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KIEP 동향세미나

[동향세미나] 중국의 짐바브웨 리튬 산업 투자 배경 및 전망

짐바브웨 박규태 KIEP 세계지역연구센터 아프리카중동팀 연구원 2023/11/13

☐ 2023년 11월 1일 중국은 짐바브웨 리튬 산업에 4억 1,100만 달러를 투자하겠다고 발표함.

 - 중국은 짐바브웨 리튬 채굴 및 가공 분야에 투자하고 원석 가공에 필요한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을 위해 기존 발전소를 유지·보수하며 재생에너지 발전소를 신설하겠다고 밝힘.

 - 중국은 총 141건의 짐바브웨 리튬 개발 프로젝트에 투자했으며 올해부터 리튬 가공을 시작함.1)2)

 ㅇ 2023년 7월 시노마인 리소스 그룹은 비키타(Bikita) 광산에 5억 달러 규모의 리튬 가공 공장을 완공하여 시운영을 시작했으며, 같은 기간 저장화유코발트도 아카디아(Arcadia) 광산에서 3억 달러 규모의 리튬 가공 공장 가동을 시작함.3)


☐ 중국 내 리튬 수요 증가, 짐바브웨의 리튬 자원 고부가가치화 협력 수요 확대, 전통적 우호 관계 등으로 인해 중국의 짐바브웨 리튬 산업 투자가 확대됨.

 - 중국 정부는 전기차용 배터리 산업 육성에 필요한 리튬 자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자 함.

 ㅇ 중국 정부는 2015년 발표한‘중국제조 2025’정책에서 전기차용 배터리 산업을 육성하겠다고 밝힘.4)5)

 ㅇ 중국 배터리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리튬 수요가 2033년까지 연평균 20%씩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중국 정부는 리튬 수요를 충당하고 안정적인 공급망을 구축하기 위해 리튬 생산국과 협력을 강화하고자 함.6)7)

 - 짐바브웨는 리튬 자원의 고부가가치화를 통해 수익성을 극대화하고 일자리를 창출하며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자 함.

 ㅇ 짐바브웨는 아프리카 최대 리튬 생산국이자 전 세계 7위 리튬 생산국이며8), 매장된 리튬을 다 채굴할 경우 세계 수요의 20%를 충족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음.9)

 ㅇ 짐바브웨 정부는 리튬 자원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해 2022년 12월 가공되지 않은 광물의 수출을 금지하는 기초 광물 수출규제법(Base Minerals Export Control Act)을 발표하였으며 이에 따라 리튬 역시 가공된 형태로만 수출할 수 있음. 

 ㅇ 음낭가과(Mnangagwa) 짐바브웨 대통령은 짐바브웨를 포함한 남부 아프리카 국가들이 궁극적으로 리튬 배터리를 제조할 수 있도록 기술 지원도 필요하다고 강조함.10)

 - 중국은 상호이익과 공동번영의 개방 전략에 따라 짐바브웨 리튬 자원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가공 분야에 투자를 확대함.

 ㅇ 중국은 지난 2년간 짐바브웨 리튬 가공 분야에 약 10억 달러를 투자함. 

 ㅇ 짐바브웨 최대 규모의 리튬 광산인 비키타 광산은 원석 탐사 및 채굴 중심으로 운영되었으나, 2022년 중국의 시노마인 리소스 그룹에 인수된 뒤 1년 만에 연간 5억 달러 규모의 리튬을 가공할 수 있는 공장으로 변모했으며 1,000개의 일자리가 창출됨.11)

 - 짐바브웨는 오랜 독재로 인해 서방 국가들로부터 경제제재를 받아왔음. 

 ㅇ 37년간 짐바브웨를 통치한 무가베 전 대통령의 집권 기간 동안 벌어진 부정선거, 인권유린, 재산권 침해 등으로 인해 유럽, 미국 등의 서방 국가들로부터 2001년부터 경제제재를 받아왔음.12)

 ㅇ 짐바브웨 치웬가(Chiwenga) 부통령은 유럽과 미국의 경제제재13)가 악랄하고 불법(heinous and illegal)이라고 비난하면서, 시작된 서방 국가들의 제재로 인해 1,500억 달러 이상 손실이 발생하였다고 주장함.14)

 - 반면, 짐바브웨는 중국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음.

 ㅇ 중국은 짐바브웨의 독립을 지원했으며 독립 이후에도 지역사회 인프라를 구축하고 서방 국가의 경제제재를 비난하는 등 역사적으로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해 왔음.15)


☐ 중국의 아프리카 리튬 산업 영향력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 

 - 리튬 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중국의 아프리카 리튬 산업에 대한 투자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임. 

