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오피니언
[전문가오피니언] 투르크메니스탄: 중앙아시아 에너지 지정학적 관점
투르크메니스탄 Nargiz Hajiyeva Azerbaijan State University of Economics (UNEC) Political Scientist 2024/08/28
첨부파일
자료인용안내
자료를 인용, 보도하시는 경우, 출처를 반드시 “ EMERiCs 러시아ㆍ유라시아 ”로 명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You may download English ver. of the original article(unedited) on top.
서론
중앙아시아 지역에는 석유와 가스를 비롯한 풍부한 탄화수소 자원이 매장되어 있다. 투르크메니스탄 역시 방대한 천연가스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특히 전략적 위치 덕분에 세계 에너지 시장에서 투르크메니스탄의 중요성은 점차 커지고 있다. 본고에서는 가스 파이프라인을 중심으로 중앙아시아와 유럽 대륙의 에너지 역학에서 투르크메니스탄의 역할을 분석해 보기로 한다. 특히 투르크메니스탄-아프가니스탄-파키스탄-인도(TAPI: Turkmenistan-Afghanistan-Pakistan-India) 파이프라인, 트랜스-카스피안 가스 파이프라인(TCGP: Trans-Caspian Gas Pipeline), 중앙아시아-중국 가스 파이프라인(Central Asia-China Gas Pipeline) 등 주요 에너지 인프라 프로젝트 추진의 동기를 분석하고, 이러한 프로젝트가 지역 안정성, 권력 균형, 그리고 주요 글로벌 및 지역 행위자들이 관련된 광범위한 지정학적 경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의한다. 또한 아프가니스탄을 포함한 역내 분쟁과 권력 이동의 맥락 속에서 중국, 러시아, EU 등 주요 이해 관계자들과의 관계 변화가 투르크메니스탄의 에너지 정책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분석해 보고, 이를 통해 중앙아시아 에너지 지정학에서 투르크메니스탄의 역할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제공하고자 한다.
에너지 지정학에서 투르크메니스탄의 위치
2022년 유럽안보협력기구(OSCE)의 보고서에 따르면, 중앙아시아에는 312억 배럴의 원유와 23조 4,000억 입방미터(㎥)의 천연가스가 매장되어 있다. 이러한 방대한 자원은 중앙아시아의 지정학적, 지경학적, 전략적 가치를 크게 제고했다. 소련 붕괴 이후, 지역 에너지 자원은 주요 강대국의 관심을 끌었으며, 중앙아시아 각국은 이러한 자원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전략적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1)
중앙아시아 5개국(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국가들 중에서도 투르크메니스탄은 가장 많은 천연가스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다.2) 이는 지역 에너지 부문에서 투르크메니스탄의 중요성을 확대하여 이웃 국가들과 글로벌 강대국들과의 관계를 균형 있게 유지할 수 있게 해줄 뿐 아니라 지역 파트너들 및 중국, 이란 등에도 천연가스를 수출하는 주요 에너지 공급자로 자리매김하게 한다.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 에너지 시장 정세가 급변하는 가운데3) 투르크메니스탄은 국제 경제 관계를 다각화하고 있는데, 특히 가스 공급원을 다변화하고자 하는 EU와의 관계가 크게 개선되고 있다. 투르크메니스탄은 역동적인 에너지 환경 속에서 중국, 러시아 및 EU와의 관계를 신중하게 재정립하고 있으며 풍부한 가스 매장량과 지리적 입지를 활용해 적절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동시에 경제 성장과 정치적인 안정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중국-중앙아시아 가스 파이프라인을 통해 중국과 상호작용하며 투자와 인프라 개발 혜택을 누리고 있으며, 전통적으로 우호관계를 유지해 왔던 러시아와 러시아에 대한 높은 가스 의존도를 감축하려는 EU 사이에서 균형을 유지하면서 세계 에너지 시장에서 입지를 강화하고 국가 경제 발전을 꾀하고 있다.
