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이슈&트렌드

[이슈트렌드]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과의 평화 협상 반대 시위 확산

아르메니아 EMERiCs - - 2024/05/10

☐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평화 협상에 아르메니아 국민 크게 반발 

◦ 아르메니아, 평화 협상 체결로 아제르바이잔에 영토 양보...반대 시위 확산        
- 2024년 4월 19일 아르메니아 정부는 아제르바이잔 접경 자국 북동부 타부쉬(Tavush) 주의 바하니스 아이룸(Bagahnis Ayrum), 아샤흐 아스키파라(Ashaghi Askipara), 헤이림리(Kheyrimli), 그리고 기질하질리(Gizhilhajili) 4개 마을을 아제르바이잔 측에 반환하는 조건으로 평화 협상을 체결한다고 공식 발표하였다. 아르메니아 외무부는 이날 공식 성명 통해 해당 4개 마을이 소련의 해체에 이은 독립국가연합(CIS)의 설립과 각 독립 공화국의 국경을 확정한 1991년 12월의 알마아타 조약(Alma-Ata Protocol)에서 아르메니아의 영토로 규정되지 않았다고 설명하였다. 본 4개 마을은 소련 시절 아제르바이잔에 속했으나, 제1차 나고르노-카라바흐(Nagorno-Karabakh) 전쟁(1988~1994) 중 아르메니아가 무력으로 점령, 자국에 귀속시킨 바 있다. 니콜 파시니안(Nikol Pashinyan) 아르메니아 국무총리는 이번 영토 반환 결정이 양국 간 협상 타결과 관계 정상화를 위한 중요한 단계라고 밝혔다. 
- 그러나, 아르메니아에서는 영토 반환을 발표한 이후 지역 사회와 종교계를 중심으로 아제르바이잔과 국경 구획을 둘러싼 평화 협상에 반대하는 반정부 시위가 이어지고 있다. 타부쉬 주에서는 2024년 4월 22일 시위대가 수도 예레반(Yerevan)으로 통하는 주요 도로를 봉쇄하고 경찰과 대치하였으며, 이웃한 북서부 쉬라크(Shirak) 주에서도 4월 26일 반정부 시위대가 예레반으로 향하는 고속도로를 봉쇄하였다. 이후 두 지역에서는 5월 초 지역 교구를 관할하는 아르메니아 기독교 대주교들이 반정부 시위대를 결집, 예레반으로 행진하겠다고 밝히며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또한 2024년 5월 7일 아르메니아 기독교 최고 영성 위원회(Supreme Spiritual Council)는 총대주교 명의의 성명을 통해 영토 반환 결정을 해당 지역 주민들을 위험에 빠뜨리는 ‘패배주의적(defeatist)’ 대외정책이라고 비난하였다.
- 파시니안 총리는 2024년 5월 7일 기자회견을 통해 시위대를 비판하며 평화 협상이 무산된다면 양국 간 전쟁이 재발할 것이라고 우려하였다. 파시니안 총리는 시위대가 ‘외부 세력’의 사주를 받아 무력 충돌 재개와 아르메니아 영토의 추가 상실,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아르메니아 내 정권 교체를 통한 ‘괴뢰 정부’의 설립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아르메니아 집권 여당인 ‘시민 계약당(Civil Contract Party)’ 또한 반정부 시위를 주도하는 대주교들이 외국, 특히 러시아의 간첩이라며 맹비난하였다. 그러나 일부 아르메니아 정치 전문가들과 시민들은 자국 정부가 아제르바이잔 측으로부터 안전보장 조치나 점령지 반환 등의 보상이 전혀 없는 상황에서 일방적으로 영토 반환을 결정, 오히려 아르메니아의 안보를 위기에 빠뜨렸다고 주장하였다. 

