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특집이슈
Home 월간특집이슈
중국 전략적 신흥 산업 및 선도 기업 분석 자료를 제공합니다.
[4월 월간특집] 디스플레이 기술 혁신으로 글로벌 TV 시장 2위 굳히는 中 TCL
안희정 소속/직책 : EC21R&C 연구원 2025-04-30
자료인용안내
자료를 인용, 보도하시는 경우, 출처를 반드시 “CSF(중국전문가포럼)”로 명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 TCL은 1981년 창립된 중국의 대표 전자기업으로, 2009년 TCL CSOT 설립을 통해 디스플레이 산업에 진출하며 기술 기반 기업으로 전환함. 이러한 수직계열화 전략으로 원가 및 기술 경쟁력을 동시에 확보해 글로벌 TV 시장 점유율 2위(12.6%)를 달성함. 미니 LED 및 퀀텀닷 분야에서 혁신을 주도하며 75인치 이상 대형 TV와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프리미엄 시장을 성공적으로 공략함. 2024년 상반기 매출은 전년 대비 30.3% 증가했으며, 특히 미니 LED TV 글로벌 출하량은 122.4%나 급증함. 미래 전략으로는 AI 기술 도입과 첨단 디스플레이 기술 개발을 추진 중이며, 스포츠 마케팅을 통한 브랜드 인지도 제고와 글로벌화·현지화를 결합한 접근법으로 지속적인 성장을 도모하고 있음.
◦ 기업 개요 및 발전 역사
- TCL(TCL Technology Group Corporation, TCL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은 1981년 설립된 중국의 대표적인 전자·가전 제조 기업으로, 본사는 중국 광둥성 후이저우시(广东省惠州市)에 위치함. 창업자는 리둥성(李东生) 회장이며 1985년 TCL통신설비유한회사 설립, 1986년 TCL 브랜드 창립 등을 거쳐 단계적으로 기업을 성장시킴.
- 1990년대 TCL은 전화기와 TV를 중심으로 중국 시장에서 급성장하며 업계 선두주자로 부상하였음. 2002년 TCL그룹주식유한회사가 정식 설립되었고, 2004년 선전증권거래소에 상장함. 같은 해 알카텔(Alcatel)과 합자 휴대폰 기업을 설립하며 글로벌 시장 진출을 본격화했으며, 2007년부터 다각화된 산업 그룹 전략을 실시하여 멀티미디어, 통신, 가전, 부품, 부동산 및 금융 투자, 물류 및 서비스 등 6대 사업 부문을 포괄하는 종합 기업으로 성장함.
- TCL은 사업 영역을 점차 확장하여 스마트 TV, 스마트폰, 에어컨 등 다양한 소비자 가전제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반도체 디스플레이 기술 분야에서 특히 강점을 보이고 있음. TCL은 글로벌 경영을 통해 현재 사업 영역이 전 세계 160개 이상의 국가와 지역에 걸쳐 있으며, 46개의 연구개발 센터와 33개의 제조 기지를 보유하고 있음.
- 전 세계 누적 서비스 사용자 수는 9억 6,000만 명에 달하며, 특히 TV 사업에서 글로벌 시장 점유율 2위를 차지하는 등 세계적인 영향력을 갖춘 기업으로 성장함. 2023년 TCL 브랜드 TV의 글로벌 판매량 시장 점유율은 12.5%를 기록했으며 2024년 1분기에도 12.6%의 시장 점유율로 글로벌 2위 자리를 유지함.
- TCL의 성장 과정에서 주목할 만한 전략적 전환점은 2009년 반도체 디스플레이 산업 진출임. TCL은 TCL CSOT를 설립하여 디스플레이 산업의 업스트림 영역에 진출함으로써 수직 계열화 전략을 본격화함. 이는 단순 제조기업에서 기술 기반 기업으로의 전환을 의미하는 중요한 변곡점이었으며 이후 TCL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함. 특히 패널 자체 생산 능력을 확보함으로써 원가 경쟁력과 기술 혁신 속도를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었고 글로벌 시장에서 삼성, LG 등 기존 선도 기업들과 정면으로 경쟁할 수 있는 발판이 됨.
- TCL은 기술 혁신에 지속적으로 투자하여 최근 6년간 총 600억 위안(약 11조 7,288억 원) 이상의 연구개발 투자를 단행함. 현재 연구개발 인력은 2만 명 이상으로, 누적 특허 수는 11만 건 이상, 그 중 PCT 국제특허가 1만 8,000건에 달함. 특히 미니 LED(Mini LED) 기술은 글로벌 TV 경쟁 구도를 변화시키는 데 기여하고 있으며 TCL CSOT는 인쇄 방식 OLED 및 마이크로 LED 등 분야에서도 선도적 위치를 확보함.