<그림 1> 투르크메니스탄을 둘러싼 가스 파이프라인
자료 : Enerpo Journal
투르크메니스탄 주요 파이프라인 프로젝트
에너지 파이프라인은 자원이 풍부한 지역과 주요 소비지역을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주요 인프라 프로젝트인 TAPI 파이프라인은 투르크메니스탄의 갈키니쉬(Galkynysh) 가스전에서 인도까지 매년 최대 330억㎥ 규모의 천연가스 운송을 목표로 한다. 하지만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을 경유하기 때문에 진행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1990년대 초에 구상된 이 파이프라인은 지정학적 도전과 안보 위협으로 수많은 지연을 겪은 후 2018년에 공사가 시작되었으며4), 투르크메니스탄 구간이 완공된 가운데 파키스탄 구간의 건설에 속도를 내기로 양국 고위급 관계자들이 합의한 상태이다.5)
2021년 탈레반이 아프가니스탄의 정권을 장악한 이후 아프가니스탄 구간 건설의 불안정성은 더욱 강화되었다. 파이프라인 건설이 아프가니스탄 경제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를 감안하면 탈레반 정부 또한 이 프로젝트의 진행을 막을 이유가 없고, 탈레반은 프로젝트의 안전을 보장하겠다고 거듭 약속했다.6) 그러나 건설이 완료된다고 하더라도 긴 파이프라인은 반군들에게 상당히 유혹적인 자금원이 될 수 있으며, 전체 파이프라인을 경비한다는 것은 경제난에 시달리는 탈레반 정부에게는 불가능한 일이 될 것이다. 무엇보다도 탈레반에 직접 자금 지원을 꺼리는 많은 국제 금융기관들의 지원이 없이는 건설 비용 조달도 어려울 수 있다는 전망이다. 그러나 여전히 탈레반 정부는 파이프라인 건설의 의지를 강력히 피력하고 있다.7)
TAPI 파이프라인의 지정학적 의미는 지역 경계를 넘어선다. 러시아는 이 프로젝트를 남아시아에서 영향력을 확대하고 중앙아시아와 남아시아를 연결할 기회로 보고 있다. 2023년 1월 러시아 특사 자미르 카불로프(Zamir Kabulov)는 아프가니스탄 수도 카불을 방문하여 TAPI 프로젝트에 참여하겠다는 뜻을 밝혔다.8) TAPI 프로젝트로 강화된 연결성은 국제 남북 교통 회랑(International North-South Transport Corridor)을 통해 러시아의 영향력 확대에 이바지할 가능성이 있다. 인도에 TAPI 파이프라인은 기회와 도전을 동시에 제시한다. 새로운 에너지 공급원을 제공할 가능성도 있지만 파키스탄을 경유하는 파이프라인 경로 특성상 물류 및 정치적 문제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프로젝트가 부활하고 성공적으로 실행된다면 지역의 에너지 역학이 재편될 수 있지만 여전히 불확실성은 남아있다.9)
TCGP, 트랜스-카스피안 가스 파이프라인은 중앙아시아의 에너지 전략에서 또 다른 중요한 요소이다. 이는 현재 논의 단계에 있는 파이프라인으로, 투르크메니스탄과 카자흐스탄의 천연가스를 카스피해를 가로질러 아제르바이잔으로운송하고, 남코카서스 파이프라인(SCP: South Caucasus Pipeline) 및 남부 가스 회랑(SGC: Southern Gas Corridor)과 같은 기존 인프라를 연결한다. 주요 목표는 중앙아시아산 가스가 러시아와 이란을 우회하여 유럽 시장에 도달할 수 있도록 경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간 160억 ㎥를 운반할 수 있으며 총연장은 300km에 달한다. 이 파이프라인이 완공되면 유럽 시장으로의 접근성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전망된다.10)
그러나 TCGP도 중대한 도전에 직면해 있다. 러시아와 이란은 각각 다른 이유로 이 프로젝트에 반대하고 있다. 러시아는 EU가 러시아 가스 의존도를 줄이면 유럽 시장에서 시장 점유율을 잃을 것을 우려하고 있으며, 이란은 지역 내 자체 전략적 이해관계로 인해 반대하고 있다. 2018년의 카스피해의 법적 지위에 관한 협약11)으로 카스피해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인접한 다섯 개국 모두의 승인이 필수 요구사항이 되면서 또 다른 복잡성이 추가되었다. TCGP는 유럽의 에너지 공급원을 다양화하고 러시아 공급 의존도를 줄일 수 있는 잠재력을 가졌는데, 이는 대체 에너지 경로를 확보하고 에너지 안보를 강화하려는 EU의 노력과 일맥상통한다. 일부 국가들의 반대와 규제에도 불구하고 TCGP는 중앙아시아의 에너지 자원을 유럽 시장에 통합하려는 광범위한 노력의 주요 전략이 될 전망이다.
