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브리핑
미국, 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 중재할 계획
아제르바이잔 Radio Free Europe, Reuters 2023/03/22
자료인용안내
자료를 인용, 보도하시는 경우, 출처를 반드시 “ EMERiCs 러시아ㆍ유라시아 ”로 명시해 주시기 바랍니다.
☐ 미국 국무부 장관과 아르메니아 총리가 전화 통화를 함.
- 3월 20일 안토니 블링컨(Antony Blinken) 미국 국무부 장관과 니콜 파시니안(Nikol Pashinyan) 아르메니아 총리가 전화 통화를 함.
- 미국 국무부는 미국이 남코카서스 지역의 항구적이고 지속가능한 평화를 위해 일대일 대화와 외교를 지지하며, 무력적인 해결법에는 반대한다는 점을 이번 통화를 통해 분명히 했다고 발표함.
☐ 미국이 라친 회랑 봉쇄를 즉각 해제해야 한다고 주장함.
- 아르메니아와 나고르노-카라바흐(Nagorno-Karabakh)를 연결하는 유일한 통로인 라친 회랑(Lachin Corridor) 봉쇄와 관련하여 블링컨 장관은 즉시 라친 회랑의 통행이 재개되어이 한다고 밝힘.
- 파시니안 총리는 최근 아제르바이잔이 나고르노-카라바흐 문제를 두고 도발적인 언행을 계속한다며 우려를 표명함.
☐ 러시아 외무부 장관이 미국과 유럽의 남코카서스 지역 개입을 경계함.
- 3월 21일 모스크바(Moscow)에서 아라라트 미르조얀(Ararat Mirzoyan) 아르메니아 외무부 장관을 만난 세르게이 라브로프(Sergei Lavrov) 러시아 외무부 장관은 나고르노-카라바흐의 대표와 아제르바이잔 대표가 직접 나고르노-카라바흐 안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함.
- 라브로프 장관은 미국과 유럽이 남코카서스 안보 문제에 개입해 이 지역에서 러시아의 영향력을 지우려 한다고 덧붙임.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 및 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이전글 | 러시아-중국 정상, 우크라이나 평화안에 대해 논의 | 2023-03-22 |
---|---|---|
다음글 | 러시아, 2022년 재정 적자 2조 1,000억 루블로 추산 | 2023-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