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민국과 베트남의 관계는 1992년 외교관계 수립 이후 정치, 경제 등 제반분야에서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를 구축하고 있음 □ 정무관계
○ 베트남 인사 방한 2013.07. 응우옌 신 흥 국회의장 2014.01. 응우옌 쑤언 푹 부총리 2014.10. 응우옌 푸 쫑 당서기장 2014.12. 응우옌 떤 중 총리 2017.12. 팜빙밍 부총리 겸 외교장관 2018.12. 응우옌 티 낌 응언 국회의장 2019.11. 응우옌 쑤언 푹 총리
○ 한국 인사 방문 2013.01. 강창희 국회의장 2013.09. 박근혜 대통령 국빈방문 2015.03. 정의화 국회의장 2017.04. 정세균 국회의장 2017.05. 박원순 대통령 특사 2017.08. 양승태 대법원장 2017.11. 문재인 대통령(APEC) 2018.03. 문재인 대통령 국빈방문 2018.09. 이낙연 국무총리(쩐 다이 꽝 국가주석 조문) 2019.06. 김학용 한·베트남 의원친선협회장 □ 군사관계
○ 한국과 베트남은 1992년 수교 이래, 긴밀한 군사적 협력을 맺고 있지는 않음. ○ 1964년 9월 ~ 1973년 3월 5일까지 한국은 베트남전쟁에 6차례에 걸쳐 총 31만여 명을 파병함. 1975년 4월 30일 월남이 패망하기 직전 한국은 대사관을 철수. 출처 : 외교부 □ 영사관계
○ 1992년 12월 22일 외교관계 수립 ○ 공관 : 1992.12.22. 상주대사관 설치 - 박노완 대사(2019.10. 부임) - 응우옌 부 뚜(Nguyen Vu Tu) 대사(2017.3. 부임) ○ 정치, 경제 등 제반분야에서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를 구축하고 있음 ○ 한국의 무역흑자 100억불의 효자시장이며, 2012년도 누계 기준으로 베트남은 한국의 ASEAN내 최대 투자대상국임 출처 : 주한베트남대사관
□ 비고 : FTA 정보
○ 협상개시 : 2012년 9월 ○ 발효 : 2015년 12월 ○ 의의 : 한국의 제4위 투자국 ○ 2006년 한-ASEAN FTA 상품무역협정 타결, 2007년 FTA 상품협정 베트남 발효, 2008년 FTA 서비스 협정 베트남 발효, 2008년 FTA 투자협정 베트남 발효 ○ 2012년 9월 한-베트남 FTA 협상개시, 2015년 12월 발효 ○ 2013년 5월 RCEP(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 협상개시, 현재 협상진행중 출처 : 관세청 FTA 포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