연간 550억 ㎥ 용량을 가진 중앙아시아-중국 가스 파이프라인은 중국의 에너지 전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파이프라인은 투르크메니스탄,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을 중국의 신장 지역과 연결함으로써 중국의 에너지 안보를 강화하고 해상 경로에 대한 의존도를 줄인다.12) 2022년 투르크메니스탄은 중국에 약 350억㎥의 가스를 수출했다. 중국의 중앙아시아 가스 수입량의 약 75%를 차지하는 수치이다.13) 중국에 이 파이프라인은 일대일로 주도권을 위해 필수적인 인프라이며, 중앙아시아와 경제적 유대를 강화하고 해상 에너지 경로와 관련된 위험을 완화하는 요소이기도 하다. 중국의 지정학적 영향력을 강화하여 전통적인 러시아의 지역 지배력에 도전하는 데 활용되기도 한다. 중국은 2020년 시진핑(Xi Jinping) 중국 주석이 2060년 탄소중립을 선언한 이후 태양광, 풍력, 원자력, 수력 발전 용량을 확대하고 석탄 화력 발전소를 단계적으로 폐지하는 과정에서 중간 단계로 천연가스를 활용하는 저탄소 전략을 채택하면서 가스 수입량이 크게 증가한 바 있다.14)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개전 이후 투르크메니스탄의 천연가스 수출량은 전반적으로 증가 추세에 있으며, 이웃한 중앙아시아 경유국들도 이에 따른 경제적 이익을 누리고 있다. 전반적인 기술 및 생산 효율 개선이 필요하지만, 남아 있는 여러 문제에도 불구하고 가스 운송을 위한 파이프라인들은 지역 에너지 역학과 경제 전략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표 1> 2023년 투르크메니스탄 가스 수출 상대국 상위 5개국
자료 : State Committee on Statistics of Turkmenistan, BP Statistical Review of World Energy, International Energy Agency (IEA)
투르크메니스탄의 미래 에너지 전략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에너지 공급망의 재편으로 방대한 천연가스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는 투르크메니스탄의 지정학적 위상이 크게 제고되었다. EU는 러시아에 의존해오던 천연가스 수입 상대국을 다변화하기 위한 대안으로 중앙아시아 국가들을 고려하게 되었고, 원활한 공급을 위해 다양한 파이프라인을 활용하고자 한다. 남코카서스 파이프라인(SCP)과 트랜스-아나톨리아 파이프라인(TANAP)을 포함하는 남부가스회랑(The Southern Gas Corridor)은 투르크메니스탄 가스를 유럽 시장에 연결하는 전략적 이니셔티브이다. 그러나 투르크메니스탄을 유럽과 연결하는 데 필요한 인프라 개발은 복잡하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과정이다.15)
반면 중국은 투르크메니스탄 최대의 천연가스 수출 상대국으로, 2023년 1월 시진핑 주석은 투르크메니스탄과의 에너지 협력을 강화할 것을 강조하며 중국 에너지 안보에 있어 투르크메니스탄의 전략적 중요성을 언급했다. 중국의 일대일로 이니셔티브에 필수적인 에너지 안정성 확보를 위해 투르크메니스탄은 중국에게 매우 중요한 전략적 파트너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투르크메니스탄은 지역 파트너 및 중국에 대한 에너지 수출을 우선시하면서 유럽 시장으로의 잠재적 진출을 점진적으로 추진하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즉각적인 수요를 만족시키는 동시에 다가올 기회를 준비하는 균형적인 정책을 택한 것이다. 이러한 투르크메니스탄의 에너지 전략은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과 에너지 다변화를 추구하며 변동하는 지정학적 위기 속에서 광범위한 영향력을 확장해 나갈 것이다.
