 투자와 개발 자금 조달을 어렵게 한다. 2023년 예산안에 따르면 부채 상환에 배정된 예산은 전체 예산의 29%에 달하지만 교육 부문에는 단 8%, 보건에는 5%, 인프라 개발에는 단 6%만의 예산이 배정되었다. 부채가 늘어나는 가운데 외환보유고는 2023년 3/4분기 기준 332억 3,000만 달러(한화 약 44조 6,279억 원)로 2021년 7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나이지리아 경제에 대한 우려는 해외 투자자들의 투자를 가로막아 외화 수급을 더욱 어렵게 하는 요인이다. 2023년도 2/4분기 외국인직접투자(FDI)를 포함한 나이지리아에 대한 자본 유입은 직전 분기 대비 9%, 전년 동기 대비 32.9%나 하락했다. 설령 투자를 하더라도, 외화가 부족한 나이지리아 정부가 외화 유출을 제한하면서 나이지리아 국내에서 얻은 수입을 달러화로 환전해 해외로 송금하는 것에도 제약이 있다. 2023년 기준 해외 기업이 환전하지 못해 나이지리아에 묶인 돈은 70억 달러(한화 약 9조 3,737억 원)에 이른다.


나이지리아 정부는 경제난 해결을 위해 다양한 대책을 내놓았다. 볼라 티누부(Bola Tinubu) 대통령은 경제 구조 개혁을 통해 근본적인 경제 문제를 해결해 장기적 성장 동력을 확보하겠다고 여러 차례 강조했으며, 이에 나이지리아 내각은 10월 16일 개혁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세계은행으로부터 15억 달러(한화 약 2조 377억 원)를 무이자로 빌리는 방안을 승인했다.


티누부 대통령의 개혁 중 대표적인 것은 바로 2022년 기준 100억 달러(한화 약 13조 5,760억 원)에 달하는 연료 보조금 폐지다. 10월 1일 티누부 대통령은 보조금 폐지로 국민들이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는 점을 인정하면서도 장기적인 성장과 더 나은 미래를 위해서는 필수불가결한 조치라고 강조하고 보조금 폐지로 확보한 예산을 보건과 교육 부문, 일자리 창출에 투자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나이지리아 정부는 제조업 기업 75개와 110만 개에 달하는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을 지원해 고용을 창출할 예정이다. 보조금 폐지를 보완할 다른 지원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710만 명이 빈곤에 놓이고 2022년 약 9,000만 명이었던 빈곤층이 2023년에는 1억 명을 돌파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자, 정부는 모든 노동자의 월급을 3만 5,000나이라(한화 약 6만 1,451원) 인상하고 취약가구 1,500만 가구에 3개월간 월 2만 5,000나이라(한화 약 4만 3,893원)를 지급하기로 했다. 


나이지리아 정부는 경제 개혁을 통해 장기적 성장을 이룬다는 방침으로, 10월 5일 아티쿠 바가두(Atiku Bagudu) 나이지리아 예산경제기획부 장관은 2030년까지 빈곤율을 0.6%, 실업률은 6.3%까지 낮출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2030년까지 1인당 GDP를 6,000달러(한화 약 814만원) 달성한 뒤에 2050년에는 3만 3,000달러(4,477만원)까지 높인다는 목표도 제시됐다. 10월 16일에는 티누부 대통령이 연 7% 경제성장률을 달성해 현재 4,500억 달러(한화 약 610조 1,100억 원)인 GDP를 8년 내로 1조 달러(한화 약 1,355조 8,000억 원)까지 올릴 것이라는 목표를 제시했다.


그러나 경제구조 개혁이 현재까지는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으며, 장기적인 경제 정책 방향성도 보이지 않는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나이라화는 아프리카에서 달러화 대비 가치가 가장 크게 폭락했으며, 정부는 나이라화 가치를 달러당 500나이라(한화 약 876원)로 지키기 위해 막대한 자금을 투입했다. 결국 티누부 대통령은 인위적으로 나이라화 가치를 끌어올리는 환율 정책을 펼치던 고드윈 에메필레(Godwin Emefiele) 중앙은행 총재를 해임하고 나이라화 가치를 1달러에 800나이라(한화 약 1,403원)로 절하했으나, 시장 환율은 달러에 1,000나이라(한화 약 1,753원)까지 오르면서 다시 공식 환율과 암시장 환율의 격차가 커지는 상황이다. 한편 연료 보조금 폐지와 나이라화 가치 조정 외에 구체적인 개혁 방안과 향후 경제 정책 방향이 제시되지 않았다는 것도 비판점이다.