◦ 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 평화 협상 진전을 위해 국경 획정 합의 시도                
- 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은 2023년 9월 말 아제르바이잔의 나고르노-카라바흐(Nagorno-Karabakh) 무력 합병 이후 동년 10월부터 양국 간 국경 획정과 평화 협상을 개시하였다. 양국은 2023년 11월 30일 샤힌 무스타파예프(Shahin Mustafayev) 아제르바이잔 부총리와 므헤르 그리고리안(Mher Grigoryan) 아르메니아 부총리 주재로 열린 ‘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 국경 구획을 위한 국가위원회’ 제5차 회의에서 1,000km에 달하는 양국 국경의 획정 사안을 평화 협상의 한 부분으로 활성화하기로 합의하였다. 이후 2024년 1월과 3월 열린 제6차, 7차 회의를 통해 과거 아제르바이잔의 영토였던 아르메니아 내 8개 마을이 국경 획정의 쟁점으로 부상하였다. 아제르바이잔 측은 향후 평화 협상 진전의 선결 조건으로 위 8개 마을 중 적어도 4개를 반환해야 한다고 아르메니아 측에 요구하였다. 
- 2024년 3월 17일 파시니안 총리는 타부쉬 주 주민들과 만남에서 4개 마을의 아제르바이잔 반환이 이루어지지 않을 시 가까운 시일 내에 또 다른 전쟁이 터질 수 있다고 주장, 아르메니아 국내에서 거센 찬반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동년 4월 19일 제8차 국경 획정 회의 이후 아르메니아 정부가 영토 반환을 전격 결정하고 아제르바이잔 정부의 주장에 따라 소련 시대에 제작된 지도를 향후 국경 획정의 기준점으로 삼기로 합의하자, 일함 알리예프(Ilham Aliyev) 아제르바이잔 대통령은 양국이 평화 협상의 타결에 전례 없이 가까워졌다고 밝혔다. 
- 한편, 아제르바이잔 언론은 아르메니아 정부의 영토 반환 결정을 즉각 환영하며 이를 2023년 9월의 나고르노-카라바흐 합병에 이은 알리예프 대통령의 또 다른 치적으로 선전하였다. 반환된 4개 마을이 편입될 아제르바이잔 북서부 가자흐(Gazakh) 구에서는 지역 주민들이 거리로 뛰쳐나와 아제르바이잔 국기를 흔들고 차량의 경적을 울리며 영토 반환을 축하하였다. 알리예프 대통령은 2003년부터 아제르바이잔 대통령으로 장기 집권하고 있으며, 2024년 2월 대통령 선거를 통해 93%가 넘는 득표율로 5연임에 성공하였다.

☐ 아르메니아, 서방의 지원으로 평화 협상 타결 노력                

◦ 미국과 EU,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평화 협상 적극 중재 및 아르메니아 옹호      
- 미국과 유럽연합(EU)은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간의 평화 협상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미국 국무부는 2024년 4월 28일 안토니 블링컨(Antony Blinken) 미국 국무장관이 파시니안 총리, 알리예프 대통령과 연달아 통화하여 현재 진행 중인 양국 간 평화 협상에 대한 미국 정부의 굳건한 지지를 표명했으며, 특히 아제르바이잔 측에 협상의 모멘텀을 유지할 것을 부탁했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블링컨 국무장관은 동년 4월 5일 벨기에 수도 브뤼셀(Brussels)에서 열린 아르메니아, 미국, EU 간 3자 회담에서도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갈등 중재와 아르메니아의 안전보장을 위한 미국의 적극적 역할을 약속하였다. 미국은 아제르바이잔의 나고르노-카라바흐 점령 직후인 2023년 10월부터 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 사이의 회담을 중재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 EU는 일찍이 2023년 2월 아르메니아 민간 참관 임무(EUMA: EU Mission in Armenia)를 창설해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국경 분쟁 지역의 인권 상황을 감시하고 양국 관계 정상화를 위해 노력하였다. 아제르바이잔의 나고르노-카라바흐 점령 이후 EUMA는 아르메니아의 주권과 영토적 완결성에 대한 지지를 표명, 2024년 1월 27일 민간 참관인 수를 기존의 138명에서 209명으로 대폭 증원하였다. 유럽 의회는 2023년 10월과 2024년 3월 두 차례의 결의안을 통해 아제르바이잔의 나고르노-카라바흐 점령을 ‘인종 청소(ethnic cleansing)’로 비난하고 EU-아르메니아 간 안보협력을 지지한다고 밝히며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간 평화 협상을 촉구한 바 있다. 2024년 4월 11일 토이보 클라르(Toivo Klaar) EU 남 코카서스 및 조지아 위기 특별 대표는 자유 유럽 방송(Radio Free Europe/Radio Liberty) 아르메니아 지국과의 인터뷰에서 최근 EU와 아르메니아 간 양자 관계의 전례 없는 발전을 높이 평가하며, 평화 협상이 실질적인 결과를 도출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 아르메니아, 최근 서방과 정치·안보협력 강화...러시아와는 거리 두기     
-  아르메니아는 평화 협상 진행과 더불어 서방과 정치 및 안보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EU와 미국은 2024년 4월 5일의 3자 회담 직후 아르메니아의 안보, 경제, 그리고 산업 발전을 위한 각각 2억 7,000만 유로(약 3,978억 원)와 6,500만 달러(약 898억 1,500만 원)의 지원 계획을 발표하였다. 또한 서방 언론은 2024년 4월 18일 EU가 유럽 평화 기금(EPF: European Peace Facility)을 통해 대대급 아르메니아군 기지 설립 등 1,000만 유로(약 147억 1,000만 원) 상당의 지원에 합의하였다고 보도하였다. 
- 아르메니아는 또한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와 안보협력 관련 논의를 지속하고 있다. 파시니안 총리는 2024년 3월 19일 예레반을 방문한 옌스 스톨텐베르크(Jens Stoltenberg) NATO 사무총장과 회담,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평화 협상과 아르메니아-NATO 양자 관계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였다. 회담 후 스톨텐베르크 사무총장은 기자회견에서 아르메니아의 주권과 영토적 완결성을 재차 지지하고 향후 아르메니아의 국방 역량 강화를 위한 양자 간 협력의 발전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이에 앞서 파시니안 총리는 동년 1월 하비에르 콜로미나(Javier Colomina) NATO 코카서스 및 중앙아시아 특별 대표를 접견한 바 있다. 
- 한편, 아르메니아는 나고르노-카라바흐 분쟁에서 자국에 대한 안전보장을 이행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2023년 이후 1년 이상 러시아 주도 유라시아 지역 안보협력 기구인 집단안보조약기구(CSTO: Collective Security Treaty Organization)의 모든 공식 일정을 거부하고 있다. 2024년 2월에는 자국의 CSTO 상설 대표부를 공식적으로 철수한다고 발표했고, 5월 8일 아르메니아 외무부는 CSTO에 대한 모든 재정적 지원을 중단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파시니안 총리는 아제르바이잔에 대한 영토 반환을 설명하는 기자회견에서 양국 국경 획정과 평화 협상이 마무리되면 타부쉬 주에 주둔하고 있는 러시아 평화유지군에 철수를 요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감수 : 이평래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 >

