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연구정보

세계경제 전망 및 소버린 투자자의 신흥국 투자여건

인도ㆍ남아시아 일반 / 동남아시아 일반 국내연구자료 기타 - 국제금융센터 발간일 : 2015-04-30 등록일 : 2015-05-21

1. 세계경제 전망
ㅁ [선진국] 경제지표 부진 등으로 통화정책 완화 기조 지속 전망
    ㅇ (미국) 실업률 하락, 원유생산 증가 등 다수의 경기관련 지표가 개선되고 있으나 실질적인 경기
        회복을 의미하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시
    ㅇ (유로존) 경제지표 부진, 디플레이션 우려, 역내 국가간 경기 차별화 등으로 양적완화 시행
        지속 예상
ㅁ [신흥아시아] '08년 금융위기 이후 여타 지역에 비해 경기회복세가 두드러지고 있으나
    최근 들어서는 수출 부진 등 경기둔화 우려

    ㅇ (중국) 주택가격 상승세 약화 등 경기둔화 우려가 확대되는 한편 낮은 물가상승률 및 가계부채
         수준 등으로 인해 통화정책 완화는 지속될 전망

2. 소버린 투자자의 신흥국 투자 여건
ㅁ [신흥국 채권투자] 최근 신흥국 통화약세로 인한 투자수익률 하락에도 불구 여전히
    매력적인 투자처로 평가
 
    ㅇ 미 연준의 통화정책 완화 기조, 달러의 약세 전환, 유로존 경기회복 등에 미루어 신흥국 투자는
        계속될 필요
    ㅇ 신흥국 채권투자의 최근 10년간 수익률은 벤치마크 수익률 기준으로 EM Hard Currency
        Debt(6.2%), EM Local Debt(5.9%), EM Corporate Debt(5.5%), EM Local Currency(4.8%) 순
        - 이는 美 하이일드 채권투자 수익률(6.5%)보다는 낮으나 신흥국 주식 (2.7%), 글로벌주식
          (2.4%), 미국채권(2.2%), 미국주식(2.0%), 글로벌채권(1.6%) 투자수익률보다는 크게 높은 수준

3. 시사점
ㅁ 미국 금리정상화 시점 지연 등으로 달러약세 흐름이 나타나고 있어 소버린 자금의 투자
    행태 변화가 예상

    ㅇ 非달러화 가치상승으로 미국外지역 자산에 대한 수요 확대가 예상되며, 여타 지역에 비해
        성장세가 두드러는 신흥국에 대한 관심이 증대될 전망

�������������������������������������������������������������������������������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