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연구정보

유라시아 경제연합의 확장과 한국의 투자·통상 대응 전략

러시아 국외연구자료 기타 박지원 KOTRA 발간일 : 2015-10-01 등록일 : 2015-10-14 원문링크

20151월 유라시아경제연합(EEU)이 정식으로 출범

5월 키르기스스탄의 가입으로 러시아, 벨라루스, 카자흐스탄, 아르메니아 등 총 5개국이 정식회원으로 참여한

경제공동체 구성

유라시아 지역 내 기존의 경제공동체와는 달리 장기적으로 유라시아연합(Eurasian Union)’이라는 통합체 구성을

목표로 하는 실효적 연합체의 성격

향후 유라시아 지역의 경제협력구도와 국제질서에 영향

EEU내 러시아의 경제적 구심력이 크게 작용

푸틴 집권이후 CIS 지역을 러시아 대외정책 구현의 핵심으로 삼고 지역 내 러시아의 경제적 영향력 복원을 주요

과제로 추진

러시아의 경제력이 다른 EEU 국가들을 압도

- 러시아와 EEU내 소국인 벨라루스, 아르메니아, 키르기스스탄 등은 경제 규모에서 큰 격차

�������������������������������������������������������������������������������������������������������������������������������������������������������������������������������������������������������������������������������������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