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연구정보

[군사] 전쟁억제와 예비전력: 싱가포르 사례를 중심으로

싱가포르 국내연구자료 학술논문 박민형 국방대학교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발간일 : 2018-09-30 등록일 : 2018-12-21 원문링크

현재 한반도 안보환경은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들은 미래 한국 군사력 건설에 매우 큰 외부 변수로 작용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외부적 요인과 함께 한국군은 심각한 내부적인 변수들에 봉착하고 있다. 특히, 미래 한국군이 직면하게 될 복무자원의 감소와 복무기간의 단축 등은 현시점에서는 변수라기보다는 오히려 상수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에 최근 한국 국방부도 내·외부적 요인들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 국방개혁을 추진하고 있다. 이번에 추진하고 있는 국방개혁은 완전히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전환을 그 목표로 하고 있다. 이 중에서 특히 주목할 것은 병력위주의 양적 군 구조를 정예화된 질적 군 구조로 개편하기 위해서 상비병력을 감축하는 것이다. 그러나 유사시 국가안보를 지키기 위해서는 현역 병력 자원의 감소에 대한 대비책을 강구할 필요성이 있다. 즉, 상비군을 감축함에 있어 기술적인 대체뿐만 아니라 인력 필요시 대비책을 강구할 필요도 있다는 것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인적동원 능력의 수준을 결정한다고 할 수 있는 예비군에 대한 논의를 하고자 한다. 강력한 예비군 육성을 통해 전쟁 억제력을 확보하고 있는 사례 연구를 위해서 싱가포르 예비군 훈련 체제를 집중적으로 분석하며 이를 바탕으로 한국군 예비군 제도에 주는 함의를 도출한다.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