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이슈&트렌드

[이슈트렌드] 에티오피아, 탄자니아 전력 수출로 동아프리카 에너지 허브로 부상

에티오피아 EMERiCs 2025/01/24

자료인용안내

자료를 인용, 보도하시는 경우, 출처를 반드시 “ EMERiCs 아프리카ㆍ중동 ”로 명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 에티오피아, 탄자니아 전력 수출 개시 

o 탄자니아와 최종 전력망 시험 가동 실시 
- 아셰비르 발차(Ashebir Balcha) 에티오피아전력공사(Ethiopian Electric Power) 최고경영자는 탄자니아와의 전력망 연결을 위한 최종 시험 가동이 진행 중이라고 언급하였으며, 이는 에티오피아가 지역 에너지 허브로 도약하기 위한 핵심 단계로 평가된다. 에티오피아는 이미 수단, 케냐, 지부티에 전력 수출을 성공적으로 진행해왔으며, 이번 탄자니아 수출은 전력 수출망 확대를 위한 에티오피아의 의지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국내 절차 등 규제 승인 직후 본격적인 전력 수출이 시작될 예정이며, 현재 진행 중인 전력망 시험은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한 필수 단계로 평가된다.
- 탄자니아 전력 수출은 케냐를 경유하는 기존 고압 송전 인프라를 활용하여 초기 100메가와트(MW) 규모로 시작될 예정인데, 이는 '동아프리카 전력 고속도로 프로젝트'(East Africa Electric Highway Project)의 일환으로, 역내 에너지 연결성 및 협력 강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o 지역 에너지 허브 구축 전략의 일환으로서의 탄자니아 전력 수출
- 에티오피아의 탄자니아 전력 수출 결정은 동아프리카 지역 에너지 강국으로 자리매김하려는 전략적 목표와 맥을 같이한다. 에티오피아는 수력발전을 중심으로 한 풍부한 신재생에너지 자원을 활용하여 동아프리카 지역의 증가하는 전력 수요를 충족시키는 동시에 경제 성장과 지역 통합을 촉진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 에티오피아는 국경을 넘어선 전력망 확대를 통해 동아프리카 에너지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확대하고, 보다 통합되고 안정적인 지역 에너지 네트워크를 구축하고자 한다. 이러한 전력 수출 전략은 경제적 이익 창출뿐만 아니라 인접국과의 외교 관계 강화를 통한 지역 안정과 협력 증진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전력 수출의 경제 및 외교적 효과

o 전력 수출 수익, 국내 전기요금 보조금으로 활용
- 에티오피아전력공사에 따르면, 2023 회계연도 1/4분기 전력 수출 수익이 3,150만 달러(약 4,200억 원)를 상회한 것으로 집계되었는데, 이러한 수출 수익은 국내 전력 생산 비용을 상쇄하고 에티오피아 가정과 기업에 저렴한 전기 공급을 가능하게 하는 보조금 재원으로 활용되고 있다.
- 아울러, 수출 수익의 국내 전기요금 보조금 활용을 통해 에티오피아는 경쟁력 있는 전기요금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는 국내 경제 활동 촉진과 산업 성장 지원으로 이어지고 있다.

o 외환 확보 및 지역 외교 강화 효과
- 전력 수출은 에티오피아의 경제 안정과 발전에 필수적인 외환 확보에 기여하고 있다. 전력 수출을 통한 외환 유입은 에티오피아의 외환보유고를 강화하여 경제적 변동성에 대한 완충 역할을 하고 있다.
- 또한, 에티오피아의 주요 외교 수단으로 작용하여 동아프리카 국가들과의 관계 강화에도 기여하고 있는데, 실제 인접국에 안정적이고 경쟁력 있는 가격의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에티오피아는 동아프리카 에너지 분야의 핵심 국가로서의 위상을 더욱 강화해 나가고 있다.

☐ 동아프리카 전력망 확장 및 협력 현황

o 에티오피아-케냐 전력 고속도로의 지역 에너지 협력 기여
- 에티오피아-케냐 전력 고속도로는 10년간의 개발 기간과 12억 달러(약 1조 6천억 원)의 투자를 거쳐 지난해 공식 개통되었다. 이 인프라는 양국 간 원활한 전력 수급을 가능하게 하여 국가 전력망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제고하고 있다.
- 아울러, 동아프리카 지역의 통합 전력망 구축을 위한 광범위한 계획의 일환으로, 국가 간 전력 교역과 통합을 촉진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o 에티오피아의 전력망 확장 계획 및 전망
- 에티오피아는 증가하는 국내외 전력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전력망을 적극 확장하고 있으며, 특히 케냐를 경유하는 기존 송전선을 활용하여 남수단과 소말리랜드(Somaliland)로의 송전 인프라 확장을 계획하고 있다.
- 에티오피아 에너지 부문은 그랜드 에티오피아 르네상스 댐(GERD: Grand Ethiopian Renaissance Dam) 등 인프라 및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투자를 통해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되는데, GERD가 완전 가동될 경우, 에티오피아의 전력 생산역량이 대폭 증가하여 국내외 전력 수요를 보다 효과적으로 충족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 감수 : 이진상 한국뉴욕주립대학교 교수>

* 참고자료
ENA, Ethiopia Expanding Power Export Network, Bolstering Regional Integration, 2025.1.3
Fanabc, Ethiopia’s renewable energy sector presents massive opportunity for foreign investors – Envoy, 2024.12.25.
Horseed Media, Ethiopia Set to Export Power to Tanzania in Historic East African Energy Deal, 2024.11.22.
CNN, The $1 billion ‘electricity highway’ that allows Ethiopia and Kenya to share their power, 2024.12.19.
2 Merkato.com, Ethiopian Electric Power Earns Over USD 31.5 Million from Electricity Exports, 2025.1.4

[관련정보]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