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트렌드
[이슈트렌드] 제11차 OTS 정상회담 개최, 경제·디지털·환경 부문 협력에 초점
러시아ㆍ유라시아 일반 EMERiCs - - 2024/11/14
☐ OTS, 비슈케크에서 제11차 정상회담 개최
◦ 제 11차 OTS 정상회담, 회원국 간 협력 강화 및 국제 사회에서의 위상 제고 목표
- 2024년 11월 6일 키르기스스탄 비슈케크에서 제11차 튀르크어권국가기구(OTS: Organization of Turkic States) 정상회담이 개최되었다. ‘튀르크어권 국가 강화: 경제 통합, 지속 가능한 개발, 디지털화된 미래와 모두를 위한 안보(Strengthening the Turkic World: Economic Integration, Sustainable Development, Digital Future, and Security for All)’를 주제로 열린 이번 회담에서 각국 정상은 회원국 간 다양한 분야에서의 협력과 단결을 강조하며 7개의 핵심 결의안에 서명하고 ‘튀르크 세계 헌장(Charter of the Turkic World)’을 채택하였다.
- 이번 회담에서는 헝가리와 튀르크어권 국가 간 유대 강화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하여 빅토르 오르반(Victor Orban) 헝가리 총리에게 튀르크어권 국가 최고 훈장을 수여한다는 내용의 결의안이 통과되었다. 또한 OTS 부사무총장 임명 결의안과 상임 대표에 대한 규정도 채택되어 향후 OTS 조직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 OTS 깃발의 디자인 변경안도 이번 정상회담에서 승인되었다. 새로 변경된 깃발은 튀르크 세계의 문화적, 역사적 정체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평가된다. 깃발에 사용된 하늘색과 흰색은 튀르크계 국가들 국기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순수함, 전통, 광활한 대초원과 힘, 조화, 영원을 상징한다. 8각형과 40개의 광선으로 이루어진 태양은 빛, 개방성, 활력을 상징하며 튀르크 민족의 번영하는 미래를 의미한다. 회원국 정상들은 새로운 깃발이 회원국 간 상호 이해를 증진하고 안정과 평화를 향한 회원국의 일치된 열망의 실현을 뒷받침할 것이라며 환영의 뜻을 밝혔다.
◦ 창립 15주년을 맞은 OTS, 역사적 문화적 가치 공유와 협력을 통한 튀르크계 국가 간 통합 추구
- OTS는 2024년 10월 3일 창립 15주년을 맞이하였다. 1992년 구소련 붕괴로 독립한 튀르크 국가의 정상들이 모여 회담을 시작하였고, 이후 2009년 10월 3일 아제르바이잔,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튀르키예가 서명한 나흐체반 협정을 기반으로 설립된 튀르크어사용국가협력위원회(The Cooperation Council of Turkic-Speaking Countries)가 OTS의 전신이다. OTS 회원국의 총면적은 425만 ㎢, 인구는 1억 6,000만 명에 달한다. OTS는 경제, 정치, 국방, 안보, 교통, 교육, 문화, 관광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역사적·문화적 가치를 공유하고 상호 협력을 통한 회원국 간의 통합을 목표로 한다. 2021년 11월 12일 이스탄불에서 열린 제8차 정상회담에서 기관명을 현재 명칭인 튀르크어권국가기구(OTS)로 변경하였다.
- OTS는 정회원국 5개국과 옵저버국 3개국으로 구성되어있다. 정회원국은 아제르바이잔,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튀르키예, 우즈베키스탄이고, 옵저버국은 투르크메니스탄, 헝가리, 북키프로스터키공화국이다. 튀르키예 이스탄불에 본부를 둔 OTS는 국가원수 위원회, 외무 장관 위원회, 원로 위원회, 고위 관리 위원회, 사무국 등 5개 주요 기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튀르크 문화기구(TURKSOY), 튀르크 투자기금, 튀르크 문화유산재단 등 다양한 협력기구를 운영하고 있다.
