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이슈&트렌드

최근 인도네시아 루피화 평가 절하의 원인과 전망

인도네시아 김유미 KIEP 연구원 2013/03/18

■ 2012년부터 인도네시아 화폐가 지속적으로 평가절하되고 있음(그림 1 참고).


- 주변 동남아 국가의 화폐 가치는 2012년도 미국의 제 3차 양적완화정책으로 절상되었으나 인도네시아 루피아(IDR; Indonesia Rupiah)만 평가절하됨.
ㅇ 2013년 1월 기준, 1달러대비 필리핀 페소(Peso)는 전년 대비 6.9% 상승, 말레이시아 링깃(Ringgit)도 전년 대비 3.6%, 태국의 바트(Baht)화도 전년대비 3.1% 상승함.
ㅇ 1달러 대비 인도네시아 루피아만 예외적으로 전년 대비 5.9% 하락함.



그림 1. 인도네시아 환율(IDR-USD) 추이

                자료: 인도네시아 중앙은행(BI).



■ 인도네시아 루피아의 평가 절하는 자국 내 외국자본 유출 및 무역수지 적자에 기인한 것임.


- 2012년 초에는 세계 경제 침체와 인도네시아의 광물 수출세 도입으로 인해 인도네시아 내 외국자본이 상당히 유출되었기 때문임.
ㅇ 광물 및 자원이 인도네시아 전체 수출에 차지하는 비중은 약 42%임.
- 이후로도 중국의 경제성장 둔화로 중간재 수출이 감소하여 무역수지 적자를 기록하면서(그림 2 참고) 루피아 약세가 가속화됨.


그림 2. 인도네시아 분기별 무역수지 추이(2012년)
                                                                                 (단위: 백만 달러)

                자료: CEIC. IMF.



■ 인도네시아 중앙은행(BI)이 간접적인 환율조정을 한 바 있으나 루피아 약세가 지속됨에 따라 수입품 가격이 증가하여 물가상승 및 국내소비 감소가 예상됨.


- 인도네시아 중앙은행이 인도네시아 석유가스공사(Pertamina)를 통해 달러 매입 등의 간접적인 환율 시장 개입을 시도하였지만 루피아 약세가 지속됨.
- 지난 1월에 발생한 홍수에 따른 피해와 수입품 가격 증가로 2013년 1월 기준, 인도네시아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동기대비 4.6% 증가함.
ㅇ 2011년도 인도네시아 인플레는 3%대임.
- 인도네시아 GDP에 민간소비가 차지하는 비중(55%)이 높기 때문에(그림 3 참고) 인플레에 따른 소비위축이 발생할 시, 인도네시아 경제성장에 타격을 줄 수 있음.



그림 3. 인도네시아 GDP대비 민간소비 비중(2012년 기준)
                                                                                     (단위: %)

                자료: 인도네시아통계청(BPS).


■ SC은행의 보고서에 따르면 루피아 약세가 2013년 상반기까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에 인도네시아 중앙은행은 세계 경제위기에 따른 충격을 최소화하고 경제성장을 지속시킬 수 있는 통화정책을 시행해야 함.

<자료: Oxford Analytica, Global Insight, 현지 언론지, 인도네시아 중앙은행 등>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