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연구정보

[산업] 미얀마에서 쌀 생산성 향상을 위한 재배기술

미얀마 국내연구자료 기타 김재현 /KIM, Jae-Hyun (제1)1 , 박홍규 (교신)2 , 정응기 /JEONG EUNG GI 3 , 구본일 /Bon-Il Ku 4 , 배희수 5 , 손종록 /Jong-Rok Son 6 , 이우문 /WooMoon Lee 7 , Daw San Mar Lar 8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발간일 : 2016-12-31 등록일 : 2017-06-07 원문링크

미얀마 쌀 수량성 증대를 위하여 2014년 우기와 2015년 건기 및 우기에 한국 벼 품종을 공시하여 시비량 및 파종량을달리하여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재식밀도 시험결과 2014년 우기재배에서는 영풍벼와Shwethweyin이 밀식에 따른 수량증가가 현저하였으나 다산 2 호는 재식밀도간 차이가 없었으며, 2015년 건기재배에서는 공시품종 모두 밀식에 의한 수량증가가 현저하였다. 2. 2015년 우기재배에서는 한국 품종은 밀식에 따라 수량이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Shwethweyin은 차이가 없었다. 다산2호는 우기에 수량성이 높으나 연차간 재식밀도간 수량 차이가 크며, 영풍벼는 건기에 비해 우기의 수량성이 높고 밀식재배에 따라 수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3. 시비량 시험결과 2014년 우기재배에서는 다산2호가 시비량 증가에 따른 수량증가가 현저하였으나 영풍벼와 Shwethweyin은차이가 없었으며, 2015년 건기와 우기 재배에서는 영풍벼에서 시비량 증가에 따라 쌀 수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4. 미얀마 품종인 Shwethweyin은 시비량 증가에 따른 수량성 차이가 크지 않았고, 한국 품종은 계절간 연차간 차이는있으나 시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수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한국 품종의 미얀마 재배적응성 시험을거쳐 선발하고, 우기 및 건기의 재배여건에 맞추어 재식밀도와 시비량을 조절하면 미얀마 품종 이상의 수량성을 올릴 수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