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이슈&트렌드

[이슈트렌드] 발트 3국, 러시아 전력망서 완전 독립... EU 전력망 편입으로 에너지 안보 체제 완성

중동부유럽 일반 EMERiCs 2025/02/14

자료인용안내

자료를 인용, 보도하시는 경우, 출처를 반드시 “ EMERiCs 중동부유럽 ”으로 명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 발트 3국, BRELL 전력망으로부터 완전 독립

o 소련 시대 전력망 체제 막 내려
-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이하 발트 3국)는 2025년 2월 8일부터 9일까지 이틀간 러시아·벨라루스와 연결된 BRELL(Belarus, Russia, Estonia, Latvia, Lithuania) 전력망으로부터 완전 분리 작업을 완료하였다고 발표했다. 이는 2001년 BRELL 협정 체결 이후 24년 만에 이루어진 조치로, 발트 3국은 EU 대륙 전력망(Continental European Network, CEN)에 완전히 편입되었다.
- 이번 전환은 단순한 기술적 프로젝트를 넘어 EU 통합의 핵심 이정표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빌뉴스에서 개최된 '에너지 독립의 날' 기념식에서 "오늘은 위협과 협박으로부터의 자유를 의미하는 역사적인 날"이라고 선언하였으며, 안제이 두다 폴란드 대통령은 "발트 지역의 안보와 회복력을 강화하는 진정으로 상징적인 순간"이라고 강조하였다.

o 발트 3국의 에너지 독립 추진 과정과 러시아 영향력 차단 노력
- 발트 3국은 2004년 EU와 NATO 가입 이후에도 소련 시대의 에너지 인프라로 인해 러시아에 대한 의존이 지속되었다. 2007년 EU 대륙 전력망 가입을 공식 선언하였으나, 러시아가 중앙 관제소를 통해 전력망 주파수를 제어하는 등 에너지 시스템 운영에 있어 러시아의 영향력이 계속되었다.
- 발트 3국은 2022년 5월 이후 러시아와 벨라루스로부터의 전력 구매를 전면 중단을 선언하였다. 리투아니아의 케스투티스 부드리스 외무장관은 "리투아니아가 러시아산 석유와 가스를 완전히 거부한 첫 번째 유럽 국가였으며, EU 전력망과의 동기화는 발트 3국 모두에게 큰 성과이자 러시아의 에너지 조작 시대의 종말을 의미한다"고 강조하였다. 전문가들은 이번 전환으로 발트 3국이 에너지 분야에서 러시아의 영향력을 완전히 차단하게 되었다고 평가했다.

□ 발트 3국, 러시아의 위협에 대한 포괄적 대응 체계 구축

o 전력망 전환 중 러시아발 안보 위협 증가
- 발트 3국은 전력망 전환 과정에서 러시아의 사이버 공격, 물리적 기반시설 타격, 허위정보 유포 등 다양한 형태의 위협을 겪었다. 에스토니아 사이버보안센터장 게르트 아우바르트는 "러시아가 불확실성을 조성하기 위해 전력망 전환 기간을 이용할 수 있다"고 경고하며, 24시간 감시 체제 가동과 함께 에스토니아 사이버 부대의 즉각적 동원 체계를 구축했다고 밝혔다.
- 특히 최근 18개월간 발트해 해저 케이블이 11차례 이상 손상되는 사건이 발생하였으며, 2023년 12월에는 러시아의 '그림자 함대' 소속 선박이 에스토니아-핀란드 간 주요 전력 연결선 'Estlink 2'를 손상시킨 것으로 의심되고 있다. 이에 NATO는 '발트 센트리'라는 새로운 해상 순찰 임무를 개시하여 해저 케이블과 파이프라인에 대한 보호를 강화하고 있다.

