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이슈&트렌드

[이슈트렌드] 몰도바-유럽자유무역연합(EFTA) FTA 전면 발효...상호 시장 접근성 강화 및 경제협력 확대 기대

몰도바 이혜빈 EC21R&C 연구원 2025/04/04

자료인용안내

자료를 인용, 보도하시는 경우, 출처를 반드시 “ EMERiCs 러시아ㆍ유라시아 ”로 명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 몰도바-유럽자유무역연합(EFTA) 자유무역협정 체결 배경

o 몰도바-EFTA 자유무역협정 체결 과정 및 의의
- 몰도바-유럽자유무역연합(EFTA: European Free Trade Association) 자유무역협정(FTA: Free Trade Agreement)은 지난 2023년 6월 27일 리히텐슈타인 샨(Schaan)에서 도린 레케안(Dorin Recean) 몰도바 총리 및 두미트루 알라이바(Dumitru Alaiba) 몰도바 경제개발디지털화부 장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정식 서명(2025년 4월 1일 전면 발효)되었으며, 동 협정은 양측 간 경제협력 관계를 공고히 하고 몰도바 제품의 새로운 수출 시장을 개척하기 위한 중대한 이정표로 평가됨. 특히, 몰도바는 협정 체결을 통해 투자 유치 및 고용 창출, 수출 증대, 상업 파트너 다양화, 경제 안정성 확보, 유럽 시장으로의 통합 강화 등을 기대하고 있음.
- 양측 간 FTA 협상은 2017년 11월 체결된 협력에 관한 공동선언(Joint Declaration on Cooperation)을 바탕으로 추진되었으며, 2021년 3월부터 2023년 3월까지 5차례의 정식 협상 라운드와 다수의 실무 협의를 통해 최종 타결된 바 있음. 레케안 총리는 EFTA와의 협정이 몰도바와 서방 국가 간 경제 관계를 공고히 하고 국제 협력을 촉진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함.

o 단계적 발효 과정 및 주요 내용
- 몰도바-EFTA 자유무역협정은 회원국별로 단계적으로 발효되었는데, 2024년 9월 1일 아이슬란드를 시작으로, 2024년 11월 1일 노르웨이, 2025년 4월 1일 스위스 및 리히텐슈타인에서 발효되며 EFTA 4개국-몰도바 간의 FTA가 전면 시행됨. 
- 동 협정은 ▲상품 및 서비스 무역, ▲투자, ▲지식재산권, ▲무역 원활화, ▲지속가능한 발전 등 광범위한 영역을 포괄하고 있음. 특히, 몰도바는 GDP의 약 8%를 차지하는 농산물의 對EFTA 수출에 대한 관세가 인하되었으며, EFTA 국가들로부터의 산업제품 수입에 대한 모든 관세를 철폐하는 등 양측 간 시장 접근성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전망됨.

□ 자유무역협정을 통한 양측 시장개방 효과 및 주요 수출입 품목

o EFTA-몰도바 간 시장 개방 및 특혜 관세 혜택
- 몰도바-EFTA 자유무역협정 발효로 특히 스위스의 對몰도바 수출품 중 약 98.5%가 무관세 혜택을 받게 되며, 이는 스위스 제품의 對몰도바 시장 접근성 및 경쟁력을 강화할 것으로 전망됨. 또한, 몰도바 기업들 역시 EFTA 4개국 전체 시장에 무관세 또는 낮은 관세율로 수출할 수 있게 되어, 약 1,500만 명 규모의 EFTA 시장에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확보함.
- 동 협정은 단순한 관세 철폐를 넘어 양측 간 비관세 장벽 감소, 경쟁 및 무역 촉진 등의 사안도 포괄하고 있는 바, 양측 간 경제 협력을 더욱 발전시킬 것으로 전망됨. 또한, 이번 협정을 통해 몰도바-EFTA 간 전자상거래(e-commerce)와 관련된 신규 규정이 도입되었으며, 이는 EFTA-몰도바 간 디지털 무역 확대를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됨.

o 주요 수출입 품목 및 교역 동향
- 몰도바의 對EFTA 시장 수출 유망 품목으로는 와인 및 증류주, 신선 과일(포도, 사과, 자두, 체리 등), 천연 꿀, 해바라기유, 포장재, 의류 및 신발 등이 있음. 또한, 최근 몰도바의 히터 부품 수출의 약 31%가 스위스, 노르웨이, 아이슬란드, 리히텐슈타인 시장을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이번 협정을 통해 이러한 교역 관계가 확장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됨.
- 최근 5년간 EFTA-몰도바 간 상품 교역은 약 38% 이상 증가하여 현재 약 8,700만 유로(약 1,400억 원)에 달한 것으로 확인됨. 특히, 지난 2023년 기준 스위스는 약 5,600만 스위스 프랑(약 940억 원) 규모의 제품을 몰도바에 수출하였으며, 몰도바로부터 약 2,200만 스위스 프랑(약 370억 원) 가치의 상품을 수입한 바 있음.

□ 몰도바-유럽 경제 통합 가속화 및 향후 협력 전망

o FTA 체결의 시사점 및 몰도바의 유럽 경제 통합 가속화 가능성 
- 몰도바는 다양한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도 신규 수출 시장 진출 기회를 모색해왔으며, 지난 2023년 EFTA와의 자유무역협정 체결은 몰도바와 서방 국가 간 경제 관계를 공고히 하고 국제 협력을 촉진하는 계기가 된 바 있음. 이번 EFTA와의 성공적인 FTA 발효는 몰도바가 글로벌 무역 시장에서 공정 무역 원칙을 준수하고 투명하고 예측 가능한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는 점을 시사하는 것으로 평가됨.
- 한편, 일부 전문가들은 몰도바-EFTA 자유무역협정이 단순히 양측 간의 경제 관계를 진전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같은 지정학적 도전에 대응하여 몰도바의 유럽 및 글로벌 경제 구조로의 통합도 지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함.

o 장기적 경제협력 전망 및 프리미엄 시장 진출 기회
- EFTA 회원국 기업들은 몰도바와의 이번 FTA를 기반으로 몰도바 시장에서 새로운 기회를 모색하고 입지를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몰도바 역시 세계에서 가장 번영한 시장 중 하나로 평가받는 EFTA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기회를 확보함. 한편, 일부 전문가들은 몰도바-EFTA 자유무역협정이 양 지역 간 추가적인 경제 협력을 촉진할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함.
- 알라이바 장관은 이번 협정을 통해 몰도바 기업들이 EFTA의 고품질 상업 환경에 진출할 수 있게 되었다고 설명하며, 특히 높은 가격의 프리미엄 제품을 구매하려는 소비자들에 대한 접근성이 제고되었다고 부연함. 이는 몰도바 수출업체들에게 큰 성장 잠재력을 제공하고 국가 경제에 상당한 이익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됨. 

< 감수 : 이평래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 >

* 참고자료
Customs Support Group, New FTA Between EFTA and Moldova Coming Into Effect, 2025.03.30.
Moldova Live, Moldova Gains Full Access to EFTA Markets Under Free Trade Agreement, 2025.04.01.
Central Europe Report, Moldova's EFTA Trade Deal Now Active, 2025.04.01.
European Free Trade Association, EFTA–Moldova free trade agreement now in force for all Parties, 2025.04.01.
Info Tag, MOLDOVA'S FREE TRADE AGREEMENT WITH EFTA COUNTRIES ENTERS INTO FULL FORCE AND EFFECT, 2025.04.01.
Moldova 1, New Free Trade Agreement between the European Free Trade Association and the Republic of Moldova comes into effect, 2025.04.01.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