 ㅇ 중국은 지난 2년간 아프리카 국가(나미비아, 짐바브웨, 말리, DR콩고, 에티오피아 등) 리튬 산업에 약 45억 달러를 투자함.

 ㅇ 중국은 적극적인 리튬 산업 투자로 인해 2025년에 세계 리튬 생산량 3분의 1을 장악할 것으로 예상됨.16)

 - 중국의 짐바브웨 리튬 산업 투자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됨.

 ㅇ 중국이 2023년 상반기 짐바브웨 리튬 산업에 작년 대비 107건이 많은 160건의 신규 투자신청서를 제출하면서 향후 더 많은 투자가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됨.

 - 한편, 서방 국가는 정치적 불안정, 인권침해, 환경 문제, 국제사회의 평판 악화 문제 등으로 인해 짐바브웨 리튬 산업에 투자한 사례가 거의 없으며 향후에도 투자가 저조할 것으로 보임.17)

 ㅇ 2023년 상반기 영국과 미국이 짐바브웨 리튬 산업에 제출한 투자신청서는 각각 5건, 10건에 불과함.18) 


*각주

1) 리튬 개발 프로젝트에 투자한 중국 기업은 시노마인 리소스 그룹(Sinomine Resource Group), 저장화유코발트(Zhejiang Huayou Cobalt Company Ltd), 청신 리튬(Chengxin Lithium), 프리미어 아프리카 광물(Premier African Minerals) 등임.

2) Coda(2023.8.1.), “As Zimbabwe elections near, China is the dragon in the room” 온라인 자료(검색일:2023.11.6.), Financial Times(2023.4.3.), “How China is winning the race for Africa’s lithium” 온라인 자료(검색일:2023.11.6.).

3) Foreign Policy(2023.8.16.), “Zimbabwe’s ‘White Gold’” 온라인 자료(검색일:2023.11.6.).

4) 중국은 혁신역량과 경쟁력을 갖추어 개발도상국형 제조업 형태에서 벗어나 세계를 선도하는 제조강국을 만들고자 ‘중국제조 2025’를 발표하고 ‘에너지 절약 및 신재생에너지 자동차’를 포함한 10개 제조업 분야를 선별하고 집중적으로 육성하고 있음.

5) KPMG(2023), “배터리 생태계 경쟁 역학 구도로 보는 미래 배터리 산업” 온라인 자료(검색일:2023.11.6.).

6) Financial Times(2023.10.4.), “China lithium: falling prices do not mean falling margins” 온라인 자료(검색일:2023.11.6.).

7) 중국은 안정적인 리튬 자원 공급망을 확보하기 위해 캐나다, 멕시코, 아르헨티나, 말리, 에티오피아, 콩고민주공화국, 짐바브웨, 인도네시아, 호주 등에 리튬 채굴 및 가공 관련 프로젝트에 투자하고 있음.

8) 2021년 기준 짐바브웨는 1,670톤의 리튬을 생산함. 

9) USDS(2023), “USMIN Mineral Deposit Database” 온라인 자료(검색일:2023.11.6.), Foreign Policy(2023.8.16.), “Zimbabwe’s ‘White Gold’” 온라인 자료(검색일:2023.11.6.).

10) 한국무역협회(2023.7.7.), “중국 아프리카 광물 눈독…짐바브웨 리튬 공장 가동” 온라인 자료(검색일:2023.11.6.).

11) Foreign Policy(2023.8.16.), “Zimbabwe’s ‘White Gold’” 온라인 자료(검색일:2023.11.6.).

12) 무가베 전 짐바브웨 대통령 집권 기간 동안 선거 폭력, 부정선거, 언론탄압, 부정부패, 폭력, 학살, 감금, 학대, 고문, 백인 소유의 토지 무상 몰수 등의 문제로 서방 국가로부터 비판받음. 

13) 짐바브웨는 서방 국가로부터 자산 동결, 무역 금지 조치, 수출 및 투자 제한, 개발금융·구제 금융·상업 대출 제한 등의 경제제재를 받음. 

14) VOA(2023.10.25.), “Zimbabwe Says It Lost in Excess of $150 Billion to Sanctions” 온라인 자료(검색일:2023.11.6.).

15) Taylor, Ian(2020), “An Overview of Zimbabwe–China Relations” 온라인 자료(검색일:2023.11.7.).

16) USIP(2023.6.7.), “Challenging China’s Grip on Critical Minerals Can Be a Boon for Africa’s Future” 온라인 자료(검색일:2023.11.7.). 

17) Foreign Policy(2023.8.16.), “Zimbabwe’s ‘White Gold’” 온라인 자료(검색일:2023.11.6.).

18) Coda(2023.8.1.), “As Zimbabwe elections near, China is the dragon in the room” 온라인 자료(검색일:2023.11.6.).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