◦ 사업 구조와 기술 역량
- 현재 TCL의 사업 구조는 크게 스마트 디스플레이, 반도체 디스플레이, 신재생 태양광 에너지의 세 가지 핵심 산업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음. 스마트 디스플레이 사업은 TCL실업(TCL实业)을 통해, 반도체 디스플레이와 신재생 태양광 에너지 사업은 TCL과학기술(TCL科技) 산하 기업을 통해 주로 추진되고 있음. 특히 디스플레이 기술 분야에서는 수직 계열화 전략을 통해 강력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음.
- 디스플레이 기술 분야에서 TCL은 자체 연구개발 및 제조 능력을 바탕으로 업계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함. 특히 TCL의 ‘퀀텀닷 프로(Quantum Dot Pro)’ 기술, 미니 LED 백라이트 기술, 고주사율 화면, 화질 칩 등 첨단 디스플레이 기술을 통해 화질의 한계를 지속적으로 극복하고 있음. 또한 고품질 오디오 시스템을 탑재하여 선진 오디오 디코딩 기술과 정밀한 오디오 튜닝을 통해 몰입감 있는 시청 경험을 제공함.
- 2005년 TCL은 그룹 차원에서 산업연구소를 설립하여 선도적 핵심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 역량을 강화함. TCL은 산업연구소를 통해 미니 LED 기술 관련 기초 연구를 시작하였고, 2014년부터 그룹 내 시너지를 창출함. TCL CSOT는 VA 패널 분야의 연구개발 성과를 토대로 HVA 패널을 출시하여 미니 LED 기술의 장점을 더욱 극대화하고 다양한 혁신 제품의 개발을 촉진함. 동시에 TCL실업은 판구실험실(盘古实验室) 설립 및 업스트림·다운스트림 기업, 대학, 연구소와의 협력을 통해 소재, 설계에서 생산 전 과정을 아우르는 미니 LED 기술 연구개발 체계를 구축하고 발광 칩 기술, 백라이트 제어 알고리즘, 렌즈 설계 등 분야에서 끊임없는 혁신을 이루어냄.
- 이러한 선제적 전략으로 TCL은 미니 LED 및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의 선도자로 자리 잡음. 2023년 TCL CSOT의 TV 패널 시장 점유율은 글로벌 2위를 차지했으며 특히 55인치 이상 대형 제품의 출하량은 글로벌 1위, 게이밍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9분기 연속 글로벌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함. 같은 해 TCL은 미니 LED TV 판매량에서 글로벌 2위, 중국 1위를 달성했으며, 퀀텀닷 TV 판매량에서도 중국 1위를 차지함.
- TCL의 스마트화 기술도 업계를 선도하고 있음.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사용자를 위한 개인화된 추천과 스마트한 상호작용을 구현함. TCL이 개발한 스마트 상호작용 시스템은 사용자의 시청 습관에 대한 딥러닝과 지능형 분석을 통해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영상 콘텐츠를 추천하여 진정한 '개인화 콘텐츠 추천'을 실현함. 또한 음성 제어, 제스처 인식 등 다양한 상호작용 방식을 지원하여 사용자와 TV 간의 스마트한 소통을 실현함.
- 제품 디자인 측면에서도 TCL은 사용자 경험의 지속적인 최적화와 개선에 중점을 두고 있음. 사용자 요구와 시장 트렌드를 깊이 이해함으로써 사용자의 요구와 선호도에 맞는 제품을 지속적으로 출시하고 있음. 외관 디자인은 심플하고 세련된 스타일로 현대 가정의 미적 트렌드에 부합하며 다양한 크기의 제품 라인업으로 서로 다른 사용 환경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킴.
◦ 시장 성과와 경영 성과
- 2023년 TCL TV는 글로벌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며 선두적 위치를 유지함.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옴디아(Omdia)에 따르면, TCL TV의 판매량 시장 점유율은 12.5%로 글로벌 2위를 차지했음. 특히 TCL 98인치 TV는 글로벌 판매량 1위를 기록함. 북미 시장에서는 TCL TV 출하량이 전년 대비 15.8% 증가하였고 미국에서의 소매 판매량은 2위를 차지함. 라틴아메리카에서는 브라질에서 TV 판매량 시장 점유율 3위를 기록함. 또한 TCL 에어컨 출하량은 글로벌 4위에 올랐음.
- 2024년 1분기에도 TCL TV의 글로벌 판매량은 계속 증가했음. 옴디아의 최신 데이터에 따르면, TCL은 12.6%의 시장 점유율로 글로벌 2위를 유지함. 중국 국내 시장에서는 티몰(Tmall)과 징둥(JD.com) 플랫폼에서 모두 판매량 1위를 차지함.
- 2024년 상반기 TCL전자(TCL电子)의 매출은 454억 9,400만 홍콩 달러(약 8조 3,381억 원)로 전년 대비 30.3% 증가했으며, 조정 후 모회사 순이익은 6억 5,400만 홍콩 달러(약 1,198억 원)로 전년 대비 147.3% 급증함. 사업별로 보면, 주력 부문인 TV, 태블릿 휴대폰, 스마트 상업용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디스플레이 사업의 수익은 전년 대비 21.3% 증가하여 301억 3,500만 홍콩 달러(약 5조 5,231억 원)를 기록함. 상반기 TCL TV는 글로벌 출하량이 1,252만 대에 달하며 전년 대비 9.2% 증가했고, 평균 판매 가격도 전년 대비 12.8% 상승함.
