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연구정보

[철학] 인도철학에서 인과와 연기, 그리고 상의

인도 국내연구자료 학술논문 윤종갑 인도철학 발간일 : 2017-08-31 등록일 : 2017-12-01 원문링크

인도철학에서 인과(hetuphala)와 연기(pratītyasamutpāda), 그리고 상의(apekṣā paraspara)는 존재의 본질과 관계를 어떻게 규정할 것인가 하는 철학적 고민 속에서 나타난 것으로, 존재의 실체성과 관계가 깊다. 아트만(Ātman), 브라흐만(Brahman)과 같은 존재의 실체성을 강조하는 인도정통철학에서는 실체의 연속성이 중요하기 때문에 인과 개념으로서 존재의 본질과 관계를 파악하고자 한 반면, 존재의 비실체성을 강조하는 불교의 입장에서는 존재들 상호 간의 관계를 중요시 하는 연기와 상의 개념을 내세웠다. 그런데 설일체유부는 실체론적인 관점에서 연기를 해석하고자 했다. 나가르주나는 그의 주저 󰡔중론󰡕을 통하여 실체론적인 연기 해석을 비판하며 붓다가 제시한 연기설은 자성[실체]을 결여한 존재들 간의 상호 의존하는 상의의 관계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나가르주나의 󰡔중론󰡕에 나타난 인과와 연기, 그리고 상의에 대해 그 어원과 의미를 비교론적으로 고찰하였다.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