나이지리아, 남아공과 경제적 협력 관계 강화할 계획

나이지리아는 경제 발전을 위해 아프리카 제2의 경제대국인 남아프리카공화국과도 협력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지난 9월 UN 총회를 앞두고 티누부 대통령은 시릴 라마포사(Cyril Ramaphosa) 남아공 대통령과 회담을 가지고 광산업 및 통신 분야에서 협력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티누부 대통령은 남아공과의 협력이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또 다른 아프리카 경제대국 남아공
일자리 창출 급선무

남아공 실업률, 세계 최고 수준
남아공은 낮은 경제성장률로 노동시장에 진입하는 인력에게 충분한 일자리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를 안고 있다. 2023년 1/4분기 0.4%를 기록한 남아공 경제성장률은 2/4분기에는 직전 분기 대비 0.6%를 기록하는 데 그쳤다. 2023년도 2/4분기 경제성장률은 경제학자들이 전망한 0.1%보다는 높은 수치였으나 여전히 턱없이 낮다는 평가다. 2/4분기 전년 대비 성장률도 1.6%에 그쳤다. 2022년 2%를 기록했던 남아공의 경제성장률은 2023년에는 1%도 미치지 못할 것으로 전망된다. 에녹 곤동과나(Enoch Godongwana) 남아공 재무부 장관은 만성적인 전력난과 물류난을 경제 문제의 원인으로 지적했다. 

경제 성장 둔화는 곧 실업률로 이어졌다. 남아공의 공식 실업률은 33%에 달하지만, 전문가들은 실제 실업률은 이보다 높은 42%에 달할 것으로 분석한다. 세계은행에 따르면 남아공은 세계에서 실업률이 가장 높은 국가로, 팔레스타인의 가자지구와 서안지구, 지부티와 코소보보다 높다. 15~24세 청년실업률은 공식 통계로도 무려 61%에 달하며, 구직 포기자까지 합치면 청년실업률은 71%에 이른다. 매년 구직시장에 70만 명이 진입하지만, 이들을 고용하기에 충분한 일자리를 창출하려면 연 경제성장률이 6%를 기록해야 한다.

경제 활동 둔화와 노동 인구 감소는 재정 수입 감소로 이어져 재정 악화를 야기했다. 남아공 아브사 은행(Absa Bank)은 경기 둔화로 기업 활동이 위축되어 법인세 수입이 감소하고, 일자리를 얻지 못한 사람들이 지출을 줄이며 부가가치세 수입도 감소했다고 분석했다. 그 결과 2023년도 4~7월 남아공의 세입은 전년 동기보다 3.2% 감소한 반면 지출은 9% 늘어났다. 특히 목표치보다 높은 7.5% 인상률을 기록하고 예산안보다 370억 랜드 늘어난 공공부문 임금 지출 증가가 전체 지출 증가를 견인했다. 이에 2023년도 7월 남아공의 예산 적자는 1,438억 랜드(한화 약 10조 2,586억 원)로 2004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재정 적자 누적으로 남아공의 GDP 대비 부채 비율은 72%로 정부 목표치인 70%를 넘은 상황이며, 2022년 4조 7,000억 랜드(한화 약 335조 2,980억 원)였던 부채 규모는 2025년에는 6조 랜드(한화 약 428조 400억 원)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결국 남아공 재무부는 정부 부처에 신규 고용과 신규 프로젝트를 위한 계약 발주를 일시적으로 중단하고 전면 재검토하며 출장을 최소화하는 등 지출을 줄일 것을 촉구했다. 

남아공 대통령, 빈곤 퇴치에 46억 달러 투입 제안
재정 악화에도 라마포사 남아공 대통령은 빈곤 퇴치와 사회 안전망 강화를 위한 투자는 계속되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9월 12일 라마포사 대통령은 내각 회의에서 실업과 빈곤 문제 해결이 시급한 과제라고 지적하고, 이어 라마포사 대통령의 사회정책 담당 특별 자문관인 올리브 쉬사나(Olive Shisana)가 9월 15일  885억 랜드(46억 달러, 한화 약 6조 3,118억) 규모의 빈곤 퇴치 지원 계획을 발표했다. 이 계획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빈곤 가정의 소득 지원은 최대 500억 랜드(한화 약 3조 5,665억 원)에 달하며, 이 외에도 공공부문 고용 확대에 180억 랜드(한화 약 1조 2,839억 원), 소상공인 지원과 여성 및 청년 직업 훈련에 152억 랜드(한화 약 1조 842억 원)가 배정되었다.

정부가 발표한 막대한 지원 계획은 곤동과나 장관이 강조한 지출 감축과는 상충되는 것이다. 곤동과나 장관은 연 405억 랜드(한화 약 2조 8,888억 원)에 달하는 실업 급여를 감당하기 위해서는 부가가치세율을 인상하거나 정부가 추진하는 발전 계획 중 일부를 포기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언급했다. 곤동과나 장관은 세율 인상과 개발 프로젝트 중단이 실업자를 증가시킨다고 지적하며 대신에 실업 급여액을 삭감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반면에 쉬사나 특별 자문관은 예산 적자에도 정부 지원은 계속되어야 한다는 입장이며, 2030년까지 빈곤을 퇴치한다는 목표에는 변함이 없다고 강조하며 정부 부처 내에 재정 문제를 두고 이견이 있음을 드러냈다.

