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연구정보

[경제] 한반도 정세 변화가 가져올 ‘新북방’ 비즈니스 기회: 러시아 극동을 중심으로

러시아 국내연구자료 연구보고서 포스코경영연구원 포스코경영연구원 발간일 : 2018-06-07 등록일 : 2019-02-02 원문링크

유례없는 한반도 정세의 대변화 속에 새로운 동북아 경제 질서가 만들어지며 러시아 극동을 중심으로 한 '신북방' 비즈니스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기존에 수없이 회자되던 대규모 남북러 경협 프로젝트가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르고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도 창출될 전망이다. 

이러한 대변화 속에 국내 기업들의 '신북방' 비즈니스에 대한 관점은 어떠해야 하는지, 이를 지원하기 위한 정부의 역할은 무엇인지를 살펴본다.


[목차]

1.탄력 받는 북방 경제 협력
2.新북방 시대의 새로운 비즈니스
3.기업 접근 전략 및 정부 지원 분야

[Executive Summary]
○ 유례없는 한반도 정세의 대변화 속에 새로운 동북아 경제 질서가 만들어지며 러시아 극동을 중심으로 한 ‘新북방’ 비즈니스에 대한 관심 고조 

- ‘新북방 정책’은 러시아 극동 등 북방 주변국과 협력을 통해 남북 경협의 우회적 기반을 조성하는 동시에 한국 경제의 공간적 활로를 대륙으로 넓히겠다는 문재인 정부의 핵심 경제 정책 

○ ’17년 9월 문대통령은 ‘新북방 정책’을 위해 조선, 항만, 북극항로, 가스, 철도, 전력, 일자리, 농업, 수산의 9개 한러 협력분야 제시(9-Bridge 전략)
- 하지만 최근 북한의 긍정적 변화 기대감이 높아짐에 따라 9-Bridge 사업의 추진 시기와 방식, 그리고 사업 확장의 기대 수준도 크게 바뀌고 있으며 9-Bridge 사업 분야 외에도 새로운 사업 기회를 엿볼 수 있음

○ 개별 프로젝트에 대한 사업성 판단이 아닌 유라시아 지역의 Value chain 확장 및 동북아 정세 대변화라는 관점에서 ‘新북방’을 바라봐야 함
- 가스 관련 사업은 PNG 연결 사업과 함께 LNG 트레이딩, LNG 인프라 건설, LNG 선박 관련 조선 산업, 북극항로 개발, 북극 자원 개발 및 유통 등으로 확대 가능
- 남북러 철도 연결 사업은 철도 건설은 물론, 물류 거점 확대, 상품 이동 및 인적 자원 교류 확대를 통해 유라시아 시장 통합으로 이어질 수 있음

○ 기업의 ‘新북방’ 사업 추진을 위해서는 정부 금융 지원 프로그램의 실행 방안 마련 및 서방의 대러 제재 관련 우리 정부의 대러 사업 가이드 라인 제시 필요
- 제안 사업 심사만 하는 소극적 자세로는 한러 정부간 협의에 따라 준비한 한러 투ㆍ융자 플랫폼이 제대로 활용되기에 현실적으로 한계
- 복수의 자산운용사를 선정하여 사업주와 함께 사업 공동 발굴은 물론, 금융 지원이 가능한 투자 구조화 작업을 지원해 주는 적극적 Work scheme이 필요
- 우리 나라는 러시아 제재 참여국이 아님에도 국내 ECA 금융 지원이 어려운 현실적 상황에 대해 정부 차원의 정책적 판단 기준 및 해결 방안 등에 대한 정보 공유 필요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