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문가오피니언

[전문가오피니언] UAE의 경제 전환: 석유 중심 경제에서 지속가능성 중심의 경제로

아랍에미리트 Usman Khalid United Arab Emirates University Associate Professor 2025/04/14

자료인용안내

자료를 인용, 보도하시는 경우, 출처를 반드시 “ EMERiCs 아프리카ㆍ중동 ”으로 명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서론

아랍에미리트(UAE)는 2000년대 초 이후 신흥 경제국으로 급부상하여 풍부한 석유 자원을 바탕으로 실질적인 경제 발전을 이룩한 ‘젊은 국가(young nation)’이다. 그러나, 이러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2014년부터 최근까지 이어진 글로벌 석유 가격의 불안정성은 UAE의 재정 지속가능성뿐만 아니라 경제 다각화 목표 및 생산성까지 위협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 UAE는 2016년 파리기후협약(Paris Climate Agreement)을 비준하고 국가 전략 내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를 통합하여 기후변화 대응 및 완화 정책을 도입하고 있다. 이와 관련, 정책 입안자들은 수십 년간의 경제 다각화 경험*을 재평가하여 국가 경제를 지속가능성과 회복력 중심의 경제로 전환하고자 한다.

*아랍에미리트는 1990년~2000년대 초부터 두바이를 중심으로 비석유 분야(관광, 무역, 금융 등)에 대한 투자를 확대

실제, 최근 UAE 공공정책은 탄화수소 부문과 관련된 경제 활동 확대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전통적 다각화(traditional diversification)’에서 ‘지속가능한 다각화(sustainable diversification)’와 ‘경제 회복력(economic resilience)’이라는 광범위한 목표로 전략적 방향성을 재정립하고 있는 것으로 관찰된다. 이러한 변화는 석유 의존도를 감축하고, 다각화 정책에 지속가능성을 통합시키는 포괄적인 전략의 일환으로 분석된다.

UAE, 다각화 전략의 일부 성공에도 높은 석유 의존도 지속

UAE 내 주요 도시들의 다각화 전략은 각 지역별 특성에 따라 상이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두바이(Dubai)는 석유 및 가스 매장량이 감소함에 따라 1980년대 이후 무역, 부동산, 물류, 관광, 국제 금융 허브로 부상하였으며, 최근에는 스마트 시티와 교육 중심지로 다각화 전략을 확장하였다. 반면, 풍부한 석유 매장량을 가진 수도 아부다비(Abu Dhabi)는 1990년대까지 석유 중심 경제를 운영하였으나, 이후 정보통신기술, 석유화학, 신재생에너지 등의 부문에 중점을 두었다. 또한, ‘낮은 법인세’와 ‘자유로운 노동 및 무역 정책’을 핵심 경제 모델로 지정, 부패 척결 및 정부 효율성 증진 등을 통해 현지 거버넌스 지표를 개선하고 외국인직접투자(FDI) 및 다국적 기업 유치에 주력하였다.1) UAE는 이러한 주요 도시들의 다각화 전략을 기반으로 국내총생산(GDP) 내 석유 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을 약 30%까지 감축(기존 50~60%)하는데 성공하였으나, 여전히 경제 활동의 상당 부분을 석유 부분에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며, 이는 UAE의 탈탄소화 경제 목표 달성에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다.

이러한 석유 의존성은 UAE 경제 복잡성 지수(ECI: Economic Complexity Index)*에서도 확인되는데, 하버드 대학(Havard University)의 경제 복잡성 지수 보고서(2022)에 따르면 UAE는 경제 복잡성 순위에서 133개국 중 62위(ECI 약 0.02)에 불과해, 상대적으로 제한적인 수출 기반을 갖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한 국가가 얼마나 다양하고 정교한 상품을 생산하고 수출할 수 있는지를 측정하는 지표
             
<그림 1. 2022년 주요 국가별 경제 복잡성 지수(상위 10개국 및 GCC 국가 비교)>
              
출처: Atlas of Economic Complexity, 2022 (Harvard University's Growth Lab) 

지속가능한 경제 발전으로의 전환

한편, 상기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UAE의 최근 경제 다각화 전략의 발전은 지속가능한 경제로의 전환을 위한 기회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아랍에미리트 대학교(United Arab Emirates University) 연구진에 따르면, 최근 UAE는 ①석유 가격 변동성 증가, ②정치적 안정성, ③환경 우려 증가 ④과학기술 투자 확대 등의 요인을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경제로의 전환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관찰된다.

①석유 가격 변동성 증가 정책 입안자들은 석유 중심의 UAE 경제가 미국의 셰일 오일(Shale Oil) 발견 및 생산량 급증, 2014년 이후 석유 가격의 지속적인 하락 등 빈번한 외부 충격에 노출됨에 따라 장기 경제 전략을 재고하고 있다.

②정치적 안정성 UAE 정부는 높은 정치적 안정성과 강력한 대중 지지를 기반으로 경제 다각화를 지원하기 위한 대대적인 제도 및 정책 개혁을 추진하고 있다.

