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트렌드
[이슈트렌드] 이집트, 아프리카 시장으로의 수출 확대 계획 발표
이집트 EMERiCs - - 2024/10/25
☐ 이집트, 아프리카 수출 4배 확대 목표 설정
o 이집트, 아프리카 수출 150억 달러로 확대 계획
- 이집트는 자국의 對아프리카 수출액을 2025년까지 약 150억 달러(약 20조 4,000억 원)로 늘리기 위한 야심찬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전략적 움직임은 동남아프리카공동시장(COMESA: Common Market for Eastern and Southern Africa)와 아프리카대륙자유무역지대(AfcFTA: African Continental Free Trade Area)와 같은 국제 무역 협정에 가입한 이집트의 경제적 관계를 강화하기 위한 광범위한 이니셔티브의 일환이다. 할라 알-새드(Hala Al-Saeed) 이집트 기획경제개발부 장관은 최근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이러한 목표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건설, 섬유, 의약품, 농산물 등 부문의 성장 가능성에 대해 언급했다.
- 이집트의 아프리카로의 수출 확대 계획은 무역 물류를 강화하고 아프리카 전역에 이집트산 제품의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아프리카 시장의 구체적인 수요를 분석하여 수출 전략을 맞춤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o 이집트의 세계 수출 목표 1,000억 달러
- 이집트는 아프리카로의 수출 목표와 함께 연간 세계 수출액을 약 1,000억 달러(약 136조 2,800억 원)로 늘리는 보다 야심찬 목표를 향해 노력하고 있다. 이 전략은 수출 시장을 다양화하고 국제 무대에서 이집트 제품의 경쟁력을 높이는 것을 포함하며, 섬유, 의약품 등 이집트가 경쟁 우위를 가진 분야를 우선적으로 추진하여 이 같은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
- 이집트 기획경제개발부 및 국제협력부는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적극적으로 협력하여 정부의 수출 확대를 위한 정책을 추진해나가고 있다. 이집트는 수출 제품의 품질과 효율성을 개선함으로써 글로벌 무역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지속 가능한 경제 발전을 달성하고자 한다.
☐ 이집트의 아프리카 시장 진출 전략 및 도전 과제
o 나세르 수출입 회사의 역할 재정립 필요성
- 이집트 국영 기업인 나세르 수출입회사(Nasser for Export and Import)는 이집트산 제품의 해외 시장 개척을 주도하는 회사이며, 현재 이집트 수출 전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 위해 활성화되고 있다. 암르 알 사마도니(Amr al-Samadoni) 나세르 수출입회사 국제운수물류부문 사무총장은 이 회사를 보다 발전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계획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나세르 수출입회사는 역사적으로 아프리카 국가들과의 무역 관계를 육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으나, 1970년대 경제 개방 시기 동안 쇠퇴하여 소외되어 오고 있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수출 발전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회복하려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 이집트는 나세르 수출입회사의 경험과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수출 역량을 강화하고 아프리카에서 새로운 시장을 개척할 계획이며, 이를 위해 나세르 수출입회사의 ▲운영을 현대화하고, ▲제품 범위를 확장하며, ▲아프리카 시장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한 물류 인프라를 강화할 예정이다.
o 아프리카 시장의 접근성 및 유리한 조건
- 이집트에 있어 아프리카 시장은 여타 지역에 비해 접근성과 유리한 조건으로 인해 수출에 유리한 기회를 제공한다. 알 사마도니 사무총장은 아프리카 시장이 유럽 시장에서 볼 수 있는 엄격한 효율성 기준을 요구하고 있지 않은 바, 이집트 제품들이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 이집트의 전략적 위치와 다양한 무역 협정 가입은 아프리카 시장 접근성을 더욱 강화하고 있는데, 이러한 이점을 활용하여 이집트는 아프리카 시장 점유율을 높이고 아프리카 대륙의 경제 지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자 한다.
