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연구정보

아시아 신흥국의 인프라 현황 및 수요 추정

인도ㆍ남아시아 일반 / 베트남 / 인도네시아 / 필리핀 국내연구자료 기타 - 한국은행 발간일 : 2015-08-14 등록일 : 2015-08-21 원문링크

아시아 신흥국의 인프라 현황 및 수요 추정

(국제경제리뷰 제2015-14)

 

아시아 신흥국의 전반적인 인프라 수준은 중남미 신흥국보다 양호하나 지난 10여년간의 꾸준한 개선에도 불구하고 아직 선진국(G7)과 격차가 매우 큰 편임

o 전력은 선진국의 20%, 도로밀도는 선진국의 45%, 철도밀도는 선진국의 16%에 불과하며 급수 및 위생 인프라도 미흡

o 다만 통신 인프라는 유선에서 무선 중심으로 구조적 변화가 일어나면서 선진국의 21%에 불과한 유선 인프라와는 대조적으로 무선 인프라의 확충정도는 선진국을 상회

아시아 신흥국(인도, 인도네시아, 필리핀, 베트남)의 인프라가 경제성장 단계에 상응한 지를 부문별로 중국*과 비교하여 평가하고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확충수요를 추정해보면, 전력 인프라의 확충이 가장 시급한 것으로 나타남

* 중국은 최근 10년간(2004~14) 아시아 신흥국중 가장 높은 수준의 인프라 투자(연평균 GDP대비 13.7%)를 통해 경제발전과정에서 인프라 부족으로 인한 공급능력 제약을 상당부분 완화한 것으로 평가

o 전력 인프라의 확충수요는 GDP대비 11~34%에 달하며 현재 각국의 인프라 투자수준이 GDP대비 2~7%에 불과함을 감안하면 상당기간 성장 제약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음

o 또한 인도네시아, 필리핀은 도로, 철도 등 교통 인프라(GDP대비 1% 내외), 인도는 위생인프라(GDP대비 1.6%)가 미흡하여 물류비용 부담 등 경제적 손실이 큼

신흥국이 이러한 인프라 확충수요를 공적재원만으로 충족시키기에는 재정적인 한계가 있는 점에 비추어 향후 민간부문의 투자기회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

o 신흥국은 민자유치를 위한 관련 제도 정비 등 정책적 노력이 긴요하며 민관협력사업(PPP)을 통한 인프라 건설 경험이많은 선진국은 신흥국의 역량개발을 지원함

 

����������������������������������������������������������������������������������������������������������������������������������������������������������������������������������������������������������������������������������������������������������������������������������������������������������������������������������������������������������������������������������������������������������������������������������������������������������������������������������������������������������������������������������������������������������������������������������������������������������������������������������������������������������������������������������������������������������������������������������������������������������������������������������������������������������������������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