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오피니언
[전문가오피니언] 2024 튀르크 국가 기구(OTS) 비공식 정상 회담의 성과와 시사점
러시아ㆍ유라시아 일반 Albina Muratbekova Eurasian Research Institute, Almaty Research Fellow 2024/10/08
첨부파일
You may download English ver. of the original article(unedited) on top.
서론
2024년 7월 6일 아제르바이잔 슈샤에서 튀르크 국가 기구(OTS: Organization of Turkic States) 비공식 정상 회담이 열렸다. 아제르바이잔의 일함 알리예프(Ilham Aliyev) 대통령이 주최한 이번 정상 회의에는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 헝가리, 북키프로스 터키 공화국(TRNC: Turkish Republic of Northern Cyprus) 국가 정상들과 OTS 사무총장이 참석했다. 튀르키예는 다른 일정으로 참석이 불가능했던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Recep Tayyip Erdoğan) 대통령을 대신하여 체브데트 이을마즈(Cevdet Yılmaz) 부통령이 참석했다. 세르다르 베르디무하메도프(Serdar Berdimuhamedov) 투르크메니스탄 대통령은 안토니우 구테흐스(António Guterres) UN 사무총장의 자국 방문 일정과 관련하여 이번 정상 회담에 불참했다.
OTS는 2009년에 튀르크어 사용 국가 협력 회의(튀르크 협의회, Turkic Council)로 설립되었고, 2021년에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이 기구는 창립 회원국인 아제르바이잔,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튀르키예, 그리고 2019년에 가입한 우즈베키스탄을 회원국으로 두고 있으며, 참관국(Observer)으로는 헝가리(2018년 가입), 투르크메니스탄(2021년 가입), 북키프로스 터키 공화국(2022년 가입)이 있다. 2011년부터 매년 정상 회의를 개최하고 있으며, 회원국의 요청에 따라 비공식 회의도 개최된다. OTS의 토대는 1992년에 앙카라에서 열린 첫 번째 ‘튀르크어 사용 국가 정상 회담(Turkic-speaking Heads of State Summits)’이다.1)
OTS는 ‘튀르크 세계’라는 개념을 근간으로 하며, 튀르크어권 국가들 간 협력 강화 및 시너지 창출과 튀르크 정체성의 국제사회적 위상 제고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회원국 간 협력 분야는 2021년에 서명된 ‘튀르크 세계 비전 2040(Turkic World Vision 2040)’ 문서에 정의되어 있는데, △정치 및 안보 협력 △경제 및 부문별 협력 △민간 협력 △외부와의 협력2) 등 네 가지 분야를 중심축으로 한다. OTS 외에도 튀르크 국가들은 국제 튀르크 문화 기구(TURKSOY: International Turkic Cultural Organization), 국제 튀르크 아카데미(The International Turkic Academy), 튀르크 세계 의회(Turk-Pa: Turkic world Parliamentary Assembly), 튀르크 문화유산재단(Turkic Culture and Heritage Foundation), 튀르크 투자기금(Turkic Investment Fund) 등을 통해 협력하고 있다.3)
이러한 튀르크 국가들 간 협력의 구심점은 튀르키예이다. 튀르키예는 구소련 해체로 중앙아시아 국가들이 독립한 이후 지역 발전을 위해 적극적인 역할을 해왔으며, 특히 주요 무역 파트너로서 중앙아시아 국가들의 경제 발전에 크게 이바지하고 있다. 튀르키예는 튀르크 민족의 단결과 제도적 협력 강화를 외교 정책의 최우선순위에 두고, 민간 교류를 중심으로 하는 실용적인 방식으로 경제와 비즈니스 협력을 이끌고 있다.
