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전문가오피니언

인도의 무역 현황과 장기 수출입 정책

인도 이순철 부산외국어대학교 러-인 통상학부 조교수 2012/07/09

■ 인도 상무부는 14차 경제개발 5개년 개획의 일환으로 2022년부터 2027년에 걸친 장기 수출입 정책을 내놓았다고 인도 Economic Times가 7월 7일 발표함.
 
- 동 장기계획에 따르면, 인도의 현재 대 세계 교역 규모를 1%대에서 2021-22년 2.5%, 2027년에는 3%까지 증대한다는 목표를 발표함.
 - 상품수출은 현재보다 20% 이상 증가한 2021년 1조 2,000억 달러를 달성한다는 목표임.
 - 향후 수출에 가장 큰 공헌을 할 부문은 제조업 부문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그 중 석유관련 제품의 수출이 10%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함.
 - 한편 섬유제품, 가죽, 수제품, 카펫 등의 제품의 수출은 지속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평가하고 있음.
 - 향후 수출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는 품목은 엔지니어링, 전자, 보속 및 귀금속, 화학제품 및 의약품임.
 - 한편 향후 주요 수출입 국가는 아시아 및 유럽 국가들이며 미국은 장기적으로 수출은 감소하겠지만 여전히 중요한 수출대상국가로 평가함.

 

■ 실제로 인도의 수출은 제품 수출은 2001년 이후 상품 수출은 621% 증가하였으며 서비스 수출은 775% 증가함.

 - 상품 수출도 많이 증가하였지만 서비스 수출의 증가율이 더 큰 것이 주요 특징임.
 - 지역별로는 아시아와 유럽의 수출이 증가하였으며 북미 수출은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그리고 아프리카 및 남미에 대한 수출도 증가하고 있음.
 - 주요 수출 품목은 석유제품이며 엔지니어링 제품의 수출도 크게 증가함. 보석과 귀금속의 수출은 감소하고 있으며 특히 섬유제품의 수출은 크게 감소하고 있음.


 

 

■ 인도의 수입은 석유 및 원유가 가장 중요한 품목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향후 전체 수입의 30% 이상 차지할 것으로 전망함.
 
- 다행히 인도의 석유제품 수출이 증가하면서 석유 및 원유에 대한 무역수지는 점차 감소할 것으로 예상함.
 - 금은, 자본재의 수입 역시 중요한 수입 품목으로 유지될 것이며 앞으로 동 분야의 수입자유화가 확대되면서 금은의 수입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 앞으로 수입은 동북아를 포함한 아시아로부터 70% 이상 차지할 것이며 특히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함.
 - 유럽으로부터의 수입은 감소할 것이며 특히 유럽으로부터 금과 은의 수입이 감소될 경우 유럽으로부터의 수입은 더욱 감소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 또한 이번 장기무역정책에는 앞으로 상무부는 다자간 무역협정, 지역 간 무역협정, 양자 간 무역 협정 등을 구분하여 무역정책을 추진할 것임을 밝히고 있음.
 
- 도아 개발 어젠다(DDA)는 2019년까지 모두 마무리하고 2029년에는 발효한다는 계획도 포함되어 있음.
 - 또한 현재 파키스탄의 최혜국대우에 대한 명확한 입장을 정리하지 못하면서 정체되어 있는 남아시아 자유무역 협정(SAFTA)도 그때까지는 모두 정리한다는 계획임.
 - 현재 ASEAN, 일본, 한국, 중국 등과 경제협력 협정을 체결하고 있는데 한국이 향후 통일될 경우 한국과는 새롭게 무역협정을 개정한다는 계획도 포함되어 있음.
 - 또한 앞으로 무역관련 보고는 미국 달러, 인도 루피, 그리고 중국 위엔 화로 표시한다는 계획임.

 

■ 인도의 무역이 인도경제에 중요한 역할을 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지만 여전히 상품보다는 서비스에 의존할 것으로 평가됨.
 
- 즉 앞으로 인도경제는 제조업보다는 서비스 부문에 계속 의존할 것으로 예상됨.
 - 이에 따라 제조업을 바탕으로 한 최종소비재에 대한 수입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 그리고 원유 등 연료수입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인도수입 및 루피 가치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됨.
 - 또한 앞으로의 무역은 유럽 및 미국보다는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국가들과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됨.

 

■ 따라서 한국은 인도와 지속적으로 최종소비재 중심으로 무역을 확대하면서도 인도경제가 구조적으로 크게 변화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대인도 수출전략을 구축할 필요가 있음.
 
- 특히 중국과의 경쟁을 고려하여 대인도 수출전략을 구축할 필요가 있음.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