☐ 경제, 환경, 디지털화 및 안보 관련 분야에서 협력 강화에 합의
◦ 제11차 OTS 정상회담 각국 정상들의 주요 발언 내용
- 샤브카트 미르지요예프(Shavkat Mirziyoyev) 우즈베키스탄 대통령은 가자지구를 둘러싼 인도주의적 위기를 포함하여 세계 안보 관련한 시급한 문제에 대해 언급하였다. 미르지요예프 대통령은 민간인을 표적으로 삼은 공격을 강하게 비난하며, 우즈베키스탄이 OTS 회원국으로서 인도주의적인 지원을 계속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 카심 조마르트 토카예프(Kassym-Jomart Tokayev) 카자흐스탄 대통령은 프랑스 국빈 방문 일정을 마친 후 OTS 정상회담에 참석하였다. 토카예프 대통령은 에마누엘 마크롱(Emmanuel Macron) 프랑스 대통령과의 회담에서 카자흐스탄-프랑스 간 에너지 및 자원 부문 파트너십을 강화할 것에 합의한 후 비슈케크를 찾아 OTS가 국가 간 금융 및 투자 분야에서 협력을 심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Recep Tayyip Erdoğan) 튀르키예 대통령은 가자지구 안정을 촉구하며, OTS가 지역 안보에 더욱 헌신할 것임을 밝혔다.
◦ ‘비슈케크 선언(Bishkek Declaration)’, 운송 부문 협력 강화 및 국제 분쟁에 공동 대응 합의
- 이번 회의에 참석한 각국 정상들은 운송 부문 협력이 튀르크 국가 간 무역과 경제 통합 촉진에 매우 중요하다는 데에 의견을 모았다. 도로, 철도, 항공 교통망을 포함한 인프라 연결성 개선 중심의 논의가 이루어졌으며, 중간회랑(Middle Corridor), 카스피해 관세 포털( Trans-caspian Customs Transit Portal)등 자국과 연결되는 교통 회랑의 효율성과 역량을 높이는 사업을 우선시하기로 합의했다.
- 운송 협력과 더불어 국제 분쟁에 대한 공조된 대응의 필요성을 다루었다. 회원국들은 지역에 영향을 미치는 지정학적 문제에 대해 통일된 입장을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인정하고, 국제 분쟁에 대한 공동 협의 및 행동을 위한 메커니즘을 구축하기로 합의하였다.
☐ 차기 의장국은 키르기스스탄
◦ 2024년 의장국 카자흐스탄의 성과
- 카자흐스탄은 ‘튀르크타임(TURKTIME)’이라는 모토 아래 2024년 의장국으로서의 소임을 성공적으로 달성한 것으로 평가된다. 카자흐스탄은 지역적 연대와 협력 체제를 강화하는 데에 기여했으며, 80개 이상의 권위있는 행사를 개최하며 법, 사회, 교육, 기술 및 산업 분야에서 국가간 협력을 더욱 강화하였다.
- 차기 의장국 키르기스스탄은 2025년 의장국으로서 모토를 ‘튀르크세계강화(Empowering the Turkic World)’로 정했다. 사디르 자파로프(Sadyr Zhaparov) 키르기스스탄 대통령은 경제통합, 지속가능성, 디지털 혁신, 안보를 우선시하는 포괄적인 비전을 2025년 의장국으로서의 목표로 제시했다.
< 감수 : 이평래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 >
* 참고자료
Kazinform, Foreign media on Kazakhstan: New path for French investments in Kazakhstan, Kazakhstan calls for enhanced collaboration in investment among OTS nations, 2024.11.10.
Daily Sabah, Turkic states mark 15th anniversary of their major collective, 2024.10.3.
Hurriyet Daily, Empowering the Turkic World: Highlights from the 11th Summit of the Organization of Turkic States, 2024.11.11.
Astana Times, President Tokayev Advocates Economic Integration, Digital Progress at OTS Summit, 2024.11.6.
DARYO, OTS summit in Kyrgyzstan adopts Turkic World Charter, 2024.11.6.
KUN, OTS summit key highlights: Strengthening security cooperation, boosting economic ties and unity among Turkic nations, 2024.11.8.
[관련정보]
키르기스스탄, 제11차 OTS 정상회의 개최 (2024.11.08)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 및 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이전글 | [전문가오피니언] 몰도바의 인구 고령화 원인과 대응책 제언 | 2024-11-07 |
---|---|---|
다음글 | [이슈트렌드] 카자흐스탄 대통령, 프랑스 국빈 방문...에너지 및 자원 협력 강화 | 2024-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