중앙아시아 5개국 중 타지키스탄을 제외한 네 개 튀르크 국가들 외에도 아제르바이잔, 헝가리, 북키프로스 터키 공화국도 튀르크어권 국가에 포함된다. 아제르바이잔은 튀르키예와 ‘두 국가, 한 민족’이라는 슬로건4) 아래 특별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헝가리는 자신들을 ‘킵차크 튀르크(Kipchak Turks)’의 후손으로 여기며 OTS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특히 헝가리는 빅토르 오르반(Viktor Orbán) 총리 지도하에 서방 국가에 집중되어 있던 기존의 국제 관계를 다변화하기 위한 동방 개방 전략(Eastern Opening Policy)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면서 OTS와의 관계를 강화하고 있다. 한편, 북키프로스 터키 공화국은 현재 중앙아시아 국가들을 포함한 국제사회에서 독립 국가로서 지위를 인정받지 못하고 있지만, 유일하게 국가로 인정하고 있는 튀르키예의 적극적인 지원에 힘입어 2022년 참관국 자격으로 OTS에 가입하였다.
2024년 비공식 정상 회담 주요 내용
회원국 정상 대부분이 참석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번 행사는 OTS 정상회담 직전인 7월 3~4일에 열린 상하이협력기구(SCO: Shanghai Cooperation Organization) 정상 회의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관심을 받았다. 이는 10월로 예정되어 있는 제 11차 OTS 정기 회담을 3개월여 앞둔 시점에 개최되어 중요한 결정이 내려질 가능성이 적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2023년 정기 정상회담에서 일함 알리예프(Ilham Aliyev) 아제르바이잔 대통령이 제안하여 열리게 된 이번 회의는 아제르바이잔 슈샤(Shusha)에서 개최되었는데, 슈샤가 갖는 상징적인 의미를 OTS 회원국들을 포함한 전 세계에 다시 한번 알렸다는 점이 오히려 이번 회의 개최의 주된 성과라고 할 수 있다. 슈샤는 1992년 아르메니아군에게 점령되었으나, 2020년 11월 제2차 카라바흐 전쟁 중에 아제르바이잔에 수복되어 2021년에는 아제르바이잔의 문화 수도로 선포되었다. 비공식 정상 회의를 이곳에서 개최함으로써 아제르바이잔은 슈샤가 자국의 영토임을 공식적으로 재확인하였다.
참석한 지도자 모두 슈샤가 튀르크 세계를 상징하는 도시이고, 튀르크 국가들을 단결시키며 남코카서스(South Caucasus) 지역에 평화와 안정을 구축하는 데 있어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는 데에 동의했다. 이번 행사 참여를 위해 아제르바이잔을 방문한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이 슈샤, 푸줄리(Fuzuli), 잔길란(Zangilan), 자브라일(Jabrayil) 등 해방된 지역을 방문했고, 샤브카트 미르지요예프(Shavkat Mirziyoyev) 우즈베키스탄 대통령과 카심 조마르트 토카예프(Kassym-Jomart Tokayev) 카자흐스탄 대통령이 슈샤와 푸줄리를, 사디르 자파로프(Sadyr Zhaparov) 키르기스스탄 대통령이 푸줄리와 아그담(Aghdam)을 방문함으로써 튀르크어권 국가들이 아르메니아와의 갈등에서 튀르크 형제 국가인 아제르바이잔을 지지하고 있음을 과시했다.5) 빅토르 오르반 헝가리 총리는 “아제르바이잔이 슈샤 지역을 수복함으로써 코카서스 지역에 거주하는 수십만 명의 주민에게 평화로운 삶의 가능성을 돌려주었다”고 밝혔다.6)
