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연구정보

[정치/경제] 체코 정치경제동향

체코 국내연구자료 학술논문 한국무역보험공사 한국무역보험공사 발간일 : 2016-03-22 등록일 : 2018-03-09 원문링크

 ○ ‘13. 2월 사상 최초로 직접선거 실시, 사회민주당(CSSD) 전 당수 밀로시 제만이 5대 대통령으로 취임, 친EU 정책을 지지하며 ’17년까지 코로나 대신 유로화 도입 계획 추진 중

 ○ ‘14. 1월 조기총선 결과, 사회민주당(CSSD), 긍정당(ANO), 기독당(KDC-CSL)이 연립정부를 구성, 제만 대통령은 사회민주당 당수인 보후슬라브 소보트카 당수를 총리로 임명, 비교적 안정된 정국 유지 중

 ○ ‘12~’13년 수출부진 등으로 마이너스 경제 성장하였으나, ’13년 4분기부터 운송장비 및 기계 장비에 대한 투자 상승과 유럽 경기가 호전 시작에 따른 대외교역량 증가 등으로 경제가 회복세에 진입, ‘14년 2.0% GDP 성장률을 기록

    - 동국 재무부는 ‘14년 경제 성장의 중요 요인으로 정부 · 민간부문 투자 및 실업률 감소, 기업 수주 증가 등에 따른 민간 부문 소비의 증가로 분석

 ○ ‘15년 정부의 EU 기금 활용 투자 증진 계획 등에 힘입어 내수 주도의 점진적 성장세가 지속, ’15. 7월 동국 재무부는 GDP 성장률 추정치를 ‘15년과 ’16년 각각 2.7%, 2.5%로 발표

    - 단, 성장 요인이 낮은 원유 가격이나 재정 확장 정책과 같은 일시적 요소들이기 때문에 ‘17년, ’18년에는 성장 속도가 약간 더뎌질 것으로 추정

 ○ ‘15년 물가상승률 추정치는 0.3%, 실업률 추정치 5.7% 등 기타 거시 지표는 비교적 안정적, 재정적자도 EU의 국내총생산 3% 이내 제한 기준 충족

 ○ 전문가들은 최근 독일 자동차업체 폭스바겐의 디젤 사태에 따라 판매량 및 일자리 감소 등 자동차 산업 의존도가 높은 동국에도 일부 영향이 있을 것으로 예상

    - 동국은 GDP의 8% 이상을 자동차 산업이 차지하고 있으며, 폭스바겐 소유 브랜드인 스코다를 생산해 오고 있음. 끝.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