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이슈&트렌드

[이슈트렌드] 이란, 경제 위기 속 재무부장관 해임...美 경제 제재 가중 속 對서방 전략 변화 기조

이란 이혜빈 EC21R&C 연구원 2025/03/07

자료인용안내

자료를 인용, 보도하시는 경우, 출처를 반드시 “ EMERiCs 아프리카ㆍ중동 ”으로 명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 이란 의회, 경제 위기 속 헴마티 재무부장관 해임

o 이란 의회, 압돌나세르 헴마티 재무부장관에 대한 불신임투표 가결
- 이란 의회는 2025년 3월 2일 압돌나세르 헴마티(Abdolnasser Hemmati) 재무부장관에 대한 해임안을 273명 중 182명의 찬성으로 가결하였다. 헴마티 장관은 ▲리알화 가치 폭락, ▲높은 인플레이션, ▲전반적인 경제 상황 악화 및 관리 실패 등의 이유로 불신임투표의 대상이 되었다. 이번 해임은 마수드 페제시키안(Masoud Pezeshkian) 이란 대통령 정부 출범 약 8개월 만에 이루어진 것으로, 이란 경제가 처한 심각한 위기 상황을 시사한다.
- 또한, 이번 결정은 국내 경제 위기 심화에 대한 정치적 대응으로, 국제 사회의 제재와 지정학적 긴장이 고조되는 가운데 경제적 해법을 찾지 못한 정부에 대한 불만이 표출된 것으로 분석된다. 일부 경제 분석가들은 해임 결정이 단기적으로는 시장 불안정성을 가중시킬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를 표명하고 있으며, 이란 법에 따르면 대통령은 최대 3개월 이내에 신규 재무부장관을 지명해야 한다.

o 핵심 경제 문제 해결과 국제 제재 대응 실패 지적
- 이란 의회는 특히 헴마티 장관이 생필품 및 의약품 가격 상승과 주택 비용 증가를 통제하지 못했으며, 외환 시장 안정화에도 실패했다고 비판했다.
- 이와 관련, 경제지표상 헴마티 장관 재직 기간 5개월 동안 인플레이션이 10% 감소했으나 여전히 35%라는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점과, 대외 무역 적자가 지속되는 상황이 재무부의 성과 미흡을 의미하는 증거로 지적되었다. 아울러, 식품, 의약품, 주거비 등 국민 생활과 직결된 부문의 가격 상승 역시 서민 경제에 심각한 타격을 주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 리알화 가치 폭락 등 이란 경제 위기 현황

o 이란 리알화, 미국 제재 이후 사상 최저치로 급락
- 이란 리알화는 2015년 1달러당 32,000리알(약 1,000 원)에서 페제시키안 대통령이 취임한 2024년 7월에는 584,000리알(약 2만 원)까지 하락했으며, 최근에는 1달러당 930,000리알(약 3만 2,000 원)까지 추가 하락하였다. 로이터 통신(Reuters)에 따르면, 리알화는 지난 8개월 동안 미국 달러 대비 가치가 약 50% 하락한 것으로 확인된다.
- 이러한 화폐 가치 하락은 이란 경제의 구조적 문제를 반영하는데, 2015년 핵 협정(JCPOA) 당시와 비교해 현재 리알화 가치는 약 97% 감소했다. 또한, 자본 유출과 달러화 수요 증가로 인해 중앙은행의 외환보유고 관리에도 압박이 가중되고 있으며, 이란 중앙은행의 개입에도 불구하고 환율 안정화에 실패함에 따라 수입 의존도가 높은 필수품에 대한 가격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다.

o 높은 인플레이션과 생필품 가격 급등으로 국민 생활고 심화
- 이란의 인플레이션은 최근 수년간 지속적으로 두 자릿수를 유지하고 있으며, 특히 식품과 주택 부문에서의 인플레이션이 전체 평균을 상회하고 있다. 이란 통계청에 따르면 2025년 기준 도시 지역의 주거비용은 전년 대비 40% 이상 상승했으며, 기본 식품 가격은 지난 6개월간 약 3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의약품과 의료 장비 가격의 급등은 취약계층의 의료 접근성을 저하시키고 있다.
- 이란의 경제 위기는 특히 중하위 계층에게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소득 불평등 심화와 중산층 붕괴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란 노동부의 통계에 따르면 실질 임금은 지난 3년간 약 25% 감소했으며, 청년 실업률은 25%를 상회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와 더불어, 2017년 이후 경제적 어려움으로 촉발된 시위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이란 지도부에게 경제 안정화는 정치적 안정을 위한 최우선 과제로 지목되고 있다.

