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연구정보

[산업] 한-인도 에너지신산업 손잡다 - 인도 에너지산업 점검과 우리기업 진출 기회 -

인도 국내연구자료 연구보고서 이미경 등 KOTRA 발간일 : 2015-08-13 등록일 : 2018-08-23 원문링크

  인도는 중국, 미국, 러시아에 이어 세계 4대 에너지 소비국인 동시에 중국, 미국에 이은 세계 3대 온실가스 배출국이다. 오늘날 인도는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국가이며 12억이 넘는 인구에게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255GW 규모의 발전용량을 보유하고 있으나 인도의 만성적인 전력난은 인도의 경제성장을 가로막는 장애요소가 되어 왔다. 인도 인구의 25%인 4억명이 여전히 전기 공급을 받지 못하고있는 것과, 잦은 정전도 경제성장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인도정부는 급격한 경제성장과 도시화에 따라 에너지공급도 지속적으로 확대해야 동시에 국제사회로부터 온실가스 감축 이행에 대한 강한 압력을 받는 상황에 처해 있다. 인도의 1인당 전력소비량은 760kWh로 세계에서 가장 낮은 수준이고 1억 가구가 여전히 전기 공급을 받지 못하고 있으나, 동시에 미국 전체인구에 해당하는 3억명의 인도 중산층은 선진국 수준의 에너지 접근성과 전력품질을 원하고있다. 예기치 못한 정전, 전압 변동 등 낙후한 전력인프라는 제조업과 산업발전의 가속화를 가로막고 있으며, 이는 인도가 달성하려는 8~10% 경제성장에 주요 장애가 되고 있다.

  

  모디 총리는 구자라트州 총리 시절, 태양광을 통한 안정적인 전력 공급으로 24시간 전기가 끊기지 않고 인도에서 유일하게 남은 전력을 주변 12개州에 판매하는 州주로 명성을 얻었는데, 모디 총리는 구자라트주의 성공을 인도 전체에 도입하기 위해 에너지 공급에 대한 세가지 국정목표- ▲모든 국민들에게 에너지 접근 기회 제공(Providing everyone with access to energy), ▲안전한 에너지공급( Securing energy supply), ▲국가 성장을 저해하지 않는 온실가스 제한 노력(Trying to limit carbon emissions without encumbering the nation's growth)- 를 수립하였다.

 

  모디 정부는 에너지 국정목표 달성을 위해 모든 국민들에게 24시간 전기 공급(24/7 energy access for all), 100개 스마트시티 건설, 2022년까지 100GW 태양에너지 발전 증대 및 연간 10GW 풍력발전 증대 등 혁신적인 계획을 수립하였다. 또한 신재생에너지 및 스마트그리드를 포함한 전력IT, 에너지저장시스템에 대한 도전적인 목표를 수립하고, 민간섹터와 외국인 투자를 적극적으로 유치하고 있다. 특히 에너지저장 시스템은 모디 정부의 에너지 정책을 실현시키기 위한 가장 중요한 분야로 주목받으면서 신재생에너지 통합 에너지저장시스템 프로젝트 및 리튬이온 배터리 보급이 확대되고 있다.

 

  전력IT, 에너지저장시스템, 신재생에너지 등 에너지신산업은 세계 최고 IT기술을 보유한 인도가 다시 한 번 도약할 수 있는 신성장산업이며, 낙후한 에너지인프라를 현대화하는 동시에 기후변화에도 능동적으로 대처하면서 저탄소경제를 실현하며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도모해 나갈 수 있는 산업이다.

 

  지난 5월 모디 총리의 한국 방문 시, 산업통상자원부와 인도 전력부는 전력개발 및 에너지신산업분야 협력에 대한 MOU를 체결하였으며, 협력분야에는 신재생에너지, 스마트그리드 및 전력IT, 송배전망, 에너지효율, 에너지저장시스템 등 인도의 에너지 국정아젠다가 포함되었다. 한-인도 에너지공동위를 통해 인도 에너지산업의 니치마켓을 발굴하여 대·중견·중소기업이 고루 진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금융패키지를 통한 파이낸싱 지원으로 우리 에너지관련 기업들의 인도 진출이 확대될 수 있을 것이다. 중소기업은 스마트그리드 분야 기기 납품 및 시스템 관리 서비스 분야 진출이 유망할 것이다.

 

  인도는 초기 진출 리스크가 매우 높은 국가이므로 토지획득, 조세 문제, 인·허가, 계약이행 등을 사전에 면밀히 검토해야 하며, 신재생에너지 및 전력IT 등 투자프로젝트에 진출할 때에는 사업타당성 분석시에 가능한 모든 위험요소를 반영하여 검토한 후 리스크 헤징 전략 先수립이 요구된다.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