2024년 6월 투르크메니스탄을 국빈 방문한 윤석열 한국 대통령은 세르다르 베르디무하메도프(Serdar Berdimuhamedow) 투르크메니스탄 대통령과 회담을 갖고 양국이 에너지, 조선, 교통, 환경보호 등의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하는 데에 합의했다. 특히 에너지 부문에서 갈키니쉬 가스전(Galkynish Gas Field) 탈황 플랜드, 키얀리(Kiyanly) 폴리머 플랜트 협력 합의서를 체결하며 향후 양국 간 관계 발전에 대한 기대감을 고취시켰다.
결론
지정학적 변화와 진화하는 글로벌 에너지 수요로 투르크메니스탄의 에너지 지형은 중요한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은 러시아에 에너지 공급을 의존하고 있던 많은 국가들에 경종을 울렸고, 에너지원 다변화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투르크메니스탄의 방대한 천연가스 매장량은 전 세계적인 관심을 끌게 되었고, 중국이나 EU와 같은 주요 국가들과의 적극적인 협력이 진행되고 있다. 중앙아시아-중국 가스 파이프라인은 투르크메니스탄과의 에너지 협력을 강화하여 글로벌 불확실성 속에서 중요한 공급 라인이 되어주고 있다. 반면, EU의 에너지 공급원 다변화 정책은 러시아산 가스 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대안으로서 투르크메니스탄의 위상을 제고한다. 러시아와 이란의 반대 등 지정학적 도전에도 불구하고, 투르크메니스탄의 에너지 전략은 즉각적인 지역 수요와 장기적인 유럽 시장 통합 사이와 균형을 맞춰 성장하고 있다. 투르크메니스탄이 앞으로 복잡한 국제 관계를 조율하고 새로운 기회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면 세계 주요 에너지 공급국으로서 입지를 공고히 할 수 있을 것이다.
* 각주
1) https://www.ankasam.org/anka-analizler/the-issue-of-energy-in-central-asia-and-the-role-of-turkmenistan/?lang=en
2) https://adi-analytics.com/2021/05/28/regional-spotlight-oil-gas-in-central-asia/
3) https://www.caspianpolicy.org/research/energy/the-importance-of-turkmen-gas-exports-in-a-shifting-energy-landscape
4) https://www.adb.org/projects/44463-013/main
5) https://interfax.com/newsroom/top-stories/104496/
6) https://eurasianet.org/Taliban-vows-to-guarantee-safety-of-trans-Afghanistan-gas-pipeline
7) https://wenewsenglish.pk/afghan-taliban-regime-pledges-implementation-of-tapi-pipeline-project/
8) https://www.newscentralasia.net/2023/01/21/russia-is-ready-to-participate-in-tapi-project-in-afghanistan-and-pakistan/
9) https://www.eurasian-research.org/publication/energy-policies-of-turkmenistan-importance-and-perspectives-of-tapi-natural-gas-pipeline/
10) https://ec.europa.eu/energy/maps/pci_fiches/PciFiche_7.1.1.pdf
11) http://www.en.kremlin.ru/supplement/5328
12) https://www.lowyinstitute.org/the-interpreter/beijing-digs-central-asia-china-gas-pipeline
13) https://globalvoices.org/2024/06/06/china-increases-gas-imports-from-turkmenistan-for-green-energy-transition-its-impact-is-unclear/
14) https://www.shell.com.cn/en_cn/media/media-releases/2022-media-releases/shell-partners-with-cnooc-guangdong-government-exxonmobil-on-offshore-carbon-capture-and-storage-hub-in-china/_jcr_content/par/textimage_1693550235.stream/1642171116580/9c08ca486937fc6153a981cde04539f28f90f733/china-sketch-narrative.pdf
15) https://www.aa.com.tr/en/asia-pacific/turkmenistan-on-brink-of-exporting-gas-to-turkiye-europe-president-erdogan/3239740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 및 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이전글 | [전문가오피니언] SCO의 성장: 카자흐스탄과 한국에 주는 시사점 | 2024-08-28 |
---|---|---|
다음글 | [Russia·CIS Talk] 서구의 대러 수출 통제는 성공적인가? | 2024-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