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이슈&트렌드

[이슈트렌드] 아프리카 신재생에너지 시장의 급성장과 주요국 투자 현황

아프리카ㆍ 중동 일반 EMERiCs 2025/01/31

자료인용안내

자료를 인용, 보도하시는 경우, 출처를 반드시 “ EMERiCs 아프리카ㆍ중동 ”로 명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 아프리카 신재생에너지 시장의 성장 가속화 및 투자 확대 

o 신재생에너지 기술 발전과 비용 절감으로 인한 투자 매력도 증가 
- 최근 신재생에너지 관련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비용 절감으로 아프리카 신재생에너지 시장의 성장이 가속화되고 있다. 특히 배터리 저장 기술의 경우 최근 수년간 가격이 약 60% 하락하며, 태양광 발전과 연관된 저장 시설의 경제성이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프리카 전역에서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의 실행 가능성을 높이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 아울러, 주요 투자기관들의 아프리카 신재생에너지 시장 진출이 활발해지고 있다. 노르웨이 에너지 기업 스캐텍(Scatec)은 아프리카 전역에서 태양광 발전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며, 파워젠 리뉴어블 에너지(PowerGen Renewable Energy)는 국제 투자자들과 협력하여 아프리카 전역에 120메가와트(MW) 규모의 신재생에너지 발전 및 저장 시설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o 국제개발기구와의 협력을 통한 투자 확대 
- 아프리카개발은행(AfDB)의 지속가능에너지기금(SEFA), 덴마크 개발도상국투자기금(IFU), EU의 전력화금융이니셔티브(ElectriFi) 등 국제개발기구들이 아프리카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이들 기관은 민간 기업들과의 협력을 통해 나이지리아, 시에라리온, 콩고민주공화국 등에서 다양한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 이러한 투자는 아프리카의 전력 보급률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 약 5억 7천만 명이 전력 접근성이 부족한 상황이며,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를 통해 2025년까지 약 6만 8천 가구에 전력을 공급하고, 7천 개 이상의 기업에 저렴한 에너지를 제공할 것으로 전망된다.

☐ 남아프리카공화국과 이집트의 신재생에너지 정책 및 투자 현황

o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신재생에너지 전환 가속화  
- 남아프리카공화국은 노후화된 전력망과 석탄화력발전소의 잦은 고장으로 인한 전력난 해소를 위해 신재생에너지 도입을 확대하고 있다. 남아공 국영 전력회사 ESKOM에 따르면, 전력망 장애 발생일수가 2021년 80일에서 2023년 320일로 급증했으며, 이에 대응하여 정부는 신재생에너지독립발전사업자조달프로그램(REIPPPP)을 통해 대규모 태양광 발전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 또한, 최근 정부는 제7차 공개입찰을 통해 총 1.76기가와트(GW) 규모의 8개 태양광 프로젝트 및 8개의 배터리 저장 프로젝트를 선정했으며, 이는 총 442억 란드(약 3조 2천억 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통해 약 6,971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전망된다.

o 이집트의 신재생에너지 산업 육성 
- 이집트는 급증하는 전력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신재생에너지 발전을 확대하고 있다. 엠버(Ember)의 분석에 따르면, 이집트의 전력 소비량은 2010년 대비 2023년 50% 이상 증가한 219TWh를 기록했으며, 이에 대응하여 신재생에너지 발전용량을 2010년 3.4GW에서 2023년 6.7GW로 확대했다.
- 특히, 녹색 수소 및 암모니아 생산에 주력하고 있는데, 노르웨이 에너지 기업 스캐텍은 이집트 현지 기업들과 협력하여 100MW 규모의 전해조와 270MW 규모의 태양광 및 풍력 발전 시설을 결합한 녹색 수소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며, 생산된 녹색 암모니아는 독일로 수출될 예정이다.

☐ 아프리카 신재생에너지 시장의 주요 도전 과제와 해결 방안

o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추진의 주요 장애요인 
- 아프리카 신재생에너지 시장은 코로나19 이후의 공급망 혼란과 금리 인상 등으로 인한 프로젝트 자금조달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아프리카 전력시장이 소규모이기 때문에 대규모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를 통한 ‘규모의 경제’ 달성이 어려우며, 정부나 국영 전력회사의 신뢰성 문제로 인해 자금조달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존재한다. 
- 아울러, 대규모 태양광 및 풍력 프로젝트의 경우 주로 농촌 지역에 위치하게 되어 토지 사용을 둘러싼 경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지역 주민들의 생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o 시장 활성화를 위한 해결 방안 모색
-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성공 사례를 바탕으로, 예측 가능한 입찰 프로그램과 적절한 보증 체계의 구축이 필요하다는 평가가 제기되고 있다. 또한, 소규모 프로젝트에 특화된 비즈니스 모델의 개발도 진행되고 있는데, 스캐텍의 자회사인 릴리스(Release)는 10-30MW 규모의 재배치 가능한 발전 시스템을 통해 카메룬, 차드, 라이베리아, 시에라리온 등 소규모 전력시장에서 성과를 거두고 있다.
- 아울러, 지역사회와의 상생을 위해 프로젝트 입지 선정, 소유구조, 지역사회 개발 투자, 기술 개발, 고용 기회 창출, 현지 조달, 지역사회 에너지 공급 등 다양한 측면에서의 이익공유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 감수 : 이진상 한국뉴욕주립대학교 교수>

* 참고자료
African Business, Solar chief: African renewables set to benefit from declining costs, 2025.1.17
Solar Quater, PowerGen and InfraCo Africa Partner with Global Investors to Launch 120 MW Renewable Energy Platform Across Africa, 2025.1.18.
Global Energy, African countries bring 2.5 GW of solar panels into operation, 2025.1.18.
Ewind, Large-scale wind and solar projects in Sub-Saharan Africa, 2025.1.6.
PV Magazine, South Africa picks bidders for 1.76 GW of solar, battery projects, 2024.12.27 

[관련정보]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