* 참고자료

Radio Free Europe/Radio Liberty, Armenia Stops Financial Contributions To Russian-Led Military Alliance, 2024. 05. 08. 
The Armenian Weekly, Supreme Spiritual Council issues statement on Tavush border and protest march, 2024. 05. 08.  
CivilNet, Anti-government protests grow in Armenia amid border deal with Azerbaijan, 2024. 05. 08.   
Radio Free Europe/Radio Liberty, Pashinian Slams Armenian Protest Leaders, 2024. 05. 07. 
Radio Free Europe/Radio Liberty, Armenian Border Protesters March Toward Yerevan, 2024. 05. 05.  
Radio Free Europe/Radio Liberty, Armenian Protests Continue Against Plans To Cede Territory To Rival Azerbaijan, 2024. 04. 28.  
U.S. News, Blinken Speaks to Azeri, Armenian Leaders About Peace Talks, 2024. 04. 28. 
France 24, Armenia and Azerbaijan peace deal 'closer than ever' as countries start fixing common border, 2024. 04. 23. 
Eurasianet, Territorial handover stokes protests in Armenia, celebrations in Azerbaijan, 2024. 04. 22. 
Radio Free Europe/Radio Liberty, EU Set To Provide Non-Lethal Assistance To Armenia, 2024. 04. 17. 
Radio Free Europe/Radio Liberty, EU, Washington Pledge Funds As Armenia Turns Away From Moscow, 2024. 04. 05.  
Al Jazeera, Armenia’s PM warns Azerbaijan could start war over disputed border villages, 2024. 03. 19.
Anadolu Ajansı, NATO chief urges Azerbaijan, Armenia to reach normalization, peace deal, 2024. 03. 19. 
Asbarez, Armenia, Azerbaijan Border Commission Holds More Talks, 2024. 03. 07.
The California Courier, Armenia Officially Agrees to Cede Four Tavush Villages to Azerbaijan, 2024. 04. 21. 
Radio Free Euorpe/Radio Liberty, Baku, Yerevan Hold Latest Round Of Talks On Border Delimitation, 2024. 01. 31.
РБК, Пашинян обсудил с представителем НАТО сотрудничество Армении с альянсом, 2024. 01. 19. 
Eurasianet, Azerbaijan, Armenia hold border meeting amid stagnant peace talks, 2023. 12. 01. 

[관련정보]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