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영역 건너뛰기
지역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연구정보

[무역] 일본의 대인도 진출전략과 시사점

인도 국내연구자료 연구보고서 최동석 KOTRA 발간일 : 2013-05-07 등록일 : 2019-02-15 원문링크

□ 일본의 인도 진출 현황

 

◦ 양국 간 무역과 투자는 모두 확대 추세이나 양국의 경제규모에 비해 한정적인 규모

  (일본무역 中인도 비중: 1.04%)

◦ 인도 전체 일본기업 수는 2012년 11월말 기준 926개사로 매년 100개 내외 증가추세

 

□ 일본정부의 지원전략

 

◦ 對중국 리스크를 축소하고 유망시장으로 지목되는 인도시장을 일본 기업들이 선점하는 것을

  도와주기 위해 기반구축을 강화해옴

◦ 2005년 이후 연례 양국정상회담을 정례화, 포괄적 경제파트너쉽(CEPA)은 물론 외교, 안보

  등을 포괄하는 정상급 협력체제 확립

◦ 인도에 연간 12억 달러 이상의 공적개발원조를 공여(최대원조공여국), 3대 산업벨트 및

  고속철 프로젝트 참여, 대기업의 부품공급을 맡는 중소기업전용공단 건설, 중소기업 정보

  제공 확대, 국제화지원 어드바이스 제도 등 진출리스크 완화와 사업기회 제공에 노력

 

□ 일본기업의 인도시장 평가와 진출상의 애로사항

 

◦ 2012년 일본국제협력은행이 일본 해외투자기업 613개사를 대상으로 시행한 설문조사 결과에

  의하면 인도는 향후 3년 유망사업 전개 대상 2위, 향후 10년 유망사업 전개대상 국가 1위로

  선정되었음

 * 인도를 유망하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현지 마케팅의 성장성’이 84.9%로 1위, ‘값싼 노동력’이 38%로

   2위를 차지

◦ 반면, 열악한 인프라, 타사와 경쟁 심화, 높은 유통비용 문제, 공장건설 애로, 세무 및 관세,

  통관 리스크 등을 인도 진출 리스크로 손꼽음

 

□ 인도내 일본기업의 전략과 진출 사례

 

◦ 중소기업들은 대체로 아세안시장에서 견고한 발판을 바탕으로 인도의 미약한 현금흐름을

  메꾸며, 중국보다 인도시장 진출을 선호하며, 급변하는 인도시장에 대응할 수 있는 신속한

  문제해결능력을 중요시함

◦ 또한, 최고경영진이 진출을 결정, 합작투자와 100% 단독투자 간에 고민하며, 장기전략으로

  접근, 인도에 포지셔닝하고 있음

◦ 현지화 제고, 글로벌 소싱체인에 편입되기 위해 다국적 기업들과 협력하며, 리스크 완화를

  위해 합작투자 파트너에 대체로 의지하며, 원만한 노사관계가 관건

◦ 최근 일본의 대인도 투자는 자동차, 전기전자를 넘어서 은행, 보험, 화학, 유통, 물류, 광고

  등으로 확대중이며 M &A 및 합작투자가 활발함

◦ 인도 유력기업과 합작, 발전기자재 및 조선분야에 진출한 미쓰비시중공업, 병원설립경영과

  의료기자재에 진출한 도요타 통상과 세콤등이 대표적임

◦ 인도 승용차 시장점유율 1위인 스즈키자동차는 일본인 관리자의 인도문화 이해부족으로 최근

  심각한 노사분규사태를 겪었고, NTT DoCoMo는 합작사와 의사소통 부족으로 고전중인 반면,

  오므론은 인도 대형병원과의 협력체계 구축으로 성공을 거둠

◦ 인도진출 중소기업들은 인프라 문제로 대기업에 비해 진출에 어려움을 겪으나 의사결정이

  신속하여 유연하다는 장점을 지님

◦ 일본 중소부품기업들은 성공요인으로 중요 시기에 가격인상을 요구할 수 있으므로

  단일하청에 의존하지 않고 이의 관리를 잘하고, 진출은 신속하게 결정하되, 본사의 권한

  위양으로 현지법인장이 신속하게 의사결정과 결단을 내릴 수 있음을 손꼽음

 

□ 중국, 서구기업의 인도 진출 사례

 

◦ 중국은 인도의 최대수입대상국이자 3대 수출대상국이며, 최근 12년간 對인도 수출이 연평균

  35% 증가함. 반면, 대인도 직접투자규모는 교역이나 수출규모에 비해서는 미미함(중국의

  해외직접투자대상국중 41위)

◦ 그러나 신규 수요개발 및 제조업 발전 기회 포착을 위해 중국기업들의 인도내 공장 및

  사무실 설립이 점차 활발해지고 있음

◦ 통신 및 네트워크 분야에서 중국기업들이 인도시장을 석권하고 있는데 화웨이와 중싱통신이

  대표적임. 가전메이커인 하이얼, 의료기계사인 윈난쌴빠도 인도시장에서 뿌리를 내리고

  있다고 평가되고 있음

◦ 서구기업인 유니레버는 기업인사 현지화, GE메디컬은 현지기업 장기 투자, 암웨이는 철저한

  인력관리, 도미노피자의 30분 배달 보증제 실시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인도시장에서

  키플레이어가 됨

 

□ 인도에서 성공한 한국 중소중견기업 특징과 사업상 애로사항

 

◦ 성공한 중소중견기업의 특징으로는 인도에 맞는 적정가, 제품개발 및 사양, 인도파트너를

  무시하지 않은 현지화 등이 있음

◦ 주요 피해 유형은 인도 합작 파트너와의 분쟁, 상인카스트 공동체를 이용한 미수금 늘리기,

  가공회사 설립, 가격 후려치기 등임

◦ 애로사항으로는 투자 준비단계에서는 정보부족, 현지경영활동에서는 불투명한 행정, 열악한

  인프라, 비용상승, 세무, 고급인력 채용난 등임

 

□ 시사점

 

◦ 일본기업들의 향후 대인도 투자는 더욱 확대될 것이며, 일본제조업의 현지 투자가

  집적화됨에 따라 서비스, 금융, 통신분야 진출도 활발해 질 것임

◦ 인사관리를 현지화하고 유교문화권과는 다른 인도의 ‘Unity in diversity‘에 대한 철저한

  이해가 필요

◦ 일본의 진출방안과 같이 제 1 도시권에 한정되지 않은 인도 진출 필요

◦ 최고경영진의 구체적인 관심, 빠른 의사결정과 현지화, 하청업체 동반진출, 철저한 애프터

  서비스 등 일본이 분석한 한국기업의 성공요인을 주목, 이를 더욱 차별화 필요

◦ 주정부와 경제단체들과 협력채널 구축하고, 중소기업 니즈에 눈높이를 맞춘 비즈니스 플랫폼

  구축하고, 현지기업과 제휴와 협력방안 모색

◦ 유럽, 서구, 중동아프리카시장개척지의 거점으로 인도를 활용

본 페이지에 등재된 자료는 운영기관(KIEP)EMERiCs의 공식적인 입장을 대변하고 있지 않습니다.

목록