☐ 이집트의 아프리카 수출에 대한 지원 및 협력 강화
o 아프리카 수출개발기금(FEDA) 가입 승인
- 압델 파타 엘시시(Abdel-Fattah El-Sisi) 이집트 대통령은 아프리카 수출개발기금*(FEDA: Fund for Export Development in Africa) 가입을 최종 승인하였으며, 이는 이집트의 아프리카 대륙 내 수출 역량을 강화하는 중요한 조치로 평가된다. FEDA는 아프리카 무역의 구조적 전환에 초점을 맞춘 펀드로, 인프라, 제조업, 금융 서비스, 농업 및 기술에 대한 투자를 통해 사회적 및 환경적 이익을 창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아프리카수출입은행(Afreximbank)가 아프리카 대륙의 무역과 수출 발전을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설립한 투자 기금
- 이집트는 FEDA에 참여함으로써 수출 성장을 촉진하고 아프리카 경제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자원과 파트너십을 확보할 수 있다.
o 아프리카의 물류 및 기반 시설 개선에 대한 투자
- 이집트는 수출 전략을 지원하기 위해 아프리카 전역의 물류 및 인프라 개선에 투자하고 있다. 이집트산 제품의 무역로 효율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계획의 핵심 요소는 아프리카 여러 나라에 물류센터를 설립하는 것이다. 이러한 투자는 운송 비용을 절감하고 아프리카 시장에서 이집트 수출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것으로 전망된다.
- 또한, 아프리카 국가들과의 인프라 프로젝트 협력 기회를 모색하고 있다. 물류 네트워크를 강화함으로써 이집트는 아프리카 대륙 전역에서 상품과 서비스의 원활한 흐름을 촉진하는 무역 환경을 조성하고자 한다.
o 코트디부아르와 같은 주요 아프리카 국가와의 무역 및 협력 강화
- 이집트는 수출 확대를 위해 코트디부아르 등 아프리카 핵심 국가들과의 무역 사절단 및 협력을 적극 강화하고 있다. 최근 코트디부아르 수도 아비장(Abidjan)에서 열린 이집트 무역 사절단 전시회는 이집트 건설 수출 협의회(Engineering Export Council of Egypt)가 주관하였으며, 10여 개 이집트 주요 기업의 건설 분야 역량을 선보였다. 이 행사는 코트디부아르 주재 이집트 대사관의 지원을 받아 이집트 수출에 대한 새로운 시장 개척과 양국 무역 관계의 육성을 목표로 했다.
- 셰리프 세이프(Sherif Sief) 주 코트디부아르 이집트 대사는 이집트 산업을 홍보하고 코트디부아르의 주요 수입업체와의 협력 기회를 창출하는 데 있어 무역 사절단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유망한 아프리카 경제와의 교류를 통해 이집트는 상호 경제 성장과 발전을 이끄는 장기적인 파트너십을 구축하고자 한다.
< 감수 : 이진상 한국뉴욕주립대학교 교수>
* 참고자료
Egyptindependent, Egypt eyes $15 billion African export market by 2025, 2024.10.6
Egypt Today, State pays great attention to increasing Egyptian exports to Côte d'Ivoire: Egyptian amb, 2024.10.8.
Ahram Online, Egypt joins Fund for Export Development in Africa, 2024.9.13.
Arab News, Egypt aiming to triple exports to Africa by 2025, says minister, 2021.12.1.
[관련정보]
이집트, 2025년까지 대(對)아프리카 무역수출액 150억 달러 목표 (2024.10.15)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 및 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이전글 | [이슈트렌드] 카타르, 미국의 중동 분쟁 중재를 위한 핵심 협력국으로 부상 | 2024-10-15 |
---|---|---|
다음글 | [이슈트렌드] 케냐, 국내 최초 원자력 발전소 건설 추진...지역 주민들은 반대 시위 개최 | 2024-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