한편 ‘운송, 연결성, 기후 행동을 통한 지속 가능한 미래 건설’을 화두로 슈샤에 모인 OTS 회원국 정상들은 회원국 간 잠재적인 연결성 확보에 관한 논의를 진행했다. 슈샤와 주변 지역이 아르메니아로부터 해방되면서 ‘중간 회랑(Middle Corridor)’의 잠재력이 더욱 강화되었다는 점이 특히 주목을 받았다. ‘튀르크 세계 비전 2040’ 문서에 따르면, 남코카서스, 카스피해, 중앙아시아를 거쳐 중국에서 유럽으로 이어지는 트랜스-카스피 국제 운송 회랑(TITR: Trans-Caspian International Transport Route), 또는 ‘중간 회랑’은 러시아를 통과하는 북부 회랑 대안으로 구성되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서방의 제재와 러시아 내부 상황의 영향으로 인해 북부 회랑의 교통량이 눈에 띄게 감소하면서 중간 회랑이 통과하게 될 지역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었다. 그 결과, 2013년부터 논의되어 온 중간 회랑은 2022년 11월 아제르바이잔, 조지아, 카자흐스탄, 튀르키예 간의 ‘2022-2027 로드맵(Roadmap for 2022-2027)’ 합의를 이끌어내며 큰 진전을 이루게 되었다. 2023년 10월에는 아제르바이잔, 조지아, 카자흐스탄의 국영 철도를 포함한 공동 물류 운영자가 설립되면서 중간 회랑 프로젝트는 더욱 속도를 내게 되었다.7)
정상 회의에 참석한 지도자들은 지역 연결성 및 경제 통합의 초석으로서 중간 회랑의 역할에 주목하고, 화물 유치 활성화를 위한 민간 부문 인센티브 메커니즘을 시행하기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하였다.8) 양해각서에는 회랑을 따라 정기 운송 서비스를 만들고, 운송 및 통과 절차를 최적화 및 디지털화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샤브카트 미르지요예프 우즈베키스탄 대통령은 조직 내 철도 행정 위원회를 설립하고 그 본부를 타슈켄트에 두자고 제안하면서 최근 타슈켄트에 설립된 튀르크 국가 물류센터 및 화물운송업체 연합(Alliance of Logistics Centers and Freight Carriers of Turkic States)과 시너지 효과를 내어 중간 회랑의 역량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9) 카심 조마르트 토카예프 카자흐스탄 대통령은 2023년 중간 회랑을 통한 화물 교통량이 65% 증가했으며, 물품 배송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아제르바이잔과 함께 다중 모드 디지털 플랫폼인 디지털 무역 회랑(Digital Trade Corridor)을 개설함으로써 물류 운송 효율화에 기여했다고 언급했다. 체브데트 이을마즈 튀르키예 부통령은 바쿠-트빌리시-카르스(Baku-Tbilisi-Kars) 철도 노선의 화물 운송량이 2023년에 300만 톤에서 2030년 1,100만 톤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강조했다.10)
아제르바이잔이 2024년 11월 수도 바쿠(Baku)에서 유엔 기후 변화 협약 당사국 총회 제29차 회의(COP 29)를 개최할 예정인 만큼, 이번 회의에서는 기후 변화도 주요 안건으로 다루어졌다. 아제르바이잔 대통령은 OTS 정상들에게 COP 29 참석을 권유하며 바쿠로 초청했다. 각국 정상들은 재생 에너지에 관한 관심을 표명하며 기후 재정 조치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했고, 카자흐스탄 대통령은 카자흐스탄이 2026년에 국제연합(UN) 후원 하에 지역 기후 정상 회의를 개최할 것이라고 밝혔다. 우즈베키스탄 대통령은 누쿠스에 튀르크 환경 위원회(Turkic Environmental Council in Nukus)를 설립할 것을 제안했는데, 누쿠스는 인류 최악의 환경 재난 중 하나로 언급되는 아랄(Aral)해에 인접하여 큰 피해를 본 도시이다.
이외에도 아제르바이잔 대통령은 OTS 기구 활동 최적화를 위한 200만 달러(약 27억 4,000만 원) 기부 결정을 발표했다. 카자흐스탄 대통령은 튀르크 중앙은행 협의회(Council of Turkic Central Banks )와 전 튀르크 특허 기구(All-Turkic Patent Organization)를 설립할 것을 제안했다.11) 헝가리 총리는 헝가리가 현재 순환제 EU 의장국임을 언급하며 헝가리가 OTS를 통해 동서양을 잇는 다리 역할을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12) 각국 정상은 정상 회의의 주요 결과를 31개 조항으로 정리한 카라바흐 선언(Karabakh Declaration)에 서명함으로써 회의를 마무리했다.