③환경 우려 증가 지구 온난화에 대한 우려 증가와 2016년 파리기후협약 출범 이후 촉발된 글로벌 에너지 시장의 중요한 구조적 변화(지속가능성 중점)로 석유에 대한 과도한 의존에서 벗어나야 할 필요성이 부상하였다. 이와 관련, UAE는 지난 2016년 ‘기후변화환경위원회(Climate Change and Environment Council)’를 설립하였으며, 공공, 민간, 학계 부문 간의 협력을 촉진하기 위해 두 개의 산하 기관을 출범하였다. 이러한 이니셔티브들은 민간 부문 활동을 정부의 환경 전략과 일치시키고 기후 변화와 지속가능성에 대한 연구를 가속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들은 특히 UAE의 ‘국가 기후변화 계획 2017-2050(National Climate Change Plan 2017-2050)*’과 ‘녹색 의제 2015-2030(Green Agenda 2015-2030)**’ 등 주요 기후 이니셔티브를 추진하는 데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기후 변화 대응 역량 강화를 통한 저탄소·기후 회복력 있는 국가로의 전환을 목표로 하는 이니셔티브
**에너지 효율성, 친환경 기술, 녹색 일자리 창출 등을 통해 UAE를 지속 가능한 경제로 전환하기 위한 이니셔티브

④과학기술 투자 확대 최근 UAE는 과학기술 투자 중심의 지속가능한 발전 전략으로의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UAE는 지난 10년간 한국, 홍콩, 중국, 일본 등 아시아의 혁신적 글로벌 리더들과 양자 기술, 원자력 에너지, 항공우주, 인공지능 분야의 파트너십 네트워크를 구축해오고 있으며, 이는 UAE가 지난 수년간 서방에 집중되었던 외교 정책에서 전환하여 극동 지역을 중심으로 새로운 경제 외교와 소프트 파워 전략을 추진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한편, 지난 2021년 국제연합(UN) 지속가능발전 보고서(Sustainable Development Report)에 따르면, 2021년 UAE의 SDGs 점수는 70.2로 지역 평균(67.1)을 상회하였다. 특히 빈곤 퇴치 및 양질의 교육 등의 분야에서 주목할만한 성과를 기록하였으나, 환경 지속가능성과 관련된 다수 분야에서는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UAE가 경제적 초점을 재조정하는 데 상당한 진전을 이루었지만, 완전히 지속가능하고 다각화된 경제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회복력 있는 경제 구축을 위한 핵심 동력

최근 코로나19 팬데믹 및 지정학적 불안정 등의 글로벌 보건 및 경제 위기는 경제 회복력의 중요성을 부각시켰다. 회복력 있는 경제를 구축하는 것은 단순히 다각화, 지속가능한 발전,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달성으로 이루어질 수 없으며, 동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경제·금융 관리, ▲위기에 대한 탄력적인 대응 전략 수립 등의 핵심적인 역량이 필요하다. 

아울러, 기술적 역량 역시 경제 회복력의 중요한 기반으로 지목된다. UAE는 지난 위기에서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을 구축하고 고급 정보 시스템을 채택, 신속한 디지털 전환을 이루어냈으며, 이를 기반으로 비즈니스, 교육, 정부 서비스의 연속성을 유지하였다. 또한, 당국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해고된 노동자들을 신속하게 재흡수하였는데, 이러한 노동 시장의 유연성은 해외 노동자들이 노동력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UAE 경제에 핵심적인 역량으로 평가된다.

결론 및 시사점

1980년 이후 UAE의 경제 다각화 전략 추진 과정에서 나타난 성과 및 한계점은 단순한 석유 의존도 감축 및 경제 다각화 등의 노력이 지속가능하거나 회복력 있는 경제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점을 시사한다. 실제, UAE가 지난 40년간 추진한 다각화 전략은 경제를 탄화수소 가치 사슬에서 완전히 분리시키지 못했으며, 이는 국가의 성장 잠재력과 장기적 지속가능성을 제한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황 속, 최근 정책 입안자들은 ▲기후변화의 적응 및 완화 가속화, ▲국가 예산에서 석유 수입 의존도 감축, ▲녹색 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고부가가치 서비스 지원 등의 이니셔티브에 중점을 두고 있다.

결론적으로, 다각화와 지속가능한 발전은 국가 회복력 구축의 핵심 동인 중 하나로 평가되나, 진정으로 회복력 있는 경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기술 혁신을 촉진하고 노동 시장의 유연성을 제고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UAE의 정책 변화는 이러한 분야에 대한 잠재력을 보여주지만, 빠르게 변화하는 글로벌 환경에서 견고한 회복력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관찰된다.

<참고자료>
El Anshasy, A. A., & Khalid, U. (2022). From diversification resistance to sustainable diversification: lessons from the UAE's public policy shift. Management & Sustainability: An Arab Review. https://doi.org/10.1108/MSAR-06-2022-0025
Gelb, A. (2010). Economic diversification in resource rich countries. Center for Global Development, 1-23.
Hausmann, R., Hidalgo, C. A., Bustos, S., Coscia, M., & Simoes, A. (2014). The atlas of economic complexity: Mapping paths to prosperity. Mit Press.
https://s3.amazonaws.com/sustainabledevelopment.report/2021/2021-sustainable-development-report.pdf
National Committee o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UAE and the 2030 Agenda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xcellence in Implementation," National Committee on SDGs Report (2017), https://sustainabledevelopment.un.org/content/documents/20161UAE_SDGs_Report_Full_English.pdf.
Soto, R., & Haouas, I. (2016). Has the UAE escaped the oil curse? Understanding and Avoiding the Oil Curse in Resource-Rich Arab Economies, 373-420.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Report 2021, Cambridge University Press: DOI 10.1017/9781108992411
The Atlas of Economic Complexity, Country & Product Complexity Rankings, 2022, https://atlas.hks.harvard.edu/rankings

The English version of the original article can be downloaded below.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