앙골라와 케냐, 물가 상승으로 저소득층 타격

앙골라, 석유 및 비석유 부문 모두 저조한 성과 예상… 격렬한 저항에 휘발유 보조금 폐지 기한 연장 검토
앙골라는 원유와 정제 산업이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6%로 원유 의존도가 높으며, 따라서 국제 유가 변동에 큰 영향을 받는다. 2023년 들어 유가가 하락하면서 2023년도 1/4분기 앙골라의 전년 대비 경제성장률은 0.3%를 기록하는데 그쳤으며, 직전 분기 대비로는 1.1%의 역(-)성장을 기록했다. 석유 부문이 8% 역성장을 기록한 것이 역성장의 원인으로 지적된다. 석유 부문 수입 감소에 따라 경상수지 흑자 규모도 GDP의 0.4%에 불과했고, 이에 따른 외화 수급 상황 악화는 달러화 대비 앙골라 콴자화 가치가 40% 폭락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2023년도 2/4분기에는 석유 부문이 다소 회복세를 보이면서 직전 분기 대비 성장률이 0.2%을 기록해 증가세로 돌아섰으나, 여전히 석유 부문뿐만 아니라 비석유 부문도 정부 투자 감소와 콴자화 가치 하락으로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되면서 2023년도 앙골라의 경제성장률은 1.3%에 그칠 것으로 전망된다.

앙골라의 대외 부채는 약 500억 달러(한화 약 67조 7,000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특히 재정에 부담을 가하는 것은 재정 수입의 20%에 달하는 휘발유 보조금으로, 국제통화기금(IMF)은 휘발유 보조금 폐지와 같은 엄격한 긴축 재정 정책을 펼치지 않으면 유가가 하락할 경우 앙골라 경제가 큰 충격을 받을 수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이에 앙골라 정부는 재정 건전성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2022년 기준 23억 달러(한화 약 3조 1,142억 원)에 달하는 휘발유 보조금을 2025년까지 완전 철폐한다는 계획에 따라 지난 6월 보조금을 일부 삭감했다. 그 결과 휘발유 가격이 2배 가량 오르자 대규모 시위가 발생하고 시위 진압 과정에서 5명이 사망하는 등 거센 반발이 일어났다. 10월 8일에도 물가 상승과 경제난에 항의하는 대규모 시위가 일어나 100명 이상이 구금되는 등 사회적 혼란이 가중되자 결국 10월 9일 앙골라 정부는 보조금 철폐 속도를 늦출 가능성을 시사했다. 

케냐 생활비 상승으로 저소득층 타격
케냐는 임금상승률이 인플레이션을 따라가지 못하며 국민들의 생활고가 심화되고 있다. 2022년 이후 장기화되는 가뭄으로 국내 식량 생산량이 감소했으며,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국제 식량 공급망 교란은 밀, 식용유, 비료 등을 주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에서 수입하는 케냐에게도 직접적 영향을 미쳤다. 가공 식품을 전적으로 수입에 의존하는 높은 식량 수입 의존도 또한 국제 식량 가격 상승이 케냐 물가 상승을 촉발하는 요인이 되었다. 2023년에 들어 케냐 실링화가 달러화 대비 가치가 약 20% 하락한 것도 물가 상승에 영향을 미쳤다. 

다양한 물가 상승 압력이 결합된 결과 2022년 10월 케냐의 인플레이션은 9.6%로 2017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물가 상승은 2022년 기준 실질임금이 2020년보다 오히려 2.7% 감소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케냐 공공정책연구원(KIPPRA)이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케냐 노동자의 77%가 최저임금보다 적은 임금을 받는 실정으로 특히 소득의 60%를 식품 구입에 사용하는 저소득층이 식품 물가를 포함한 물가 상승으로 가장 큰 타격을 받는다. 

한편 부채 위기에 직면한 케냐 정부가 재정 수입을 늘리기 위해 세금을 인상하는 것도 물가 상승을 자극했다. 2023년 6월 기준 공공 부채는 2023년 6월 기준 약 10조 실링(한화 약 90조 219억 원)이 넘었다. 이에 윌리엄 루토(William Luto) 케냐 대통령은 재정 건전성 확보를 기조로 내걸고 지난 2022년 9월 취임한 뒤 식품과 연료 보조금을 삭감했으며, 지난 6월에는 각종 세금을 인상해 대대적 반대 시위를 촉발했다.

9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