OTS의 발전 가능성
OTS는 비교적 최근에 탄생한 국제기구로, 지역 및 글로벌 문제에 대한 영향력이 아직까지 크지 않은 편이다. 그러나 OTS 회원국 간 협력은 정치, 안보, 경제, 그리고 민간 교류 등 다양한 부문에서 크게 강조되고 있다. 특히 튀르키예는 협력을 주도하는 중심 국가로서 OTS회원국들과 상당한 규모의 경제 관계를 맺고 있으며, 중앙아시아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에서 튀르키예를 우호적인 국가로 인식한다는 응답은 85~90%에 달했다. 특히 카자흐스탄과 키르기스스탄 국민은 가장 선호하는 국가로 튀르키예를 꼽았으며, 우즈베키스탄과 투르크메니스탄에서도 두 번째로 선호하는 국가로 튀르키예가 선정되었다.13) 또한 OTS와 산하 기관들에서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제도화·시스템화는 회원국들 간의 관계를 더욱 강화할 수 있는 견고한 뼈대로 작용하여 OTS 협력의 잠재력을 극대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결론
최근 세계 정세의 급격한 변화를 불러온 지정학적 위기로 인해 중앙아시아에 대한 글로벌 및 지역 강대국들의 관심이 크게 증가하였다. 중앙아시아는 대부분 튀르크어권 국가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공통의 언어, 문화, 전통에 기반한 튀르크 유대를 바탕으로 지역 파트너십 네트워크와 통합이 점차 강화되고 있다. OTS는 공동 실질 협력 메커니즘을 창설하고 정상회담 등 고위급 회담을 빈번히 개최하며 튀르크 유대를 견고히 하고, 공동 비전에 따라 양자-다자간 목표를 수행하고 있다. 이번 OTS 비공식 정상 회의에서 OTS 회원국들은 외교 정책 의제에서 ‘튀르크’ 요소가 강화되고 있음을 과시한 것으로 평가된다.
* 각주
1) Özer, Çağlar (2023). The Organization of Turkic States- From Past to Present. Balkan and Near Eastern Journal of Social Sciences. Vol. 09, pp. 150-161. (Special Issue)
2) Turkic World Vision 2040. https://turkicstates.org/en/haberler/turkic-world-vision-2040_2396
3) Yaldiz, Firat (2023). The Political Vision of the Organization of Turkic States: An Analysis of the Turkic World Vision 2040. Eurasian Research Journal, Vol. 5, No. 2, pp. 61-79. https://doi.org/10.53277/2519-2442-2023.2-05
4) One nation two states, Turkey and Azerbaijan: Op-ed. https://www.hurriyetdailynews.com/one-nation-two-states-turkey-and-azerbaijan-op-ed-169194
5) Informal Summit of Heads of State of Organization of Turkic States was held in Shusha. https://president.az/en/articles/view/66415
6) PM Orbán: OTS is a "vital pillar" of East-West cooperation. https://abouthungary.hu/news-in-brief/pm-orban-ots-is-a-vital-pillar-of-east-west-cooperation
7) Middle Trade and Transport Corridor. World Bank. https://thedocs.worldbank.org/en/doc/6248f697aed4be0f770d319dcaa4ca52-0080062023/original/Middle-Trade-and-Transport-Corridor-World-Bank-FINAL.pdf
8) Garabagh Declaration of the Informal Summit of the Heads of State of the Organization of Turkic States. https://president.az/en/articles/view/66416
9) Shavkat Mirziyoyev: Today our countries are decisively aimed at accessing the main world markets and reviving the Great Silk Road in new historical conditions. https://kun.uz/en/news/2024/07/06/shavkat-mirziyoyev-today-our-countries-are-decisively-aimed-at-accessing-the-main-world
10) Informal Summit of Heads of State of Organization of Turkic States was held in Shusha. https://president.az/en/articles/view/66415
11) Informal Summit of Heads of State of Organization of Turkic States was held in Shusha. https://president.az/en/articles/view/66415
12) PM Orbán: OTS is a "vital pillar" of East-West cooperation. https://abouthungary.hu/news-in-brief/pm-orban-ots-is-a-vital-pillar-of-east-west-cooperation
13) Public Perception of Turkey in Central Asia. Tlegen Kuandykov. https://ca-barometer.org/assets/files/froala/7c9df247afe316b054e56a538aa8810219ae584d.pdf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 및 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이전글 | [전문가오피니언] 코시테파 운하 건설을 둘러싼 아프가니스탄과 중앙아시아의 입장 | 2024-10-08 |
---|---|---|
다음글 | [Russia·CIS Talk] 푸틴 정부는 '소비에트 코끼리 옮기기'에 성공했는가? | 2024-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