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연구정보

[정치] 통일대비 독일과 예멘의 통일헌법체제에 관한 법적 고찰

아프리카ㆍ 중동 기타 - 학술논문 박정배 법학논총 발간일 : 2015-01-31 등록일 : 2018-06-22 원문링크

한반도의 통일은 민주주의와 법치주의를 근간으로 하는 통일헌법의 완성에 그 본질이 있다. 통일헌법을 연구하는 데에 있어서 독일과 예멘의 통일사례를 고찰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존재한다. 각국의 통일사례와 통일헌법을 살펴 한반도 통일에의 적용가능성 여부를 검토해 보면, 먼저 통일독일은 구 서독기본법 제23조에 의해 구동독의 서독연방으로의 편입이라는 흡수적 통일방식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통일조약에 따라 개정된 서독기본법이 통일독일의 헌법으로 발전하였다. 이러한 서독기본법의 기본원칙 및 질서가 독일 통일헌법의 내용의 근간이 되었다. 다만 이러한 방식의 통일은 예상보다 심각한 통일후유증이 나타났다. 이유는 통일 후 계속되는 기본법 제146조에 관한 헌법논쟁은 근본적으로 기본법 제146조와 통일조약 제5조가 서로 모순되는 듯한 내용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독일통일과정과 통일 후의 헌법개혁논의를 통해 한반도 통일에서도 시사점은 물론 서독기본법의 잠정헌법적 성격과는 다른 우리 헌법상황을 독일과 비교하기가 어렵지만 전체적인 면에서 독일의 선례에는, 먼저 우리 헌법이 서독 기본법상의 잠정헌법적 성격이 없기 때문에 독일에서와 같은 헌법개혁문제가 제기되기는 어렵지만, 현행헌법 하에서 ‘평화통일조항(제4조)’의 효력확보를 위해 대결논리에 입각하고 있는 '영토조항(제3조)에 대한 검토가 통일지향적 방향으로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한편 예멘의 통일사례가 우리에게 주는 가장 큰 교훈은 통일기반이 취약한 상태의 통일이 갖는 위험성이다. 형식적으로는 통일되었지만 진정한 사회통합에 미달하는 경우의 갈등이 더 큰 재앙을 가져올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엘리트간의 기계적인 권력배분과 성급한 통합이 능사가 아니라는 것이다. 다만 예멘의 경우에는 남북 의회의 승인으로 통일헌법을 발효시킨 다음 국민투표로 최종 확정하였다. 한반도의 경우에도 통일헌법의 민주적 정당성의 측면에서 가급적 국민투표에 의하여 통일헌법이 확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따라서 한반도의 통일도 ‘자유와 평등, 민주주의와 법치주의가 조화되는 복지국가’를 지향하는 통일헌법이 제정되어야 할 것이다.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