☐ 미국의 제재 강화와 이란의 대응 방안

o 트럼프 대통령의 '최대 압박' 정책 재개로 이란 경제 압박 가중
- 이란의 경제 위기의 핵심 원인 중 하나로 미국의 對이란 제재가 지목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미국 대통령은 지난 1월 재집권 이후 이란에 대한 '최대 압박(maximum pressure)' 정책을 재개하고 이슬람 공화국에 대한 규제를 더욱 강화하고 있는데, 특히 미국의 원유 수출 차단 정책은 이란 경제의 주요 외화 수입원을 직접적으로 위협하고 있다. 실제, 최근 이란의 원유 수출량은 제재 이전 대비 크게 감소하였으며, 비공식 경로를 통한 우회 수출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이다.
- 이러한 미국 제재의 경제적 영향은 광범위하게 나타나고 있다. 美 제재 이후 이란의 1인당 GDP는 2010년 수준으로 후퇴하였으며, 국제 금융 시스템 접근 제한으로 외국인직접투자(FDI)가 제재 이전 대비 약 80% 이상 감소한 것으로 확인된다. 국제통화기금(IMF)에 따르면 이란 경제는 2024년 1.4% 성장에 그친 것으로 추정되며, 2025년에는 대외 여건 악화로 0.5% 이하의 성장률이 예상된다.

o 이란 외교부장관 사임...對서방 전략 변화 기조
- 미국의 제재가 강화되는 상황 속, 지난 2015년 이란 핵협정의 핵심 인물이었던 모하마드 자바드 자리프(Mohammad Javad Zarif) 전 외교부장관이 사임하였다. 자리프 전 장관은 2015년 이란과 서방 강대국들 간의 핵협정(JCPOA) 체결 과정에서 주도적 역할을 담당했던 인물로, 국제 외교 무대에서 이란의 입장을 대변하는 주요 인사로 평가된 바 있다.
- 일부 전문가들은 자리프 전 장관의 사임이 트럼프 대통령이 이란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는 상황에서 이란의 對서방 전략 변화 기조를 의미한다고 분석하였다. 특히, 페제시키안 대통령이 대선 당시 서방과의 관계 개선 및 제재 해제를 공약으로 내세웠던 것과는 대조적으로, 자리프 전 장관의 사임은 이란 정부가 당초 목표했던 대외 정책 노선의 변화를 의미하는 것으로 관찰된다.

o 지역 협력 강화와 국제 연대를 통한 제재 우회 전략 추진
- 이란은 美 제재 대응 전략으로 유라시아경제연합(EAEU), 브릭스(BRICS), 상하이협력기구(SCO) 등 여타 지역 기구들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중국 및 러시아와의 경제적 유대 관계를 심화하는 데 주력하고 있으며, 2023년 체결된 중국-이란 25년 협력 협정과 러시아와의 전략적 파트너십은 서방 제재의 영향을 완화하기 위한 핵심 전략으로 지목되고 있다.
- 아울러, 이란은 제재 우회를 위한 경제 다각화와 비(非)달러 무역 체계 구축에도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특히, 석유 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비석유 부문 수출 증진, ▲국내 생산 역량 강화를 통한 수입 대체, ▲지역 국가들과의 양자 통화 스왑 협정 체결 등의 정책을 추진 중이다. 또한, 이란 중앙은행은 국내 금융 시스템의 독립성을 강화하기 위해 현지 결제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으며, 암호화폐를 활용한 국제 거래 방안도 모색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전문가들은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서방의 강력한 제재와 글로벌 금융 시스템 접근 제한이 지속되는 한 경제적 회복에는 상당한 제약이 따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감수 : 김은비 국방대학교 교수>

* 참고자료
Al Jazeera, Iran’s economy minister impeached as inflation rises, currency falls, 2025.03.02.
Euro News, Economy minister fired as Iran's rial falls to nearly one million to the US dollar, 2025.03.02.
Euro News, Iran confirms its nuclear programme was discussed between US and Russia, 2025.03.03.
Times of Israel, Iranian finance minister fired amid spiraling economic crisis, 2025.03.02.
AP News, Iran’s parliament fires minister of finance over plummeting rial, mismanagement, 2025.03.02.
Voice of America, Iran's parliament ousts economy minister over economic mismanagement, 2025.03.02.
The Cradle, Iran sacks economy minister as US sanctions persist, crisis worsens, 2025.03.02.
Modern Diplomacy, Iran’s Political Shift the Global Impact of Zarif’s Resignation, 2025.03.06.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