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연구정보

한·베트남 FTA의 기대효과

베트남 - 기타 박지은 KITA 발간일 : 2015-05-06 등록일 : 2015-05-07 원문링크

한-베트남 FTA, 자동차부품/직물류의 원부자재와
소형 가전제품 등 수출길 활짝   

 - 올해 對베트남 수출은 18.3%(2015.1~3월) 증가, 

제3위 수출대상국으로 도약하며 중요성 더욱 커져 -   

 


   지난 해 12월 타결된 한-베트남 FTA가 5월 5일(화) 정식 서명되었다. 한-베트남 FTA 체결로 기존 한-아세안 FTA보다 개방수준이 높아지고 원산지 기준이 개선됨에 따라 우리의 베트남 수출이 크게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생산 단가가 중요한 차체의 부분품, 버스/화물차용 타이어 등의 자동차 부품(10~15%)과 부직포, 합성스테이플 섬유 직물(12%)의 관세가 단계적으로 철폐됨에 따라 우리 수출업체의 가격 경쟁력 향상이 기대된다. 또한 전기밥솥(20%), 믹서기/녹즙기(25%) 등 생활가전과 부품 시장이 개방되면서 우리 중소기업의 베트남 소비재 시장 진출 기회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한-베트남 FTA는 관세철폐와 함께 상품양허에 핵심요소가 되는 품목별 원산지기준(PSR: Product Specific Rule of origin)도 개선했다. 농수산식품/기계류는 수출 유망품목의 원산지기준이 완화되면서 원산지기준 충족이 쉬워졌고 베트남과의 무역이 활발한 섬유는 공정기준이 삭제됨으로써 증명방식이 간소화됐다. 뿐만 아니라 원산지증명서 제출 면제 조건을 기존 200달러에서 600달러로 상향함에 따라 소액 수출업체의 FTA 활용도 용이해질 전망이다.
 
   한편, 베트남은 우리의 4대 투자대상국(2014년)으로 대규모 투자를 통해 베트남 현지 진출이 가속화되고 있다. 베트남의 부품 소재 산업이 아직 취약하여 자체 조달이 쉽지 않기 때문에 우리의 對베트남의 중간재 수출 증가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향후 TPP, EU와의 FTA 타결, 아세안경제공동체(AEC) 출범 등에 따라 베트남을 생산거점으로 하는 외국인 투자가 확대 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일본, 미국 등 베트남 진출 외국 기업의 해외소싱에도 FTA를 활용하여 적극 대응할 필요가 있다.  

��������������������������������������������������������������������������������������������������������������������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