o EU 및 NATO와의 협력을 통한 안보 대책 강화
- EU는 2014년 이후 '유럽 연결 기금'을 통해 발트 3국의 전력망 전환 사업에 12억 유로 이상의 보조금을 지원하였다. 이는 총 사업비용 16억 유로의 약 75%에 해당하는 규모로, EU 차원의 강력한 지원 의지를 보여준다. 또한, EU는 발트 3국의 전력망 전환을 위한 40개 이상의 개별 인프라 프로젝트를 조율하고 있다고 알려졌다.
- 리투아니아는 폴란드와의 주요 전력 연결 지점인 알리투스 변전소의 경비를 민간 업체에서 공공안보국으로 이관하였으며, 드론 방지 시스템과 물리적 방호 장벽을 추가로 설치하였다. 라우리 래네메츠 에스토니아 내무장관은 "에너지 기업들과 정부 기관들이 전력 인프라 보호 강화와 사이버 위협 대응 능력 향상을 위한 추가 조치를 이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 EU의 지원과 발트 3국의 에너지 자립을 위한 기술·인프라 구축 현황

o 전력망 안정화를 위한 첨단 기술 도입 및 인프라 구축
- 발트 3국은 EU 전력망과의 안정적 연결을 위해 주요 송전선, 변압기, 동기 조절기 등 40개 이상의 인프라 프로젝트를 완료하였다. 일례로 리투아니아-폴란드 간 'LitPol Link'를 통해 EU 전력망에 연결된 것으로 알려졌다.
- 리투아니아는 전력망 안정화를 위해 50MW 규모의 배터리 저장 시스템 4기를 설치하였으며, 이는 0.15초 이내에 작동하여 주파수 조정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알려졌다. 또한 리투아니아 에너지부는 2028년까지 800MWh 규모의 에너지 저장 시설을 추가로 구축하기 위해 1억 200만 유로 규모의 지원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다.

o 재생에너지 확대와 연계한 에너지 자립 전략 추진
- 발트 3국은 2018년 60% 이상이었던 화석연료 발전 비중을 현재 28%까지 감축하였으며, 전체 전력 소비량의 72%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하고 있다. 특히 풍력 발전이 전체 전력 소비량의 28%를 차지하고 있으며, 세 국가 모두 육상 및 해상 풍력 발전을 위한 적극적인 노력을 하고 있다.
- 에스토니아는 풍력 발전소의 레이더 간섭을 최소화하는 새로운 시스템을 도입하여 풍력 발전소 설치 가능 지역을 전체 국토의 10%에서 60% 이상으로 확대했다. 라트비아는 400MW 규모의 육상 풍력 발전 사업에 대한 환경 허가를 신속히 처리하고 있으며, 국가 소유 산림 내 추가 프로젝트를 계획하고 있다. 리투아니아는 풍력 발전을 통한 산업 전력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요코 알렌더 에스토니아 기후부 장관은 "이는 독립과 안보를 위해 지불할 가치가 있는 비용"이라고 강조하였다.

<감수 : 김철민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

* 참고자료
DW, Baltic states finally turn off Russian electricity, 2025.02.07.
BBC, Baltic states begin historic switch away from Russian power grid, 2025.02.08.
Wind Europe, Power shift: How the Baltic Synchronisation strengthens Europe’s energy security, 2025.02.10.
Politico, Baltics brace for cyberattacks as they depart Russian electricity grid, 2025.02.06.
Energy Storage News, Battery storage helps Baltics disconnect from Russia’s BRELL grid and connect to Europe, 2025.02.11.
The Parliament, Power play: Baltic states cut Russian grid connection, 2025.02.06.
NATO ENSEC COE, BRELL Desynchronisation Assessment, 2025.02.06.
Friedrich Naumann Foundation, “The era of Russian energy manipulations is over”, 2025.02.07.
DIIS, Baltic States’ synchronization with the continental grid, 2025.02.06.
BBC, Baltic states unplug from Russia and join EU power grid, 2025.02.10.
European Council on Foreign Relations, Synch and swim: How escaping Russia’s electricity grid can strengthen Baltic energy security, 2025.02.07.
Caspian News, Baltic States Cut Energy Ties with Russia, Join EU Power Grid, 2025.02.11.

[관련정보]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