- 특히 대형 TV 전략과 미니 LED 기술 제품이 기업 성장을 견인함. 2024년 상반기 75인치 이상 TV 글로벌 출하량은 전년 대비 34.5% 증가했고 미니 LED TV 제품군의 글로벌 출하량은 전년 대비 122.4% 급증하여 업계 전체 성장률(74.3%)을 크게 상회함. 미니 LED 기술은 더 뛰어난 명암비와 밝기, 색 재현율을 제공하여 프리미엄 시장에서 소비자들의 호응을 얻고 있으며, 특히 해외 시장 출하량이 전년 대비 124.7% 증가하는 등 TCL의 고부가가치 제품 전략의 핵심으로 자리 잡음.
- TCL의 글로벌 확장 전략은 지역별 차별화된 접근을 통해 성과를 올리고 있음. 특히 유럽 시장에서는 상위권 유통 채널에 대한 투자를 강화하고 스포츠 마케팅을 통해 2024년 상반기 유럽 출하량을 전년 대비 40.1% 증가시키는 성과를 거둠. 시간적 측면에서 보면, TCL TV의 글로벌 출하량 시장 점유율은 2016년 5.8%에서 2024년 상반기 13.3%로 상승하여 글로벌 2위로 도약하는 성과를 이루어냄.
◦ 미래 발전 전망과 도전
- TCL 창업자 리둥성 회장은 ‘2024 TCL 글로벌혁신기술대회(TIC2024)’에서 글로벌 기술 경쟁 심화, AI 주도의 산업 변화 등 수많은 도전 속에서 다섯 가지 기술 발전 전략을 견지해야 한다고 강조함. 이는 △장기적 관점 유지 및 전략적 계획 역량 강화, △원천 기술 혁신을 통한 핵심 분야에서의 선도적 도약, △공학적 비즈니스 마인드로 기술 혁신의 상용화 가속, △제품 구조 개선 및 중고급 시장 공략, △글로벌 혁신 자원을 활용한 기술 생태계 구축 등으로 요약됨. 리둥성 회장은 "기업의 기술 혁신에는 지름길이 없으며, 자체 연구개발, 우수 인재 확보, 지속적인 투자만이 유일한 길"이라고 강조함.
- 이러한 전략을 기반으로 TCL은 AI와 첨단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적극적인 혁신을 추진 중임. TCL은 'TCL 전방위 AI 통합 솔루션(TCL全领域全场景AI应用解决方案)'을 통해 연구개발부터 제조, 운영에 이르는 제반 과정과 소비자 경험에 이르기까지 AI 기술을 전면 도입할 계획임. 또한 디스플레이 기술 측면에서는 인쇄 방식 OLED, 저전력 LTPO 등 첨단 기술 개발에 주력하여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음.
- 글로벌 TV 시장에서 TCL과 하이센스(Hisense) 같은 중국 기업들은 삼성, LG 등 한국 기업들과 경쟁 관계에 있음. 대형 TV 시장에서 TCL은 80인치 이상 시장 점유율에서 삼성을 넘어섰으며, 2024년 3분기 초대형 TV 시장에서의 점유율이 전년 동기 대비 9%에서 18%로 약 2배 증가함. 삼성 등 한국 브랜드들이 운영 시스템과 부가 소프트웨어 등 부가가치 서비스로 새로운 이익 성장점을 모색하는 가운데, TCL 역시 소프트웨어 역량 강화에 주력하여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에서 모두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함.
- 글로벌 마케팅 전략 측면에서 TCL은 브랜드 영향력 강화를 위해 스포츠 마케팅에 적극 투자하고 있음. 2024년 UEFA 유로(UEFA European Football Championship), 코파 아메리카(Copa América) 등 주요 스포츠 행사에 공식 파트너로 참여하고 국가대표팀 및 선수들과의 협력을 통해 글로벌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음. 이는 단순한 브랜드 노출을 넘어 VAR(Video Assistant Referee) 디스플레이 기술 지원 등을 통해 기술력을 함께 과시하는 기회로 활용되고 있음.
- TCL의 장기적 성장을 위한 핵심 전략은 글로벌화와 현지화의 결합임. 베트남, 폴란드, 멕시코, 브라질 등지에 제조 기지를 설립하고 지역별 인재 채용을 통해 현지화를 실현하는 한편, 글로벌 기준의 품질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차별화된 경쟁력을 구축하고 있음. 리둥성 회장의 "현지에 뿌리를 내려야만 경쟁력도 단단해질 수 있다"는 철학이 이러한 전략의 핵심임.
이전글 | 이전글이 없습니다. | |
---|---|---|
다음글 | [차이나인사이트] 금융 5대 과제 수행으로 신질생산력 발전 지원 | 2025-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